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라는 건 북태평양 기단과 북서쪽의 오호츠크해 기단이 충돌하여 일어나는거기 때문에 비가 많은 지역에 내리는 D2가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을 많이 받죠
따라서 ㄷ은 틀린 선지입니다.
그리고 두 기단(북태평양 기단과 오호츠크해 기단)이 충돌하는 면을 따라 정체전선(장마전선)이 형성되는 겁니다. 따라서 D1의 경우엔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지역이 남쪽이기에 북태평양 기단이 아직 충분히 북상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겠죠.
그래서 ㄱ도 틀리게 되는 거구요.
포기하세요~
ㅊㄷ
뚝딱
ㅊㄷ
빈도 봐야져
40%임
?
ㄴ 에서 남동풍빈도 40짜리에 짜잘한거더하면 더큼 남서풍보다
ㄱㅁ
나 그림이 풍향 빈도 나타낸건데
남서풍 빈도 합<남동풍 빈도 합 (숫자 참고)
아 그건 아는데 그래도 ㄷ이 틀린거같은데요
영향더받으니까 전선 북쪽으로 밀려난거에요
강수구간은 정체전선 살짝 북쪽인데
강수구간이 D2로 가면서 북상했으니 정체전선도 북상했다는거니까
북태평양 기단이 세력이 세지면서 오호츠크해기단이 북쪽으로 밀리고 북태평양기단이 남쪽에서 위로 치고 올라온거에연

역시의머생Ra
아 숫자 ㅅㅂ 이거 풍속인줄
ㅇ게 오또케 2번이 아님..
지구과학 허수여서운ㅅ었다
ㄱㅁ
틀려도 김ㆍㄴ이네
답 몇번이에요?
2번아님?
아 머야 2번임?
ㄷ 틀린거같다길래 맞은 선지인줄..
장마라는 건 북태평양 기단과 북서쪽의 오호츠크해 기단이 충돌하여 일어나는거기 때문에 비가 많은 지역에 내리는 D2가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을 많이 받죠
따라서 ㄷ은 틀린 선지입니다.
그리고 두 기단(북태평양 기단과 오호츠크해 기단)이 충돌하는 면을 따라 정체전선(장마전선)이 형성되는 겁니다. 따라서 D1의 경우엔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지역이 남쪽이기에 북태평양 기단이 아직 충분히 북상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겠죠.
그래서 ㄱ도 틀리게 되는 거구요.
아, 댓글에 잘못 말한 부분이 있는데 오호츠크해 기단은 우리나라 북동쪽에 있습니다.
번외로 북태평양 기단은 우리나라 남동쪽에 있지요.
tmi) 오호츠크해 기단이 우리나라에 완전히 남하한 시기가 초여름, 북태평양 기단이 북상하여 오호츠크해 기단을 완전히 밀어 올린 후가 한여름이고, 이 두 기단이 충돌하는 시기가 바로 장마철이 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