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진이 [1000031]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2-05-13 23:54:29
조회수 1,603

(도움요청) 김으냥T 해설 문제제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649856


오버슈팅 지문이고 혹시 풀어보시고 싶으신 분들 있으실까봐

지문 밑에 같이 올렸어요

29번 문제 1번 선지가 정답인데 이걸 김으냥T가 맞다고 고른 이유는 알겠는데 이렇게 문제 풀면 안되지 않나 싶어서요


김으냥T는 이 문제 <보기>에서 저기 형광펜 친 부분 논리로 결국 환율 급등은 안정돼서 오버슈팅이 안정되기에 1번에서 오버슈팅 정도는 더 커진다라고 할 수 없다 라고 푸셨어요.


근데 저는 아무리 생각해도 이렇게 풀면 안될 것 같다고 생각해서. 저같은 경우에는 A국에서 오버슈팅 발생하면서 A국의 시장 금리가 하락하니까 B국으로 자금이 유출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만약 B국의 시장 금리가 여기서 하락하면 오버슈팅 정도는 약해질 것이고, B국의 시장 금리가 더 커지면 오버슈팅 정도가 더 커질거라고 판단해서 1번을 골랐거든요.



아무리 생각해도 김으냥T 방식 너무 위험한 것 같은데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아 이거랑은 별개로 김으냥T 스키마 교재 미쳤음 온톨로지랑 비교하기가 미안할 정도로 퀄리티ㅅㅅㅅㅅㅅㅅㅌㅊ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애기올비 · 1146718 · 22/05/14 00:04 · MS 2022

    전 시대는 못 가는 지방러지만 강민철은 강기분에서 정확히 님 생각이랑 똑같이 해설해줬었어요

  • 현진이 · 1000031 · 22/05/14 00:04 · MS 2020

    그런가요 ㅜ 아니 아무리 생각해도 제가 푼 방식이 맞는 것 같아서,,

  • Scribe of Dune · 1133284 · 22/05/14 00:06 · MS 2022

    대강 읽었는데
    난 님같이 풀었던듯? 처음 풀때
    경제 배경지식도 좀 있어서
    으냥t너무 보기에 매몰되신듯?

  • 현진이 · 1000031 · 22/05/14 00:06 · MS 2020

    아니 저렇게 푸는거 너무 위험한 것 같은데 오늘 수업에서 저렇게 푸셨음

  • Scribe of Dune · 1133284 · 22/05/14 00:11 · MS 2022

    지금 생각하기가 귀찮다....

  • 파닥파닥 · 1144757 · 22/05/14 00:11 · MS 2022

    왜 현진님께서 위험한 것 같다고 하셨는지 대충 느낌은 오네요. 제가 오버슈팅 지문을 다 읽어보진 못했지만 기므냥 T 논리는 보기에서 A국의 환율은 안정될 것이라고 예상하는데 비해서 선지에서는 환율이 불안정하게 된다고(오버슈팅) 설명하고 있으니 논리가 맞지 않다고 본 듯 해요.
    허수인 제 사견으로는 저 문제에서만큼은 저렇게 푸는 게 빠르고 논리적으로 풀 수 있는 방법 같은데 지문에 제시되어 있는 개념을 온전히 다 썼다기보다는 보기와 선지의 논리적 관계를 보고 정답을 이끌어낸 것 같다는 느낌은 드네요. 만약 더 어렵거나 보기, 선지 간의 관계로만 풀 수 없는 문제가 나온다면 문제 풀이에 있어 현진님 말씀대로 어려움은 느낄 수 있을 것 같아요..

  • Scribe of Dune · 1133284 · 22/05/14 00:12 · MS 2022

    근데 문학도 아닌 독서에서 보기를 그렇게 읽는건 위험하지 않나
    애초에 작수 브래턴 우즈만 봐도 허수정보가 겁나 많은데

  • 파닥파닥 · 1144757 · 22/05/14 00:13 · MS 2022 (수정됨)

    네 그런 점에서 좀 위험하긴 하죠...제가 보기엔 보기와 선지의 관계로 정답을 추론하신 것 같은데 요즘 수능은 (지문에서 설명하는 대상에 대한 이해 없이) 그렇게 단편적인 정보만 갖고 정답을 도출할 수는 없는 추세니까요...

  • 현진이 · 1000031 · 22/05/14 00:13 · MS 2020

    보기는 제가볼 때 단순히 상황정보만 준거라고 생각해서 만약에 1번선지가 "B국의 시장 금리가 상승한다면"으로 바뀌면 틀린 선지(옳은 해석)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 .

  • 파닥파닥 · 1144757 · 22/05/14 00:24 · MS 2022 (수정됨)

    보기는 상황 정보가 맞죠. 다만 상황 정보에 제시된 것과 선지가 환율이 안정되는 상황에서 오버슈팅이 일어난다는 상반되는 말을 하고 있어서 굳이 지문의 원리를 적용 안해도 정답이 바로 나온 것 같아요.
    1번 선지가 "B국의 시장 금리가 상승한다면"로 바뀌면 A국에서 오버 슈팅이 발생한 상황에서 B국의 시장 금리도 같이 오르면서 오버 슈팅 정도가 더 커진다는 소리인데......시장 금리가 오르면서 오버슈팅의 정도가 더 심해진다는 내용은 지문에서 찾아볼 수가 없는 것 같아서...(컴터로 보는 중이라 혹시 있을지도 모르겠어요..ㅠㅠ부정확함)답은 안 되는 것 같아요...ㅠㅠ새벽 12시에 오버슈팅 지문 다시 이해하려다 보니 간단하게 대답해 드릴 수가 없네요....국어황분들 도와조요ㅠㅠ
  • 현진이 · 1000031 · 22/05/14 00:26 · MS 2020

    ㅖ?? 오버슈팅 일어나는 이유가 A국 시장금리 하락으로 인해서 상대적으로 시장금리가 더 높은 B국 채권을 사들이는거라 B국의 시장금리가 여기서 더 오르면 A국의 오버슈팅 정도가 더 심해질텐데,,

  • 파닥파닥 · 1144757 · 22/05/14 00:31 · MS 2022

    아 그러네요...역관계 있는 부분만 지문에서 애써 찾으려 하다 보니까 원리를 빼먹어버린...좀 헷갈려서 몇 번 수정해서 써봤는데 결국 틀린 정보만 줘버렸네요..ㅠㅠ죄송해요. 그러면 1번 선지가 옳은 해석으로 볼 수 있겠네요...

  • 현진이 · 1000031 · 22/05/14 00:49 · MS 2020

    죄송하다뇨 갠찮ㅎ어요

  • 부엉이는부어엉하고울지 · 1118007 · 22/05/14 00:30 · MS 202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부엉이는부어엉하고울지 · 1118007 · 22/05/14 00:20 · MS 202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애기올비 · 1146718 · 22/05/14 00:27 · MS 2022

    혹시 해설지 첨부해드리는 건 쫌 그러려나용...
    뭔가 말로 설명하면 잘못 전달 될까봐서... 저는 해설지랑 비슷하게 맞췄거든요

  • 현진이 · 1000031 · 22/05/14 00:28 · MS 2020

    수업용 지문 해설 있어요 ?

  • 애기올비 · 1146718 · 22/05/14 00:29 · MS 2022

    저 시대 아니예요! ㅠ

  • 애기올비 · 1146718 · 22/05/14 00:29 · MS 2022

    강민철 분당러셀 수강생입니다...

  • 애기올비 · 1146718 · 22/05/14 00:42 · MS 2022

    그냥 제 말로 정리해서 짧게 달자면

    A국 금융 시장 변동에 따른 불안 → B국 금융 자산 수요 증가 → a국 투자 감소, 환율 급등 → B국 외국인 투자 자금 유입 → B국 통화량 증가 →

    /////(여기부터 1번 선지 상황 바탕 추론)////

    B국 금리 하락 → b국 금융 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수요와 기대가 낮아지니까 단기적으로 유입되고 있던 외국인 자본 점차 감소(a국에서 자금 b국으로 유출되는 현상 완화)

    -> 따라서 오버슈팅 정도 심해진다는 1 오답

  • 현진이 · 1000031 · 22/05/14 00:42 · MS 2020

    강민철T도 인과관계 보고 푸셧구나

  • 애기올비 · 1146718 · 22/05/14 00:46 · MS 2022

    그래서 마지막에 해설할 때는 1번 선지에 오버슈팅 심화를 완화로 고치면 맞는다고 했어요

  • 부엉이는부어엉하고울지 · 1118007 · 22/05/14 00:35 · MS 2021

    지문에서 통화량 증가하면 시장 금리가 하락한다고 적혀있고, 문제에서는 윗글 바탕으로 라고 제한을 걸어놓은 상태에서 <보기>가 B국 통화량이 증가해서 시장 금리가 변한다고 적혀있어서 애초에 선지에 'B국 시장금리가 상승한다면'이 나올 수 없는 상황인 것 같아용

  • 현진이 · 1000031 · 22/05/14 00:40 · MS 2020

    동의 못하겠어요..
    A국에서 오버슈팅이 발생해서 B국으로 통화가 유입되는거라서 B국의 시장금리 하락으로 인해 오버슈팅 정도가 완화되는건데 오버슈팅이 발생한 직후 상황에서 B국의 시장금리가 <보기> 에서의 상황보다 더 상승해있었다면 맞는 판단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반대로 1번선지가 오버슈팅 정도가 덜 커질 것이다라고 하면 옳은 해석으로도 볼 수 있을 것 같은데,,

  • 현진이 · 1000031 · 22/05/14 00:41 · MS 2020

    그냥 이게 맞는건지 모르겠어요
    이렇게 풀어도 되는건지 납득이 안감

  • 현진이 · 1000031 · 22/05/14 01:34 · MS 2020

    ㅏ아아아ㅏㅇ도와주ㅗ

  • 현진이 · 1000031 · 22/05/14 01:35 · MS 2020

    헲!!!

  • N일의기적 · 1071174 · 22/05/19 07:32 · MS 2021 (수정됨)

    일단 님 말씀대로 김ㅇㅇt 설명은 좀 이상한듯 보기랑 선지 저것만 보고 대강 대응해서 풀기엔 위험해보입니다
    A국에서 B국으로 자금이 유출돼서 B국 통화량이 증가하는게 <보기>상황이니까 지문내용이랑 이 상황을 엮어보면 B국 내 통화량이 증가하니까 B국 시장금리가 하락할거고 결국 B국으로부터 다시 자금이 유출돼서 결국은 B국 통화가치가 하락해서 B국 환율은 상승할거고 상대적으로 A국 통화가치가 평가절상돼서 A국환율은 하락하니까 오버슈팅이 완화되는 흐름같은데 <보기>의 상황이 B국 금리가 하락하는 방향이니까 굳이 B국 금리가 상승하는 경우는 생각안해도 될 것 같아요

  • 신촌요정 · 965251 · 22/09/06 15:42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