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586을 혐오하면서 연민하는 이유(영국 내셔널 갤러리의 11분짜리 동영상을 보면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238558
내가 586을 혐오하면서 연민하는 이유
(영국 내셔널 갤러리의 11분짜리 동영상을 보면서)
어릴 적, 신라의 천재 화가 ‘솔거와 소나무’ 이야기를 들으셨을 겁니다. 솔거가 벽에 소나무를 그렸더니, 새들이 날아와 앉으려다가 떨어졌다는...
하지만 이런 이야기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서기전 5세기, 그리스에는 죽시우스(Zeuxius)라는 천재 화가가 있었답니다. 그가 포도나무를 그리면 새들이 날아와 앉으려다가 부딪혔다고 합니다.
서양미술사에서는 죽시우스의 이야기를 ‘2차원 회화 공간에 3차원 현실 세계를 담으려는 인간의 꿈을 담은 설화’라고 해석합니다.
현실(풍경)을 2차원 화폭에 완벽하게 담으려는 인간의 욕망은 이제는 별 대단한 것이 아닐 수도 있지만, 근대 이전까지는 결코 만만한 작업이 아니었습니다.
세계적 미술사학자 곰브리치의 표현을 잠깐 비틀어 표현한다면, 회화사는 ‘현실 풍경을 화폭에 완벽하게 담으려는 인간의 여정’이었는지도 모릅니다. 19세기 들어 이것이 이뤄지자, 고대나 중세 때처럼 다시금 ‘주관’이 화폭에 개입합니다. 인상파나 점묘파, 입체파, 야수파 등이 이 시기 이후 등장한 것은 결국 ‘화폭에 대상을 재현하는 것이 별 어렵지 않게 느껴지면서, 화폭에 화가의 주관적 시선이 담기게 된 것’을 의미합니다.
==========================
영국 내셔널 갤러리는 명화들을 10분 정도 분량에 담아 유튜브에서 설명합니다. 그들도 조회 수를 올리려 노력할 수밖에 없기에 제목은 ‘낚시성’으로, 신문기자들 표현을 빌자면 섹시하게 잡습니다. 어젯밤, 내셔널 갤러리 유튜브 사이트를 둘러보는데, 제목 하나가 눈에 띄었습니다.
‘왜 여인의 머리에는 파리가 앉았을까?’
1470년경 독일 남부 슈바벤 지역에서 그린 어느 여인의 초상화를 설명하면서 제목을 이리 붙인 것입니다.
그림을 자세히 보면 여인의 오른쪽 머리 위로 파리 한 마리가 앉아 있습니다. 동영상을 해설하는 미술사가가 설명하듯, 당시 초상화 한 점을 그리는 것은 ‘돈이 꽤나 드는 일’이었습니다. 한데 더럽게 파리라니! 21세기에도 돈 1만 원 주고 증명사진을 찍을 때 파리가 화면에 담기면 ‘뽀샵’을 해달라고 하는 판인데요!
초상화 주인공은 화가에게 항의하지 않았을까요? 저라면 바로 항의했을 겁니다. 지워달라고 하든, 초상화 값을 치르지 않겠다고 이야기 하든...
이 장면에서, 미술사가는 죽시우스와 포도나무 이야기도 곁들이면서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화가는, 파리를 그림으로써 2차원 화폭에 3차원 현실을 충실하게 재현한 화가의 회화적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제야 저 역시 파리가 갖는 의미가 이해가 됐습니다.
한데, 동영상을 다 감상한 뒤 저는 뭔지 모를 슬픔 혹은 안타까움 같은 게 밀려왔습니다.
저런 이야기, 지적으로 성숙할 시기인 10대 후반, 20대 초중반에 많이 많이 들었어야 했는데...
저를 포함한 80년대 학번들 대부분이 그럴 것이라고 봅니다. 우리가 읽은 책이라고는 ‘사회 변혁을 위한 것’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대학 1학년 때 제가 독일 언론인 출신 C. W. Ceram(독일인이므로 ‘체람’이라고 불러야 할 터인데, 우리에게는 영어식 ‘세람’으로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의 ‘낭만적인 고고학 산책’을 들고 다닐 때 어느 동급생은 “왜 이런 후진 책을...”이라고 이야기할 정도였으니까요. 그렇게 우리의 독서는, 지식을 향한 창은 편중돼 있었습니다.
게다가 우리가 읽은 ‘사회 변혁서’는 원서를 제대로 번역한 것도 아니었습니다. 마르크스라는 이야기만 나와도 잡혀가던 때, 그들이 쓴 원서를 읽는다는 것은 언감생심이었지요. 대부분 마르크스나 레닌의 저작을 일본인들이 ‘나름 해석하고 짜깁기’해서 쓴 해설서를 읽는 수준이었습니다.
정신적으로 가장 성장할 시점에 이런 식으로 배우고 생각했으니, 교양이나 지성의 측면에서 제대로 클 리가 있을지요. 그러니 1989년 6월, 중국에서 천안문 사태가 터졌을 때 제가 재학했던 서울대 인문대 모 학과 재학생 상당수는 “서구에 편중된 언론 보도에 우리가 휘둘릴 필요가 없다. 간교한 서구 언론...” 운운했던 것이겠지요.
우리 사회에서 ‘여전히 나대는’ 586을 제가 혐오하는 것은 이런 까닭입니다. 지적-정신적으로 가장 커가야 할 시기에 ‘가장 교조적으로’ 공부했던 세대였으며, 그런 지적 악습을 이후에도 답습한 세대라는 점에서 말입니다. 물론 저 역시 이 범주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 했습니다.
한데, 이것이 우리 세대만의 잘못일지요. 잘못되고 편중된 지식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던 ‘시대 탓’도 분명 있을 겁니다. 그 점에서 저는 제 동년배, 그리고 저 스스로에게 연민을 보내는 것이고요.
유튜브 동영상 한 편 보면서 별 오만 잡생각을 하고 있지요? 할 일이 없나 봅니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세대는 제발 586과는 달리 넓게 읽고, 깊게 사유했으면 합니다.
제가 본 동영상을 한 번 감상해 보시지요.
https://www.youtube.com/watch?v=pLAr2X4sH5Q
추신.
이 그림에 대한 내셔널 갤러리의 설명을 여기에 옮기겠습니다. 유럽산 전나무 바탕에 유화로 그렸습니다. 53.7(세로) 40.8cm(가로) 크기입니다. 그림 한편에 ‘호퍼(Hofer)가 출신’이라고 적혀 있는데, 호퍼라는 성은 독일 남부에서 아주 흔한 성씨여서, 이 여인이 누구인지는 확정하지 못 한답니다. 화가 역시 1470년대에서 슈바벤 지역에서 활동한 화가이지만, 누군지는 모르고요. 여인은 물망초 가지를 들고 있는데, 이는 결혼의 상징이면서 동시에 죽음이나 떠나감의 상징입니다. 여인이 결혼을 앞두고 있었는지, 죽음 혹은 이별을 앞둔 사람이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답니다.
0 XDK (+9,250)
-
9,250
-
ㅅ 0
ㅜ ㄹ ㅅ ㅜ ㄹ
-
많이아픈건 아닌데... 자려고 누우면 허리가살짝아픔 원래 그런가
-
오야스미 0
네루!
-
뱃지 신청하면 3
보통 얼마정도후에 발급되나여? 빨리 받고싶다 !!!!
-
올해로 (만) 20세다
-
내 본명 5
김순대
-
일하는 곳 온도가 너무 낮아서 그런가 쪼금 아픈 거 같은데 괜찮겠지
-
풀이 까지는 아니더라도 사고과정 알려주면 5000덕 12
수학황들의 사고과정을 앞으로 덕코로 사겠음
-
뭐가나음? 만점백분위랑 개념량 등등 다 포함해서 참고로 한지는 내신베이스임 (9년전…)
-
회색 츄리닝 바지 면티에 후드집업 아니면 가디건 머리에 찍찍이 붙여서 고정하고...
-
응급의학과나 법의학 쪽으로 가고 싶었다고 근데 의대의 벽이 너무 높아서 슬플 뿐.....
-
공대기준 최소학점만 박고 1학기 다닌다고 치면 복학했을때 타격 큼?
-
근데 술 깨니까 다른사람들인데 이거 뭐지..
-
ㅠㅠㅠ 빡쳐서 힘줬더니 바스라짐
-
너무 마음아픈일이다..
-
메가스터디 :: 바른공부 링크 타고 들어가면
-
안해 3
ㅈㅈ
-
일물2 일화2중에 뭐가더 빡셈??? 나 생지로 대학가서 모르겠으,,
-
부엉이 인형이랑 담요가 더 필요한데 4월까지 어케 기다림
-
뭐냐 0
.
-
싸악
-
내가 반수를 왜 했냐면 21
그것도 왜 2번이냐 했냐면 꿈을 포기할수는 없었으니까
-
??? : 야 시발 하프모의고사는 뭐야 ㅋㅋ? 너네 대학 반만 갈거야? 아니...
-
정신나갈거같아
-
투데이 ㅇㅈ 1
222 편안하다
-
분명히 국어에 모든걸 걸어야하긴 하는데 이번주에 국어 20분했네
-
반수 3
현역 25학번이고 논술로 중대 상경 등록했는데 과 상관 없이 성대 가는게 목표였어서...
-
영차영차
-
고2때도 국어가 높3~낮2였어서 그냥 고3때는 3등급 받을 목표로 학원+자습으로...
-
술한잔햇습니다 6
네
-
적정만 가도 대박 아님? 95 99 3 90 88 인데 추가모집 일단 아무데나...
-
마스크 쓰고 강의해서 배속하면 발음 잘 안들리는거 때문이엇는데 비문학 독해는 확실히...
-
등컷보니 그냥 너무 쉽게 냈던거 같은데 걍 걸러도 괜찮음?
-
대학 붙엇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공부하기 ㅈㄴ싫은데
-
후우 씹 7
나그냑너부좆같아 좀시발이제장난그만하고 행복해지고싶어
-
ajfl ek Qkwlrp todrutsp
-
일단 일섭은 일본 가서 영화 볼 수가 없어서 극장판 관련 한정 카드가 하나도 없음...
-
프리미엄 미션패스-2만원 컬러풀 패스-3만원 끝
-
저 집에 왔어요 7
안녕하세요
-
몇일전부터 읽고 있는데 꾸르잼
-
먹잇감 생기니까 억지부려가며 까내리네
-
그동안 놓친 인스타 스토리는 어떻게 배상할거냐고
-
이 돈으로 팔란티어를 샀었다면...
-
무럭무럭 자라렴
-
솔직히 작년 6모 12번<< 양승진이 제일 잘풀어줌ㅇㅇ 9
미지수 3개 쓰면서 계산지옥 버틴 것도 아니구 실전 개념 쓴 것도 아니고 그냥 y축...
-
에혀 그래도 적자는 아님 흐흐
-
어그로 ㅈㅅ 합니다만 확통 쉽다고 하는 분들은 도대체 어떻게 쉽다고 느끼시는거임?...
-
06잼민이입니다.
사회 기득권 다 쥐고 있는 세대가 아직도 시대탓?
오랜만이에요
예, 글에 오타가 있어서 고치려고 왔더니 우리 미래의 선생님께서... 잘 지내시지요?
유튜브 하나 보다가 이런저런 아쉬움에 글 하나 적었습니다. 항상 평안하소서.
워낙 힘든 시대에 사신 분들이기에 더욱 편중된 시각을그때 당시로써는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지 않았나 싶기도 합니다 그래서 단지 막 비난 비판만 하지는 않는게 저의 입장이네요 다만 이제는 없어져도 될 것들 즉,이전의 부정적인 흔적들이 남아있기 때문에 그것이 안타까운 것 아닌가 싶습니다 이번엔 윗글과 관련된 얘기지만,저도 이런 미학적인 얘기들과 같이 좀더 다양한 분야에의 접함이 우리나라에 필요하다고 봅니다 아니 세계에 말씀이죠 그래서 글쓴이분 말씀이 어느정도 타당성이 있다고 보네요!! (뻘글이랍니다)
이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평안하소서.
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