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모 대비 영어감각유지1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834874
안녕하세요! 작까의 의도 입니다.
곧, 6월 모의고사가 드디어 다가오네요.
현역 및 N수생 분들께는 이제 진정한 시작이겠군요.
재수학원에서 근무했던 경험으로 비추어 봤을 때, 아직 국어, 수학 공부하시느라
영어 공부는 많이 안하실 것이라 생각하여 기본적으로 감각유지 정도를 위해 기출문제로
영어모의고사를 준비하는 태도를 살펴보겠습니다.
여러분이 싫어하시는 문장삽입 문제로다가 살펴보아요 ㅎㅎㅎ
2018 고3 9월 39번
다음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We become entrusted to teach culturally appropriate behaviors, values, attitudes, skills, and information about the world.
Erikson believes that when we reach the adult years, several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stimuli trigger a sense of generativity. A central component of this attitude is the desire to care for others. ( ① ) For the majority of people, parenthood is perhaps the most obvious and convenient opportunity to fulfill this desire. ( ② ) Erikson believes that another distinguishing feature of adulthood is the emergence of an inborn desire to teach. ( ③ ) We become aware of this desire when the event of being physically capable of reproducing is joined with the events of participating in a committed relationship, the establishment of an adult pattern of living, and the assumption of job responsibilities. ( ④ ) According to Erikson, by becoming parents we learn that we have the need to be needed by others who depend on our knowledge, protection, and guidance. ( ⑤ ) By assuming the responsibilities of being primary caregivers to children through their long years of physical and social growth, we concretely express what Erikson believes to be an inborn desire to teach.
일단 순삽 문제는 발문을 먼저 살펴보시는 거 아시죵?
발문
We become entrusted to teach culturally appropriate behaviors, values, attitudes, skills, and information about the world.
우리는 위임받게된다 가르치는 것을 문화적으로 적절한 행동들, 가치들, 태도들, 기술들, 그리고 정보를 세상에 대한.
흠, 일단 대명사나 논리기능어들이 보이지 않네요.
단지, 우리가 무언가를 가르치게 되는 결과를 가지게 되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결과를 유발하는 어떠한 원인을 기대해 볼 수 있을까요? 안되면 일단 해석하고 패쓰~
Erikson believes that when we reach the adult years, several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stimuli trigger a sense of generativity. A central component of this attitude is the desire to care for others.
아싸, 사람이름 Erikson -> 고유명사는 반드시 무언가를 설명!
인과관계패턴 성년시기에 돌입하면 --> 여러 요인들이 생식성을 유발(역시나 a sense of~)
(부정관사는 중요한 새로운 개념 도입인거 아시져?)
A central component of this attitude is the desire to care for others.
또 A central component~
자 이러한 태도의 한 가지 중심 요소는 '바로 다른 사람을 돌보고 싶은 욕구!'
즉, 생식성 -> 다른 사람을 돌보고자 하는 욕구
( ① ) For the majority of people, parenthood is perhaps the most obvious and convenient opportunity to fulfill this desire.
일단, parenthood가 어른 시기의 구체적 예시로 연결이 가능하죠?
여기에 다가 this desire이 남을 돌보고자 하는 욕구에 연결이 됩니다. 일단, 1번에는 발문이 들어가면 안되겠네요.
( ② ) Erikson believes that another distinguishing feature of adulthood is the emergence of an inborn desire to teach.
자 Erikson 이 사람 이야기가 또 나왔죠? 같은 사람이라도 이름이 또 나온다는 것은 고유명사가 새로 등장한 것과 같아서 무언가 새로운 개념 또는 새로운 보충설명을 해주려고 하는 것입니다.
어른 시기를 다른 시기와 구별해주는 특징이 바로 = (New 새롭게 등장한 개념) 타고난 가르치고자 하는 욕구
1. 남을 돌보려는 욕구 , 2. 남을 가르치려는 욕구 이런식으로 논리가 전개되고 있네요. 2번도 패쓰
( ③ ) We become aware of this desire when the event of being physically capable of reproducing is joined with the events of participating in a committed relationship, the establishment of an adult pattern of living, and the assumption of job responsibilities.
여기서 this desire이 desire to teach인 것 확인?
네, 확인했으면 부드럽게 연결되기에 여기도 답이 아니네요.
슬슬 불안해집니다. 이제 논리적으로 고장난 곳이 발견되어야 하는데, 실전이라면 조금 무서워지죠?
저는 이럴 때 무서워서 발문을 다시 살펴보곤 합니다.
( ④ ) According to Erikson, by becoming parents we learn that we have the need to be needed by others who depend on our knowledge, protection, and guidance.
아 또, Erikson 불러요, 다른 개념 또는 새로운 보충 설명 이야기 하려고 하나 봐요.
부모가 되는 것 -> 우리는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필요해지고 싶은 욕구를 가진다.
그렇군요. 새로운 보충 개념이 등장했기에 논리적으로 연결이 되지요?
일단 패쓰
( ⑤ ) By assuming the responsibilities of being primary caregivers to children through their long years of physical and social growth, we concretely express what Erikson believes to be an inborn desire to teach.
일단 정관사 the가 달린 책임감들이 나와서 조금 안도하게 되네요. 앞에 책임감들이 나와야 하겠죠?
발문
We become entrusted to teach culturally appropriate behaviors, values, attitudes, skills, and information about the world.
우리는 위임받게된다 가르치는 것을 문화적으로 적절한 행동들, 가치들, 태도들, 기술들, 그리고 정보를 세상에 대한.
문화적으로 적절한 행동들, 가치들, 태도들, 기술들, 그리고 정보를 가르치는 것이 = the responsibilities 확인?
답은 5번이네요.
혹시, 이 문제 푸실 때 4번도 되지 않나 생각하시는 분이 있으시면 댓글에 질문주시거나 쪽지로 문의하셔도 됩니당.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지1 도랏네 2
3덮 핵불 3모 핵물 4덮 핵불 5모 핵물 5덮 핵불
-
사치임?
-
난 갤25와 함께 자비스를 얻었어
-
26수능 사탐 1
마지막으로 반수 고민중인데 혹시 한지 사문중에 작년대비 내용이 바뀐부분이...
-
가족 행사 참여로 돈 벌기
-
라인 봐주세요 6
화작확통생윤사문 96/100/1/100/100 수학사탐 만점 동의한이나 경한 가능?
-
십오년 사물이 두개로 보이는채로 살면 그거도 그거대로 적응이 안될래야 안될수가 없음...
-
근데 시발 내가 이래도 백분위 94에다가 2등급이뜨는데 아니 어디로 런할까 사문?...
-
6모 99 100 1 1 1 맞으면 칼럼써두 되나요?
-
답지 읽는 것보다 걍 직접 푸는게 빠름 텍스트가 넘 많아
-
교육부는 당장 1
매달 전국연합평가를 실시하라
-
아 죽고싶네 휴대폰 진짜 2주동안 끊어봐야하나 병원에서는 걍 난시 때문이라는데........
-
틀고싶다고 청소가안돼있다고
-
또 열심히 살아야지..
-
1등급에게만 물어보기
-
얼버기 13
어이 김프로 식사는 잡수셨어?
-
그 일단은 국어 만점백분위가 98나올줄알았는데 99.55로 엄청나게 높았고요 그건...
-
아깝다 아까워 멀 틀린거야 대체틀린거 아는거 : 3번, 29번점수 : 90점.하나...
-
컨관님 믿습니다…!
-
아 ㅅㅂ 5
화재경보 ㅈㄴ 시끄럽네 좀 꺼라 뭘 자꾸 화재가발생했대
-
듣기를 더 많이 틀릴 듯 지금
-
시간 분배 안하고 쭉 푸는 사람들중에 은근 천재들이 많은듯
-
하,,, 이 중요한걸 이제 알다니,,, 너무 늦게 알았다,,,ㅠㅅㅜ 내가 수능을...
-
카의가고싶다 6
가톨릭대학교 의대 가고 싶어요
-
5덮풀어보고싶다 1
근데
-
뇌피셜이라도 ㄱㄱ
-
1-2 학점 4.1 이정도면 인간승리 아닌가요 ㄹㅇ 심지어 집에 학사경고 우편까지 날라옴
-
ㅜㅜ
-
수학 99 뜨나보네 나 25
성적표는 안 나왓는데 좀 둘러보니까 그런거 가틈 오르비 둘러보고나서 높게 안 나올...
-
도형 에바임
-
설레임N제 0
쉬울리는 없겟죠? 후기가 없길래..
-
킬캠 꿀모 서바 뭘 쳐도 88점임
-
혹시 수능수학 노베인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 미적을 희망하고 있습니다.(의미...
-
급성위장염으로 구토가 안멈추고 그래서 119부르고 난리도 아니었어서 5일동안 공부를...
-
A, B가 아예 없는데?? A : 80% 이상 B : 60% 이상 80% 미만 C...
-
강대드가자 0
범바오 정수핑 렛츠고~
-
커뮤를 잘 안 해봤어서…. 방법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
날씨 뭐냐고
-
수열 시러 3
삼각함수 시러 미분 가능성 시러 지로함 시러 아니 그냥 수학이 시러 아니아니 그냥...
-
양수가 되도록 x1, y1 x2, y2 좌표 잡는 방법 있나요
-
수국김 듣고 메인 커리 들으려고 합니다 6모도 2주밖에 안남았는데 늦은거겠죠?...
-
99.90에 도전했었으나 99.84로 마무리짓습니다. 더 정신차리고 열심히 준비하며...
-
벌써 새벽이네 2
-
지인선 n제, 이해원 n제 풀다가 간만에 난이도 낮은 문제 푸니깐 잘 풀리네요...
-
TCA 회로에서 5탄소 화합물이 4탄소 화합물이 될 때 atp, nadh, co2...
-
고려대 ㅇㄱㅈㅉㅇㅇ?? 32
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