뷔뷔뷔 [843612] · MS 2018 · 쪽지

2022-05-07 20:46:59
조회수 463

베카리아 12번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556378

2번 선지: 사형은 범죄 예방의 효과가 없으므로 일반 예방주의의 입장에서 폐지하여야 한다.


근거가 명확히 안보이는데 뭐라고 잡아야 하나요? 


지문에서 ‘잔혹한 형벌이 계속 시행되다 보면 사회 일반은 이에 무디어져 공포 이상을 느끼지 않는다’ 라고 나와있으니까 


범죄 예방 효과가 줄어들었다 라고 보면 안되나요?


rare-서울 다이너스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수깅이 · 1081250 · 22/05/07 20:49 · MS 202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재수깅이 · 1081250 · 22/05/07 20:49 · MS 2021

    아 ㅁㅊ 혹시 국어 질문…?

  • 뷔뷔뷔 · 843612 · 22/05/07 20:50 · MS 2018 (수정됨)

    아 작년 6평 국어 질문이에요 다들 아실까봐 지문은 안올렸는디
  • 재수깅이 · 1081250 · 22/05/07 20:50 · MS 2021

    아 생윤인줄알앗어욬ㅋㅋㅋ­ㅋㅋㅋㅋ

  • 뷔뷔뷔 · 843612 · 22/05/07 20:53 · MS 2018

    오 생윤에도 나오군요

  • 재수깅이 · 1081250 · 22/05/07 20:59 · MS 2021

    넵 개꿀이엇어요 걍 지문에 잇는 내용 거의 다 아는 거역음ㅋㅋㅋㅋ 이과애들이 과학기술 지문 읽으면 이런 기분일까 싶고…

  • 23드릴 · 1117778 · 22/05/07 20:53 · MS 2021

    사형이 범죄 예방의 효과가 없다고 볼 수는 없지 않을까요?

  • 뷔뷔뷔 · 843612 · 22/05/07 20:56 · MS 2018

    아 그럼 사형이 등장한 초반부에는 영향력을 꽤 행사한다~ 이정도로 하면 되겠죠

  • 뷔뷔뷔 · 843612 · 22/05/07 20:57 · MS 2018

    저도 이거 이상으로 근거가 안잡힘 ㅜㅜ

  • 23드릴 · 1117778 · 22/05/07 21:00 · MS 2021

    넵 사형에 대한 기억이 아무리 일시적이라 해도(베카리아의 주장) 억제 효과가 없다고 하기엔 지문 속 근거가 없으니까요

  • ㅤ ㅤㅤ ㅤㅤ ㅤ · 1067992 · 22/05/07 20:57 · MS 2021

    효과 잇긴 잇슴

  • 뷔뷔뷔 · 843612 · 22/05/07 20:57 · MS 2018

    하긴.. 아예 없는게 좀 이상하긴 햇어요..

  • 셋샤 · 1053203 · 22/05/07 21:02 · MS 2021

    전혀 없지는 않으나 종신형이 더 효과적이라고 본게 아닌가욤

  • 뷔뷔뷔 · 843612 · 22/05/07 21:07 · MS 2018

    저도 그렇게 생각했다가 평가원이 이렇게 내겠어~ 하면서 골랐음..

  • XUT · 1043003 · 22/05/07 21:07 · MS 2021

    일반예방주의 관점에서도 타당하지 않은 거 아닌가요? 베카리아 후에 일반 예방주의가 생긴 거니까...

  • 뷔뷔뷔 · 843612 · 22/05/07 22:10 · MS 2018

    근데 베카리아의 주장을 바탕으로 일반 예방주의의 토대가 형성된거니까 생겨나게 된 시간적 순서는 고려할 필요 없지 않나요?

  • 최가네 · 1016882 · 22/05/07 21:17 · MS 2020

    양도한 자유에는 생명이 포함되지 않는다고 했고 ,곧 이 말이 사형을 해도 된다고 합의를 한건 아니라서 범죄예방효과의 이유가 될 수 없어요

  • gigantic · 1141078 · 22/05/07 23:05 · MS 2022

    단순히 말하자면 사형이 범죄 예방효과가 아예없는건 아니고 단지 종신노역형이 지속성이 높아 더 효과적이라고 보는 입장이죠
    근데 사실 이 문제 발문을 잘보시면 '가장'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라고 되있는데 이런 문제는 선지볼때 오답을 처리하기보다는 확실한 답을 찾는 방향으로 선지판단하는게 훨신 좋을거에요
    박광일이 네일아에서 엄청강조한 부분인데 국어는 절대적인 답이 없을 수 있다 그래서 '더'적절한 것을 찾아라
    그러니 이런 문제는 오답처리보다는 확실한놈 골라내기위해 내가 길러야 할 태도 이런걸 생각해보시는게 더 도움이 될거에요

  • 뷔뷔뷔 · 843612 · 22/05/08 01:21 · MS 2018

    오.. 별생각 안하고 있었는데 진짜 감사합니다 2개중에 헷갈릴때 뭐를 골라야 하는지 고민해봐야 겠네요!! 진짜 감사합니다우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