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독서 배경 지식은 이걸로 끝] - 10일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755612
독서 배경지식 쌓기 10일차 지문.pdf
칼럼 인덱스 : https://orbi.kr/00043624020
*지문을 첨부하는 이유는 제가 설명한 것을 바탕으로 글을 읽어보고 싶어 하는 분들이 계시기 때문입니다. 문제 해설까지 올리면 말 그대로 공부하는 기분이 들 텐데, 저는 그런 걸 원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독서 배경 지식을 간단하게 쌓을 수 있는 칼럼 2주 4일차입니다.
보고 나서 잊어버려도 수능 때 분명히 도움을 줄 것이라고 확신하며, 조금이라도 기억하려고 노력하면 정말 큰 보상으로 돌아올 겁니다. 제가 터득한 방법을 간단하게 바꾼 것뿐이니까요.
독서 배경 지식 쌓기 2주 4일차의 주제는
앵포르멜입니다. 예술 지문이고, 쉬운 내용이라서 낯선 용어들만 잘 알아간다는 느낌으로 보시면 좋겠습니다. (어려운 지문을 이틀 올리고 하루 정도는 쉬어갈 수 있는 수준의 지문을 가져오는 식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만약 문장을 떠올리며 고민하기도 귀찮으시면
앵포르멜의 특징이 무엇인지만 기억해주시면 됩니다.
1. 모든 사물은 질료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은, 서구 사람들의 사고 방식에 영향을 미쳤고, 당연하게도 서구의 회화 역시 이러한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2. 중요한 점은, 이러한 관점이 두 측면 중 형상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것이다. 이는 20세기 초반까지 이어졌고, 20세기 초반 차가운 추상으로 대표되는 몬드리안 역시, 정형화된 양식을 통해 형상을 표현하는 일을 더 중시했다.
2-1. 몬드리안의 차가운 추상은 정형화된 양식을, 칸딘스키의 뜨거운 추상은 정형화되지 않은 자유로운 정서 표현을 중시했다. 뜨거운 추상에 관해 이 지문에서 앵포르멜이 제시되는데, 본질적인 이야기는 칸딘스키의 뜨거운 추상과 같은 맥락이다. 이 지문을 읽었을 때 칸딘스키가 떠오르지 않았다면 교육과정 지침서에 나온 '초중고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행한 학생'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하지만 지금부터 알아가면 될 일.
3. 하지만 2차 세계대전 이후, 정형화된 양식보다는 즉흥적이고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진다. 이때부터 형상이 아닌 질료 그 자체에 주목하는 사조가 등장하게 되는데, 그게 바로 앵포르멜이다. 앵포르멜은 informal, 그야말로 '형태가 없는'이라는 뜻이다.
4. 앵포르멜이 등장하면서, 질료는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것이 되었다. '나만의 말'로 정리하면? 수동적인 지위에서 능동적인 지위가 되었다는 뜻이다.
4-1. 앵포르멜은 타시슴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얼룩을 의미하는 '타슈'에서 온 말이다. 내 맘대로 자유분방하게 무언가를 나타내다 보니, 즉흥적으로 붓질을 하거나 물감을 짜서 그냥 덕지덕지 발라버리는 일도 흔했을 테고, 그게 마치 얼룩처럼 보였을 거라고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5. 앵포르멜의 대표 주자로는 뒤뷔페가 있다. 그는 작품명을 지을 때 질감학, 재료학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했는데, 이는 당연히 '날것 그대로'에 대한 선호를 나타낸다. 결국 질감도 재료 그 자체에서 느껴지는 부분이며, '날것 그대로'라는 말에 대응하는 게 당연하다.
6. 뒤뷔페는 어린아이나 정신병자의 작품, 그리고 도시의 낙서 등에 관심을 가졌는데, 이는 예술 문화에 오염되지 않은 순수함을 찾아나섰음을 의미한다. 예술 문화에 오염되지 않았다는 말을 나만의 말로 바꾸면? '틀에 갇히지 않은 자유로움' 정도로 표현할 수 있다.
6-1. 날것 그대로의 표현을 중시했다는 점에서, 뒤뷔페는 사회적 지위나 체면 뒤에 숨겨져 있는 원시적이고 본능적인 모습을 드러내고자 했음을 당연히 이해할 수 있다.
.
.
.
말이 다소 낯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용 자체는 어렵지 않았습니다. 오늘 내용은 정말 하나도 빠짐없이 다 중요하네요. 이정도는 상식으로 알고 있어야 했습니다. 몰랐다고 해서 이상한 것도 아니고, 이제부터라도 기억하면 됩니다.
키워드만이라도 알아가면 도움이 될 겁니다.
문제)
앵포르멜의 특징을 나만의 말로 정리하면?
댓글에 제가 요약한 내용을 다시 남기시면 기억'되는' 느낌이 무엇인지 알 수 있으실 겁니다.
나만의 말로 이해한 후 외워서 입력하면 가장 좋고, 귀찮으면 그냥 베껴서 타이핑해도 됩니다.
어차피 기억에는 남아 있을 테니까요.
팔로우해두시면 전 과목 칼럼 + 수기를 순차적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칼럼 외에는 잘 작성하지도 않지만, 꼭 잡담 태그를 달고 업로드하니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유익하게 보셨다면 좋아요 +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공통은 22번 말고 너무 쉬웠고 미적도 28번 말고는 어려운게 없었음 근데 22번...
-
님들 전문 다 외우고 다님? 아니면 걍 시함장에서 일일이 다 해석함? 전문 ㅈㄴ...
-
존나 맛도리
-
확통사탐 대학교 0
국어 89 수학 98 영어2 탐구 96 96 정도면 공대로 어디까지갈수있나요?
-
표지 디게 예쁘다 근데 문제수가 너무 적네
-
생각보다 오르비에 언급량이 적어서...
-
야옹 3
냥~~
-
생윤하다가 개화나서 작년에 찍먹 했던 동사로 돌아가려는데 어떨까여..역사 제대로...
-
국어 지문은 27
복잡하고 정보량이 많은 거보다 단순한데 생각을 요하는 게 훨씬 나음요. 제가...
-
. . . 7
하버드대학교 맘스터치 학과 26학번 오로라
-
안녕히주무세요 8
오늘은 7시에 일어날래요
-
몇인가요
-
와 젖탱이봐라 침고이네 17
하 진짜 ㅈㄴ 피곤하네 다들 오늘 하루 고생하셨어요
-
강하영 29번 풀이법 이거 왜 작년 평가원부터 안 먹힘? 제가 작수 참전 안 해서...
-
나도씨발그냥확통할걸 왜깝쳤지 아씨발진짜
-
저능해지는거같은데 기분탓임?
-
수열시러 2511의 전문항 풀이가 궁금하다면 https://orbi.kr/00072290349
-
제가 모의고사 풀 때 문학이랑 화작에 65분 정도 쓰는데 화작,문학 합해서 3-4개...
-
머임 현우진 12
올해 킬캠 해강으로 첨 듣는데 상당히 빠져드네..
-
최저용으로 수학 할 생각없었는데 어쩌다 보니 하게됬습니다 3등급이 목표입니다...
-
이 개 지리는 가성비를 이해 못한단 말인가 아쉽구나
-
더프 다들 화이팅입니다 오노추 너에게 - 성시경
-
결국은 물을 많이 부어봐야 알 수 있음 생각보다 공부하는거에 비해서 항아리에 물이...
-
알림창이랑 설정창 왔다갔다하기 개빡셈
-
그러니 목동러들은 눈물을 그치도록
-
없으려나 연세대같은곳은 거의 만점이던데
-
3합6 최저를 맞추려면 국어, 수학 둘 중 하나를 4등급 맞아야 하는데 머가 더...
-
어이가 없네 2
어삼은 있네
-
목동도 쫌 와봐라ㅠ
-
개재밌다 ㄹㅇ
-
후기좀
-
엠스킬 0
불후의 개념 완강 햇는데 기출이랑 병행 하는게 좋나요 엠스킬 먼저 하는게 좋나요
-
정시 수시 고민 0
외곤데 수시로 3.극초 나와서 설대 종교학과 쓸거 같은데 설대 자전이 너무 가고...
-
기하인강 둘 중에서 하나 들으려는데 뭐가 더 괜찮나요
-
요즘 현우진이랑 옛날 현우진 너무 다르네 ..ㅋㅋ 요즘엔 그냥 로봇같은데 옛날엔...
-
재미도 없는데 깨작깨작 할말은 다하고 수업도 졸라 느긋하게 나가다가 오버하는건 좀...
-
감귤 먹는 시골쥐의 우당탕탕 육지 여행기 1(부산) 28
***사진 많아요. 데이터 & 스압 주의*** 다음편...
-
26학년도 6평대비 사피엔스 모의고사 풀이(해설용) 11
30분 재서 시험본 건 따로 있는데 그건 부끄러워서 못 올릴 듯.. 문제시 삭제
-
3678x, 90543, 28176 선착순 1명 천덕
-
외가가 외할아버지랑 외할머니 두 분 다 전라도 분이셔서 전라도 사투리랑 서울말...
-
개념적고 마더텅 수특딸깍으로2등급가능한사탐뭐있어요?
-
만약 못풀었다면 1 3 5중에 하나 찍으셈 근데 27번이랑 번호 안겹치게+ 하나도...
-
7모 전까지 한바퀴 겨우 돌릴 수 있을 듯 막상 공부하면 재밌긴 함
-
AI에게 먹일 샘플 o4-mini 10초만에 다읽고 45개중에 제대로 읽은 OMR...
-
브레턴이 마지막 경제지문이라는데 킬러이슈 때문임?
-
꼭 수능에 나와서 통수치는듯..? 혹은 무조건 나온다 하는 게 안나오거나 예상을...
-
아니 나 제주도 사투리랑 경상도 전라도 사투리랑 섞였나봐 10
어카디 근디 시방 너무 배고픈디 뭐먹을까
-
왜 다 이과야 9
그러고보니 여긴 왜 다 이과야 왜 다 공돌이나 의돌이임 왜 문돌이 사대지망은 없는거임...?
현생이 좀 많이 바쁜데, 계속 미루다가는 시작도 못할 거 같아서 늦게라도 올려 둡니다. 오늘 내용은 진짜 기본 중에 기본이니까 꼭 기억해주세요!
뭔가 되게 오랜만인 것 같은데 말들이 어렵네요..! 낯설다고 해야 하나

자기 전에 다시 천천히 읽어 봐야겠어요예술 작품에 관심이 있긴해서 그런지 내용 자체는 뭔가 재미있긴한데 용어들이 생소하네요 ㅎㅎ 오늘 칼럼도 잘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결국 예술계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분파로 재료에 주목하는 표현방식이 등장했다. ㅡ 이건 거죠?

전체 이야기를 한 문장으로 줄이는 게 제가 가장 강조하는 부분인데 상당한 실력자시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와 선생님 연고티비 출현하셨네요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연고티비 영상 잘 봤습니다!!
유튭 보다가 ㄹㅇ 깜짝놀라서 바로 들어왔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