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하며 읽기와 눈알 굴리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098341
0
지문에 정보 A, B, C, D, E가 제시됐다고 합시다.
A, B는 지문의 토대가 되는 정보(개념정의 등)이고,
C, D, E는 A, B로부터 도출되는 정보입니다.
이때 A, B로부터 C, D, E가 도출되는 과정을
완벽하게 이해하면서 읽는 것이
항상 바람직할까요?
1
2011학년도 수능 그레고리력 지문은 오래되었지만 난이도가 높았어서 아직도 많이들 강의합니다. 저는 전기추에서 전개년 수능 기출문제를 다 해설하다 보니 당연히 다루고요.
근데, 탐구심이 강한 어떤 학생이 이런 질문을 해왔어요.
릴리우스는 연도가 4의 배수인 해를 윤년으로 삼아 하루를 더하는 율리우스력의 방식을 받아들이되, 100의 배수인 해는 평년으로 400의 배수인 해는 다시 윤년으로 하는 규칙을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 이것은 1만 년에 3일이 절기와 차이가 생기는 정도였다. |
릴리우스는 왜 이런 윤년 규칙을 제안한 건가요?
2
윤년 규칙은 지문으로부터 완벽하게 추론가능니다.
카이사르가 제정한 태양력의 일종인 율리우스력은 제정 당시에 알려진 1년 길이의 평균값인 365일 6시간에 근거하여 평년은 365일, 4년마다 돌아오는 윤년은 366일로 정했다. (중략) 그레고리력의 기초를 놓은 인물은 릴리우스였다. 그런데 무엇을 1년의 길이로 볼 것인가가 문제였다. 릴리우스는 당시 가장 정확한 천문 데이터를 모아 놓은 알폰소 표에 제시된 회귀년 길이(춘분과 다음 춘분 사이의 시간 간격)의 평균값을 채택하자고 했다. 그 값은 365일 5시간 49분 16초였고, 이 값을 채용하면 새 역법은 율리우스력보다 134년에 하루가 짧아지게 되어 있었다. |
밑줄 친 문장은 앞서 나온 정보로부터 논리적으로 도출됩니다. 그레고리력 1년 길이는 율리우스력 1년 길이보다 10분 44초 짧습니다. 이 차이가 134년 누적되면 10분 44초 × 134 즉, 23시간 58분 16초가 짧아집니다. 그래서 지문에 134년에 하루가 짧아진다고 제시된 거고요.
율리우스력에서 윤년을 정한 이유도 추론할 수 있습니다. 실제(365일 6시간)가 달력(365)보다 6시간 많으니까, 4년이 지나면 6시간×4가 누적되어, 달력이 실제보다 하루 뒤쳐지게 됩니다. 따라서 4년마다 윤년(366일)을 도입하여 차이를 보정하는 거죠.
3
여기까지 따라왔다면 릴리우스가 제안한 윤년 규칙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릴리우스는 연도가 4의 배수인 해를 윤년으로 삼아 하루를 더하는 율리우스력의 방식을 받아들이되, 100의 배수인 해는 평년으로 400의 배수인 해는 다시 윤년으로 하는 규칙을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 이것은 1만 년에 3일이 절기와 차이가 생기는 정도였다. |
그레고리력의 1년 길이(365일 5시간 49분 16초)는 평년(365일)보다 5시간 49분 16초 깁니다. 이 차이가 4년 간 누적되면 23시간 17분 4초고요. 따라서 4의 배수인 해는 윤년으로 삼아 하루를 더하여 보정합니다.
근데 이렇게 윤년을 설정하더라도, 4년마다 2,576초(약 43분)차이가 누적됩니다. 이렇게 100년이 흐르면 2,576초×25, 즉 17시간 53분 20초 차이가 생깁니다. 따라서 100의 배수인 해는 (4의 배수인 해임에도) 평년으로 하는 규칙을 정하여 차이를 보정합니다.
근데근데 17시간 53분 20초 차이를 하루(24시간)으로 보정하면 6시간 6분 40초의 차이가 100년마다 생기는 셈이죠? 이렇게 400년이 흐르면 또 24시간 26분 40초 약 하루 차이가 생기고요. 그래서 400의 배수인 해는 다시 윤년으로 하는 규칙을 추가하여 차이를 보정합니다.
근데근데근데 시험장에서 이렇게까지 이해하면서 읽으면, 문제 다 풀기도 전에 종료령이 울리겠죠?
4
A, B로부터 C, D, E가 도출된다고 하여,
그 도출과정을 완벽하게 이해하면서 읽는 것이
항상 바람직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1) 생략된 논리적 관계를
적극적으로 채워가며 읽어야 할 때도 있고,
2) 큰 흐름을 잡은 상태에서
'대충' 이해하면서 읽어야 할 때도 있고,
3) 이해도 기억도 어려워서 체크해놓고 넘어갔다가
문제풀이시 눈알 굴려야 할 때도 있습니다.
어떤 전략을 택하며 읽어야 할지 체득하기 위해서는
일단 많은 양의 기출문제를 분석해봐야 합니다.
(물론 스스로에 대한 분석도 필요한데,
이건 다음에 다루겠습니다.)
5르비클래스 광고 (좋아. 자연스러웠어.)
만약 국어공부를 남보다 늦게 시작했거나
국어공부에 투자할 시간이 부족한 학생이라면,
전기추1(23시간), 전기추2(28시간)를 통해
전개년 수능기출문제를
빠르게 분석하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아래 이미지를 눌러보면,
전기추에 대해 좀 더 잘 알 수 있을 겁니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책은 다샀는데 풀기시러.
-
자신감에 너무 가득찼나 싶네 근데 그땐 진짜 잘했는데 왤케 못하지 아아아아 문학 감...
-
26년도 6모 국어지문으로 국어공부를 시작해야겠다 으흐흐
-
승리 현강 맨 앞자리는 되게 아이돌보는 느낌인데 유대종 현강 앞자리들은 다 만담쇼나 개콘보는 느낌임
-
이론적인 건 기억에 남아서 되는데 실제로 그렇게 하지를 못하네. 왤케 손에 안잡히지...
-
둘이 결혼한 이유가 뭐임 대체
-
더프 국어 0
언매 87이면 보정하면 2는 나올라나
-
지금이라도? 친구가 걍 확통 지금이라도 하라는데 내신도 안해서 아예 노베임....
-
2015번에 13번 연애 2025년 기준 21번 연애 도대체 10년간 8번의 여친을...
-
고1인데 선택과목 선택해야 함 물, 화는 당연히 하는데 나머지 한 과목이 문제.....
-
죽을맛이다. 6시 30분 기상해서 방금 이감 3-1 쳤는데 걍 머리가 잘 안돌아감...
-
고스트나 너구리 정도는 괜찮으려나
-
하루몇시간씩 투자해야할까요??
-
둘 중에 누가 더 어렵나용....?
-
내가 그게 안됨
-
5덮 국어 5
화작 작수 3 4덮 81점 3 5모 89 5덮 84점인데 국어 어떻게 해야지 1등급...
-
1등급 후반이 목표라면 한 커리 쭉 풀로 따라가는게 큰 의미 없을거 같은데 칼럼)...
-
혁신, 개방, 균형, 사회 투자, 사회적 자본, 그리고 평화! 0
한 개 빠졌네요.. 교육.
-
해축 야구판과 달리 롤판은 너무 유순해 쇼메야 임마 네가 베태랑인데 캐리롤 잡고...
-
얼버기 3
-
지금 내 상황 0
-
드릴 다했는데 4규 즌2 난이도가 어느정도인가요?
-
???
-
손창빈 1
독서정석민 듣고있는데 시험장에서 시간때문에 정석민식 이상적 독해가 힘든데 손창빈은...
-
왜 저희학교는 언급이 없는건지 ㅠㅠ
-
이제 9신데....ㅠㅠ
-
국어 기출 분석 할때 10
지문에 이해한 방식과 생각 선지에.정답의 근거 이런거 적어야 하나요? 아니면 내가...
-
전에 수능 끝나고 심심해서 미적개념 공부했는데 풀리면 ㄱㄱ? 적분퍼즐 극복못한 기억이 나긴 하는데ㅠ
-
근무지에 볼펜이랑 샤프 여분을 두고 다닐까 하 개빡치네
-
지구 n제 2
지구 무ㅜ해야함? 솔텍 끝낫는데 엔제풀거 뭐잇지
-
왜지…? 4덮 87 5덮 79 ㅅㅂ… 2는 뜰랑가 모르겠네
-
교재 안사고 수특만 가지고 들어도 괜찮을까요?
-
미적 이해원 하려고 하는데 제대로 한건 6모범위까진디 0
하면 안되겠죠? 사규 미분법까지 다 풀었는데 이해원은 통으로 되어있는거같네요?
-
화2 반응속도 0
6모때 온도 변화주는 반응속도 문제는 안나오나요? T1 T2해서 반감기 달라지는 문제요
-
지거국의를버리고서울대를쓰고 진짜신분상승버닝이벤트얐는데
-
국어 수특 강의 3
그냥 수특 혼자 쭉 풀고 강사분들 교재로 강의듣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그냥 수특풀고...
-
역전세계는 없겠지?
-
대학가서 3
대학가서 인스타 계정은있는데 스토리나 게시물 아예 안올리면 찐따됨?
-
비 오겠다
-
지석이형 0
김지석 선생님 수학 엄청 잘 가르쳐 주시는 거 같은데 조회수가 왜이리 처참하지
-
구매완뇨..
-
얼버기 23
머리아파요
-
진짜 기만이 아니고 현장에선 완전 막 막히진 않은거같아서 물어봅니다 CB가 원O2에...
-
수능니 신조오 사사게오
-
들어라 그대여 3
보아라 그대여 기억하라 우리의 붉은 함성을.
-
유관민 2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안되는데..
-
현 고2입니다 방인혁을 들으면서 펀멘이랑 프솔을 플고있는데 전 한 문제를 복잡한...
-
강사 평가 2
줄여서 강평 ㅋ
-
어렵다길래 풀어봤는데 진짜 어렵네요 시간 꽉 채워서 썼는데도 15,20틀렸네요...
아주좋은 글이네요
제가 분석하고 고민한 것과 일치하네용
고맙습니다. 이 정도 단계까지 고민하셨다면 상당한 실력자일 것으로 추정합니다. :)
수능 끝나고 여러 컨텐츠들에서
19학년도 이후로 '완벽한 이해가 되지않으면 망하기때문에 '모든문장을 이해하려는걸 지향하며 공부해야한다는 주장들이나
독학서들에도 이런말이 있던데
이해의 깊이는 주관적이어서 완벽한 이해의 정도는 정할 수 없다고 생각해요.
해황쌤말씀대로 심지어는 '체크만해두고' 돌아가야하는 정보도 분명히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칭찬 감사합니다
작년에 기출분석 3달걸린거
94부터 12년도까지 3주걸렸습니다
감사합니다
열공해줘서 고맙습니다. :)

제가 학생들한테 "시험장에서는 여기까지만 알고 있었어도 문제를 풀 수 있었어."라고 말하는 맥락과 비슷한 거 같네요원래 알고 있던 분야의 글이 제시되었다면 완벽하게 이해하며 읽는 게 가능할지도 모르겠지만, 제한 시간 내에 낯선 지문을 100% 이해하며 읽는 건 사실 힘든 일이죠.
많은 학생들이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을 짚어주시는 좋은 글 감사히 잘 봤습니다!
공감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난 왜 이해가 안가지...전 걍 율리우스력 그레고리력 윤년 등등의 내용 배견지식으로 외우고 갈래요 하하
이 글을 읽는 분들은 2100년에도 살아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상식으로 알아둘 만합니다. ㅎㅎ
눈팅만 하려 했는데 너무 완벽해서 글을 쓰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갓

가치를 알아봐줘서 고맙습니다 :)엌ㅋㅋ 제가 이거 쓰려고 칼럼 다 준비했는데 먼저 올리셨군요...눈물의 삭제 버튼 누르는 중...
같은 관점의 칼럼러를 만나면 반가운 일이죠 ㅎㅎ 팔로우하고 지켜보겠습니다!
영광입니다 선생님...
제한시간 내에 할 수 있는 만큼은 본인이 하고, 나머지는 문제에 맡기는 게 좋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