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질문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663842

이 지문에서 결과에 집중하기보단 새로운 의문 즉 새로운 무지를 발견(discovery)하는것을 긍정하고 있잖아요!! 근데 마지막에 노벨상 예시를 들때 왜 single discovery, a result 라고 함으로써 결과와 발견을 동일시하는지 모르겠어요 지문 전체 문맥상으론 결과와 발견이 대립대는 구조 아닌가요?? 저부분이 이해가 잘 안가네요ㅜ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양대학교 ERICA LIONS칼리지 25학번 신입생을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LIONS칼리지 TF팀입니다.? 힘든...
-
사실 이건 개인에 따라 좋을 수도 있고 별로다싶을 수도 있는데(올해는 또 바뀌었을...
-
에리카 재학생이고 생각보다 재학생으로서 실망했던 부분이 많고 오르비에 에리카 훌리가...
수여되는 대상이 하나의 결과 또는 발견
이라서 그런듯 그 문장안에서 대립은 평생의 결과와 단 하나 라서 두개를 넣어둔거 같고
문맥상 동일시가 아니라 단순 나열 정도 인거 같아요
이 지문에서 결과에 집중하기보단 새로운 의문 즉 새로운 무지를 발견(discovery)하는것을 긍정하고 있잖아요!!
→ 구도잡기가 숙련이 안된 상태에서 이렇게 구도를 추상적으로, 그리고 단순하게 잡아버리면 안됩니다.
근데 마지막에 노벨상 예시를 들때 왜 single discovery, a result 라고 함으로써 결과와 발견을 동일시하는지 모르겠어요
→ 단순히 결과vs발견으로 간단히 구도만 잡고 맥락을 고려하지 않으시니까 생기는 문제입니다. 맥락을 잘 잡고 이해했다면 왜 노벨상에 대한 예가 나오는지 알 수 있습니다.
지문 전체 문맥상으론 결과와 발견이 대립대는 구조 아닌가요?? 저부분이 이해가 잘 안가네요ㅜㅜ
→ 아닙니다. 이 지문은 결과vs발견이 아니라, 애초에 결과도 발견도 중요한게 아닙니다.
오히려 때로는 결과=발견으로 서술되는 부분도 있어요. 그게 본인이 질문한 discovery, a result 부분입니다.
오히려 이 지문의 핵심적인 키워드는 '결과(발견) 다음의 것이 중요하다'입니다.
1. 과학에서 진짜 중요한건 무지의 '개선'이다.
2. 그런데 요즘은 결과만 지향한다. 근데 이건 잘못된거다.
(즉 결과지향과 반대 내용, 예를 들면 과정중심 뭐 이런걸 뒤에서 강조할지도)
3. 훌륭한 과학자들은 결과가 아니라 '그 다음 질문'에 집중한다.
(이제와서보니 결과중심x니까 과정중심? 이것도 x- >결과 다음의 또 따라오는 질문들이 중요하다는걸 깨달음)
4. 노벨상도 일생의 연구결과를 통해 상을 주는게 아니라 단 한 번의 발견, 즉, 결과로 상을 수여하긴 하지만, 결국 그 상도 '새로운 필드를 열거나, 필드를 아에 바꿔버리거나, 예상치못한 새로운 방향에서의 새로운 필드를 가져온다는 점'을 고려해서 주는 걸 보면, 결국 노벨상 위원회도 '결과다음의 것(=어떠한 발견 이후 따라오는 것) '을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