2025 6모평 영어 39번 대화형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8325987
안녕하세요! 여러분! 영어의 계기입니다!
오늘은 불현듯 새로운 시도가 하고 싶어졌어요!
오늘은 GPT의 텍스트 녹음 기능을 이용해서
제가 학생들에게 수업하듯 39번 해설을 해보려고 합니다.
지문을 보시면서 글을 읽으시면 더욱 잘 이해가 갈 것입니다! 시작해보겠습니다!
자, 39번 풀이 시작하겠습니다. 일단 주어진 문장에서 우리의 힌트를 찾고 시작해야 되겠죠?
여기서 이 능동적 참여라는 게 우리가 찾아야 될 타겟, 목표가 되겠죠?
그리고 이게 부정관사와 함께 'a basis'가 나왔죠. 근간, 기초 이런 건데, 이게 독자가 모르는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 거예요. 설명하려고.
그러니까 이건 뭘 위한 거냐면, 'For depth of aesthetic processing'. 그러니까 이런 미적인 의미를 우리 머릿속에서 처리하는 것에 대한 깊이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고, 그리고 그 예술작품 의미에 대한 반성, 감상, 이런 것에 대해서 근간을 제공한다고 하는데, 어디에 도대체 이게 위치해야 되는지 찾아볼게요.
자, 1번 앞부터 시작할게요.
'There are interesting trade-offs'. 여기에 흥미로운 거래가 있대요,
여러분. 그러면 이 거래, 절충 이런 것들은 사실 거의 대상이 두 가지의 파티라고 해야 되나요?
대비되는 대상들이 거의 절충이나 거래를 하는 거죠. 여기에서 한 대상은 'subject matter'이래요.
이 'subject matter'은 주제인데, 즉 'figure'라면 인물이고, 'style'은 말 그대로 스타일이고, 이건 배경이라네요. 이 글은 'subject matter', 주제, 인물과 'style', 배경에 대한 이 두 개가 이분법 대조를 이루는 글이네요.
그럼 여기 뒤에, 1번 뒤에, 'In highly representational painting'이 앞에 있는 이 인물과 배경의 절충, 거래에 대한 설명이 되면 1번에는 주어진 문장이 들어갈 수가 없을 거예요. 맞아요?
그럼 가볼게요. 매우 'representational', 뭔가 사실적인 그림, 연극, 이야기 같은 경우에는 초점이 인물이 된대요.
위에 있는 걸 설명해주고 있네요. 맞죠? 'subject matter'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스타일도 설명해주는지 볼게요. 이 'subject matter'는요. For example, 매일매일의 삶과 닮아있다. 그러니까 매일매일의 삶과 닮아있는 인물에 대한 초점이 주가 되고, 그리고 또 'Role of Background Style', 여기 배경 나오네요.
이거는 정신적 모델의 구성을 촉진하는 거래요. 정확히 무슨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1번 앞에 있는 문장, 이 'Trade-off between subject matter and style', 즉 인물과 배경에 대한 설명이 되죠?
그러니까 1번에는 주어진 문장이 들어갈 수가 없어요.
그리고 제 생각에는 학생들이 주어진 문장을 2번의 오답으로 위치시키는 실수를 했을 것 같은데,
그 근거가 뭐냐면요. 갑자기 'feelings of pleasure and uncertainty', 즉 즐거움의 감정과 불확실함의 감정이라는 개념이 갑자기 튀어나와요. 그러면 2번 앞에 있는 문장과 이 표현이 뭔가 매칭이 안 되는 느낌이 들어요. 즉, 논리적 비약이죠. 그러한 논리로 치면 2번의 주어진 문장을 위치시킬 수 있지만 우리가 주어진 문장에서 목표로 삼았던 게 뭡니까?
'This active involvement'예요. 그러니까 이 활발한 참여, 능동적인 참여라고 지칭할 만한 단수적 표현이 2번 앞에 위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2번의 주어진 문장을 넣을 수는 없어요. 그러면 논리적 비약이 일어난 거고, 이 'feelings of pleasure and uncertainty'라는 논리적 비약은 제가 항상 말씀드리지만 작가의 선택이에요.
그러니까 작가가 갑자기 이 의미의 범위를 줄여버리는 거죠. 이렇게 줄여버리면 설명이 불친절하기 때문에 글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많은 혼란을 야기하고 우리는 이 포인트를 작가의 선택이라는 기술로 포장해놨어요.
그러면 이거는 그 앞에 있는 'subject matter'와 'style'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한 장치가 될 거예요.
그걸 좀 더 읽어보면서 살펴보겠습니다.
일단 이런 즐거움의 감정과 불확실함의 감정은 시청자로 하여금 그 작품의 결론으로 이끌고 갑니다.
그래요? 그렇다네요. 3번 뒤를 읽어볼게요. 매우 표현주의적 작품에서, 표현주의적이다 자체의 축자적 의미가 중요하지는 않아요.
이게 작가의 선택입니다. 예시인 겁니다. 그냥 이걸로 알맹이가 있는 핵심적인 뭔가를 전달하겠다는 것만 생각하면 되고. 여기서 'novel stylistic device'라는 표현을 확실하게 잡아야 돼요.
이게 무슨 말이냐면, 일단 'style'를 우리는 위에서 어떤 의미로 봤나요? 그렇죠. 'style'은 'background'였어요. 그러면 이걸 배경 장치라고 봐야 돼요.
그런데 이 배경 장치가 앞에 'novel', 참신한, 신선한, 새로운 게 나왔어요. 앞에 있는 그냥 배경이 아니에요. 참신한 배경입니다. 그런데 이 참신한 배경이 불협화음을 이루어요. 그런데 이게 불협화음을 이루는 방식이 인물과 대조를 이룬단 말이에요. 대항한단 말이에요.
그리고 그 인과 관계적 결과로 'a disquieting atmosphere', 뭘 만듭니까? 불안한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이게 바로 우리가 아까 2번 뒤에서 어색했던 표현이었던 뭡니까? 'feelings of pleasure and uncertainty'에서 'uncertainty'에 가깝겠죠.
그러니까 2번 뒤에 있는 문장과 3번 뒤에 있는 문장이 합쳐져서 앞에 있는 'subject matter', 'figure'과 'style', 'background'에 대한 설명을 한 거예요. 그래서 글이 이어지는 겁니다. 어렵죠?
그리고 잘 보세요. 지금 제가 부정관사가 달리면 항상 작가의 선택이고 추가 설명을 요구한다고 했어요. 분명히 'an inharmonious manner'가 나왔고, 'a disquieting atmosphere'가 나왔어요. 불안한 분위기. 그리고 그 뒤에 보세요. 'thus', 그러므로, 인과관계적 표현이죠. 'when the work is less', 그 작품이 'less readable', 뭡니까? 덜 읽히게 됐어요. 덜 읽기 쉽게 됐어요.
이게 바로 뭐 때문에 그래요? 'inharmonious', 그리고 'disquieting atmosphere' 때문이겠죠.
그래서 이러한 불협화음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불협화음이죠. 그리고 이러한 불안하게 만드는 분위기 때문에 덜 읽히는, 읽기 어려워지는 문제들 때문에 우리한테 당연히 해결책을 요구하게 되겠죠.
이걸 PS 구조라고도 부르고 저는 문제 분석 해결 패턴이라고 불러요. 이것은 독자로 하여금 뭘 요구합니까? 'Aesthetic attitude', 심미적 태도를 요구합니다. 필요하다는 거죠. 전체 에피소드를 감상하기 위해서. 그래서 여기에서 이 심미적 태도가 뭐냐? 그게 우리가 찾아야 되는 거고, 그게 주어진 문장에 있어요.
이런 활발한 참여 어떻습니까? 심미적 태도를 활발한 참여라고 받으면 괜찮죠. 그리고 이게 봐봐요. 'a basis', 근간을 제공한다고 했잖아요. 'For depth of aesthetic processing', 어떤 미적 인식을 처리하고 그 작품의 의미에 대한 어떤 반성, 심사숙고 즉, 깊게 생각하게 만드는 거죠. 그래야 읽기 힘든 걸 더 읽기 쉽게 다시 만들 수 있을 거 아니에요.
그래서 주어진 문장은 5번에 위치하게 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네...
-
88점 2등급 ㅋㅋ 쌈뽕하게 다 풀었는데 훅훅 틀려있어서 충격 먹고 파이널 때 실수...
-
사회문화 0
사회문화 2단원 어렵다기보단 ㅈㄴ 헷갈리고 선지에 너무 많이 낚이는데 그냥 사회문화...
-
대체뭘보란건지 몰라서 걍 안보고 빵날거같은과 몇개 골라서 하나찍음
-
고지서 가상계좌로 그냥 토스로 등록금 보내면 되죠? 0
계좌번호 토스 송금하기에 입력해도 가상계좌 이름같은 건 안 뜨는 거 맞죠?
-
후
-
지적 자극이 어마어마하게 온다 아는 거 많은 사람이랑 이야기하면 너무 재밌어
-
아
-
다시 가져와도 될까…
-
이건 얘기해보면 다른 컨설턴트분들도 보고있던데 왜냐면 진학사가 존나 짜게 잡고...
-
카투사는 11
어떻게 가는건가요 머해야함..
-
이게 왜 어렵다는 의견이 있음? 나이때 한번도 안막히고 미적30번까지 깔끔하게 달렸던거 같은데
-
왜 또 수능을 봐야하는것인가 난 이미 이 게임을 해봤다고!!!
-
인싸새기들 어제 발렌타인데이에 날씨 좋다고 다들 어? 씨팔
-
야 코 걔 맞음ㅋㅋ 시청자좀 차면 시작한댕 tiktok.com/live/soeun
-
불타야지 5
꾸준히매수
-
2학년 때 내신 경제 준비하면서 개념 돌리고 지금 빨더텅 풉니다. 독서실에서...
-
시발ㅋㅋㅋㅋㅋㅋㅋ 왜 하필 맨유냐
-
외출외박 <<< 이거 좀 더 자유로워졌으면 좋겠음... 상근인 친구 있어서 자주...
-
중대경영 0
아직 추합 한참 남은거같은데 첫날 600중후반에서 20번대 됐네요 뭐지진짜
-
내 얘기임. 공부는 이게 고3인가 싶을 정도로 진짜 좆도 안하고 맨날 노는데 입시...
-
비독원 일클 고민하다 강기분해서 기출 아닌 지문하려하는데 비독원은 기출인거같고...
-
건대 6명 뽑는데 5->3->2 받고 전화추합 기다리는데 이거 잘하면 될까요…...
-
맛있는건~ 5
정말 참을 수 없어어~
-
밥먹으면 또 치석 끼고 그럴거같음
-
N수생 대거 성불시키기 프로젝트 하는거임? 그게 아니면 설명이 안됨
-
사실이 아닌 부분에 대해서 반박부터 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
그건 원서쓸때 누가 옆에서 쓰라해도 안 썼을거같음
-
진짜 막 어둠의 스킬같은게 있나요.? 체화 다 하면 현정훈 안듣는 사람하고 듣는...
-
예비고1이고 모고보면 3등급정도 나오는데 어떤문제집이 좋을까요? 국어학원다니고있고...
-
고경좋잖아 흐흐흐 하면서 진짜 갈려고했음
-
작년 제작년 두바퀴 넘게 돌았던 관데 지금 2차까지 해서 한바퀴도 안...
-
첫번째 졸릴때 조금만 자고 일어나야됨 ㄹㅇ 무저건 통하는데 이거
-
뻥임뇨
-
마크하실분 0
야생쉽초보임
-
그 시간에 실모 푸는게 나으려나요
-
언젠가 연심을 품은 이가 있습니다. 그를 생각하면 저도 모르게 미소가 지어집니다....
-
쓰기 귀찮다.. 대수학의 기본 정리 임뇨
-
경제황분들 도와주세요 17
이문제 어떻게 푸는건가요? 5000덕 드립니다
-
아 내가 공부를 왜 했는데
-
여기 에타는 1
반수게시판 없네 전적대엔 있었는데 정들었었음 ㅠㅠ
-
오르비 잘자요 4
-
그냥 고대식 650 설대식 380 들고 재수하려고 넣은걸텐데
-
두번째 기상 8
아십..
-
드디어 일주일이 끝나고 생일날 복귀 그간의 금욕... 이제 풀어줄 때다 임시저장했던...
-
할 수 있다고 보시나요??
-
복소수에서 수 체계를 한 번 더 확장한 것이 잇다. 사원수 라고 부른다
-
맞팔해주세여
31이랑 이거 두 개 틀렸는데
31은 storage랑 message 고민하다가 틀렸고
이거는 4,5번 고민하다가 틀렸네요..
31번은 솔직히 저장과 메세지가 헷갈릴만 했어요! 근데, 수특에 "매체가 메시지다."라는 문제를 해설한 기억이 나서 혹시 간접연계인가? 하는 생각에 좀 쉽게 털었던 것 같아요! EBS 풀어보긴 해야하나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