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우주가 어려운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001381
계산이 있어서 그런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짜깁기” 짜집기는 표준어가아님..
-
아지금일어남 1
아시발
-
ㅠㅠ
-
네 반성합니다
-
빅포텐 특:어려움ㅋㅋ
-
유전 어려워 3
생1 유전 공부 중인데 너무 어려워요 다들 어떻게 유전 공부했어요?
-
이해원 미적 뭔가 한번 잘못가면 구제가 안되는 느낌인데 0
나만그런가 제가허수라 그럴수도 시작접근을 살짝만 잘못가줘도 뭔가 못돌아오는 느낌 아님말고용 흑
-
레어삿어 5
어때 내최애 오데ㅁ이
-
늦게 올렸으면 교재비라도 싸게 받던가
-
이렇게 살면 안된다의 표본
-
유빈 폭파 2
유빈 돈키호테 이런 거 사라진 게 등컷 자체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을까
-
엔제를 많이 풀면서 이것저것 파쿠리쳐야햠
-
ㅇㅇ +n제 효과
-
마지막 계산 어케해야 함 다 구했는데 alpha1이 싸발이네
-
약국 할때 왜 국일까 약국 말고 의국이란 말도 있는데 의국의 뜻이 의료 관련 업무를...
-
훈련소3주차끝 2
-
첫날엔 뱃살 지방흡입 둘째날엔 라식 셋째날엔 여유증 이렇게 수술날짜 잡아도 되는거임??
-
탐구 하나? 아님 두개?는 국어 수학중 한과목에 비빌정도인가요? 예를들어 탐구...
-
이 친구 정답률이 무려 18프로라는거임 이게 왜 더 대단하냐? 1. 낚시성 선지로...
-
서방님 5
점심을 차려왔어요 맛있게 됐어요...
-
자살 마렵다 방금 바로 지움 이번 현타를 계기로 독해지겠습니다
-
검더텅 빨더텅 차이가가먼가요?
-
ㅈㄱㄴ 뱃지는 귀찮아서 안받음..
-
ㄱㄱ
-
뭐에 씌인거처럼 안보이네 자꾸 QB가 6나오는데
-
수학황들아 4
여기서 진도를 어떻게 나갈지 모르겠음
-
이말할때마다 나머지 1은 어딨냐는 말 계속 들어서 억울한데 왜 전체를 10으로 잡아야해
-
킬캠2회 13 20 22 28 29 30틀 허수라 울엇어...
-
나 이러다가 3등급 받겟느넫
-
20:1 비율이면 너무 친친이 적은건가 기출문제집마냥 선별하고 또 선별함 ㅇㅇ
-
배고프담 3
흐음
-
일끝나고 왔다 7
어제 저녁에 근무하고 오늘 아침부터 근무하고 집에왔다 힘들다 딸치고 공부해야겠다
-
유독 평가원 실전 시험에서 언매가 말리는 느낌이 드는데 1
사설에선 그런 느낌이 많지 않거든요. 근데 올해 6월도 그렇고 작수 44번에 행사별...
-
현역 수학 0
현역인데 6모에서는 1컷 바로 아래 2등급 나왔는데 강k랑 서바 풀면은 1등급 컷은...
-
나랑 같은 학교니까 분명 내 동기랑 맞팔했을것같아서 동기 인스타 팔로워 목록에 잇나...
-
실모 3연ㄸ 0
100분시험-20분휴식 루틴 현재 마지막 실모 대기중.. 끝나고 오답을 한번에 몰아서 와바박
-
지금 내가 똥싸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두렴
-
ㅈㄱㄴ
-
이벤트 아이디어좀 부탁드려요! https://atom.ac/books/13290/...
-
한동안 공부 안 했더니 좀 까먹어서 괜찮은 거 있나요?
-
1분동안 말없이 몸으로 대화함 ㅋㅋㅋㅋ
-
녹을거같아 9
절대밖에니오면안대
-
내 인생의 결정들에 항상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이 되자.
-
책샀더니 6
2레벨 올랐네 오르비에서 책 처음 사봄
-
문학 2022수능이 랑 평이하게나오고 비문학 2022 09 경제지문 시장 독점적...
-
궁금합니다!
-
야이개씨 17
그쵸 허블쪽 가면 계산 문제 있어서..
근데 사람마다 어려운 파트가 다 달라서
근데 막 머리 터지는 계산도 아니라 전 우주가 제일 쉬우ㅗㅆ어요
근데 천체 어렵ㄷㅏ는것도 옛말인듯,, 전 유체가 훨씬 어려워요
계산 말고도 특이은하 이런거에서도 오답률 70프로 나오던데
가속팽창우주같은거나 허블상수같은거 개념이 난해하긴해서...
허블상수가 시간에 따라 감소한다 이런거 처음 듣고나면 대가리 폭발해버려서그런듯
그럼 거리에 따라 허블상수도 달라지는거임?
ㄴㄴ 등속팽창우주를 기준으로 어디를 관찰하든 허블상수는 같은데
10억년 뒤에 우주를 다시 관측했을때 측정되는 허블상수는 작게나오게되는 그런거임
? 뭐가 그렇죠
우리가 10억 광년 떨어진 곳을 보면 10억 년 전을 보는거니 허블상수는 더 커야되는거 아닌가요?
안그래서 이런거 들으면 머리가 꼬이는듯
허블상수가 작아지는거 애초에 모르거나 이해포기한애들도 많음
게다가 우주의 나이에 따라 팽창 속도 또한 변하므로 이러한 효과까지 고려한다면 허블 법칙은 먼 거리에 있는 은하들에 대해서는 전혀 맞지 않게 된다. 다만 근거리에 있는 은하들에 대해서는 은하들이 단순히 운동한다고 생각해도 오차는 크지 않기 때문에 쉬운 이해를 위해 이 방식으로 가르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해석은 완전히 틀렸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ㅡ 킹무위키
아마 가속팽창까지 고려하면 너무 어려워지니까 그냥 안가르치는듯...?
이거임
T1때 허블상수가 100, 이때당시 1Mpc 떨어져있는 지점 X가 100km/s로 멀어지는데
T2때는 X가 2Mpc 떨어져있다 하면 이때도
100km/s로 멀어지고있으니 허블상수는 50으로 계산되고
왜 속도가 같아야되는지가 이해안되면 지점X를 지평선으로 이해하면 쉬운듯
지평선 끝의 점은 계속 c로 멀어지는데 우주의 반지름을 r이라 하면 c=H×r이니 r이 증가함에 따라 H가 감소
엥 아니지않나요
ㅇㅇ 가속팽창 같이고려하면 그런데 등속팽창이 맞다고 가정했을때도 허블상수는 줄어듦
등속팽창이 맞다하면 성립함
등속팽창이 맞으면 t2에서 200으로 멀어져야되는거아닌가요?
ㄴㄴ 그 풍선 실험 뭔지 알죠?
그거처럼 생각하면되는듯
현시점에서 거리가 xMpc인 지점을 모은 원 이랑 지평선이 닮음을 유지한다 이느낌
그냥 강의 듣고 올게요... 이건 등속팽창우주니 쉬운 내용이겠지
일단 오지 매개완에선 설명안했어요
아니 님 아무리 생각해도 등속 팽창우주면 허블상수가 일정해야될거같은데요
등속 팽창이라는게 정확히 뭔가요?
모든 공간이 일정한 속도로 커진다는거아님?
아 찾아봤는데 등속팽창일때는 허블법칙이 아예 성립이 안된다는데요?
우주는 지수형으로 커지는거라서
하나의 지점이 멀어지는 속도가 계속 일정한거죠
엥 근데 우리 우주는 안그렇지않나요
그죠 애초에 등속팽창이 성립하지않으니까요
그거 송원학원갤러리 그글 아님? 댓글보면됩니다 걔도 모르면서 말한거임
아 그러니까 등속 팽창이라는게 공간 자체가 팽창하는게 아니라 그냥 물질이 폭발하듯 등속운동할때를 가정한거죠?
공간이 팽창하긴 하는데
운동만 놓고보면 그런셈이라고 할수있는듯?
근데 그러면 허블법칙이 의미가없어지니까라고 자꾸 생각이 나서 그렇게 생각못한듯
아니구나
으아아악
저도 그쪽은 개념 다버리고 공부하고 하면서 10번넘게 반복함..
아 완전히 이해함 ㅇㅇ
굳
근데 그랬다가도 한 3주지나서 다시생각해보면 멘탈나갈수도 있음ㅋㅋㅋㅋ
제가 딱 그랬음
ㅇㅅㅇ
그러니까 공간이 등속도로 팽창할때 속력은 같은데 시간이 지날수록 거리는 멀어지니 허블법칙이 나온거군요 ㅇㅇ; 근데 이거 그냥 개념인거 같은데요?
개념 맞는데 그걸 처음엔 납득을 못함
멀리 보면 과거를 보는건데 이때 허블상수가 더 컸다? 그럼 허블법칙 성립 안하는거 아닌가 이생각때문에 꼬일수밖에 없음
허허허허 송원학원갤러리에 댓글단게 저인뎈ㅋㅋㅋ 허블법칙에 대한 자료 찾다가 듣도보도 못한 개소리를 하길래 리플달아놨는데 달아놓길 잘했네요.. 인터넷발 자료는 항상 비판적으로 받아들이셔야합니다. 허블 법칙에 대한 이야기는 아래 새 댓글로 달아놓을게요.
킹오브어스사이언스입갤ㄷㄷㄷㄷ
난 오히려 해수가 젤 어렵던데
저도 해수가 어려워보임

신비한 우주니까요개념이 이해가 안되는게 많음 따지기 시작하면 끝도 없이 말림
이럴줄 알고 책과 유튜브로 예습을 해뒀지...
전공자로서 허블 법칙에 대한 이야기를 좀 드리고자 합니다.
1. 등속 팽창 우주란?
전공 용어로 말씀드리자면 척도 인자의 시간에 따른 변화율이 상수로 일정한 우주입니다. 지구과학1 수준에서 말씀드리자면 우주의 모든 지점이 관찰자로부터 일정한 속력으로 멀어지며 우주의 반지름이 일정하게 커지는 우주입니다. '관성 우주' '텅 빈 우주' 가 이러한 우주를 의미하는데, 우주의 반지름이 이와 같이 일정하게 커지려면 우주가 텅 비어 암흑 에너지도 작용하지 않고 물질에 의한 중력도 작용하지 않고 대폭발에 의한 관성만으로 우주가 일정하게 커져야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2. 허블 법칙
현행 교육과정 자체가 허블 법칙을 완전히 이해하는게 애초에 불가능하게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허블 법칙이 나타나는 근본적인 이유는 우주 팽창 때문이라는건 다들 알고 있는데 그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고 있는 수험생은 많지 않아요. 우주 공간이 팽창하게 되면 우주 공간을 진행하는 빛의 파장도 따라서 길어지게 됩니다. 이를 '우주론적 적색편이'라고 하며 우주 배경 복사의 파장이 시간에 따라 길어지는 원인을 이것 때문으로 학습하죠? 허블 법칙이 나타나는 은하들의 스펙트럼이 적색 편이를 보이는 원인도, 그리고 사실 거리가 먼 은하일수록 적색편이가 크게 나타나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어떤 은하에서 빛이 출발하여 우리은하에 도달하는 상황을 생각해볼게요. 만약 그 은하와 우리은하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다면, 그 은하에서 출발한 빛이 우리은하에 오기까지 시간이 '금방' 걸릴겁니다. 이는 빛이 우주 팽창의 영향을 받아 파장이 길어지는 기간이 '짧다' 라는 의미이고, 따라서 은하의 적색 편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납니다. 만약 그 은하와 우리은하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다면, 그 은하에서 출발한 빛이 우리은하에 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겁니다. 이는 빛이 우주 팽창의 영향을 받아 파장이 길어지는 기간이 '길다'라는 의미이고, 따라서 은하의 적색 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나죠. 아~ 은하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그 은하의 적색편이는 더 크게 나타나겠구나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게 결국 허블 법칙의 본질이에요.
만약 우주의 팽창 속도가 일정해서 빛의 파장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길어졌다면, 어떤 시점에서 관측되는 빛들의 적색편이는 오로지 그 빛이 우주 팽창의 영향을 받은 기간의 길이에 의해서만 결정될 것이고, 빛의 속력은 일정하므로 결국 빛이 진행하는 거리에 의해서만 결정됩니다. 따라서, 우주의 팽창 속도가 일정하다면 특정 시점에서 관찰되는 은하는 아무리 멀리 떨어진 은하라도 거리에 비례하여 적색편이가 나타납니다.(물론, 더 깊게 전공으로 들어가면 공간 팽창으로 인한 빛의 도착 시간 지연효과와 광자의 밀도가 달라지며 나타나는 효과로 인해 아주아주 멀리 떨어진 은하는 적색편이가 거리와 비례하지 않습니다만, 무시하겠습니다.)
그래서, 등속 팽창 우주에서는 일부 요인을 무시했을 때, 먼 우주까지 허블 법칙이 성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우주의 팽창 속도가 시간에 따라 달랐다면? 빛이 진행하는 거리 외의 요소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거리와 적색편이가 비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 우주가 가속 팽창을 했다면, 과거에는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을테니 아주 멀리 떨어진 은하의 적색편이는 등속 팽창 했을경우 해당하는 거리에서 예상되는 적색편이보다 작을 것입니다. 적색편이는 거리가 멀수록 큰 경향이 있으므로 이는 다르게 표현하면 특정 적색 편이를 갖는 은하의 거리가 등속 팽창했을 경우 예상되는 거리보다 멀다는 의미가 되지요. 하지만 우주가 가속 팽창을 했든, 감속 팽창을 했든, 등속 팽창을 했든, 속도의 변화폭이 크지는 않기 때문에 '비교적' 가까운 우주에서는 어쨌든 허블 법칙이 근사적으로 성립합니다. 문제를 풀 때 '~~은하는 허블 법칙이 성립한다.' 라는 조건을 굳이 주는 이유는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은하와의 거리가 너무 멀어 허블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를 배제하기 위함입니다.
감사합니다 네 정리가 되네요
오개념이 무섭다 봅니다 솔직히 수학 통합 미적분 기준 2등급 정도 받는 실력이면 수리추론 측면에서 막힐 일은 없거든요
이부분 원래 좀 이해하기 어려운게 많음 ㅋㅋ 말끔히 정리할려면 굉장히 많이 고민해야함

강사들도 잘 몰라서얼렁뚱땅 넘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