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1 황들 모여보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195143
이 문제 ㄷ 어떻게 풀어요? 풀긴 풀었는데 맞았는지도 잘 모르겠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냥 ㅎㅎ 마음가짐한다는생각으로 글남겨요 모두들 마지막...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195143
이 문제 ㄷ 어떻게 풀어요? 풀긴 풀었는데 맞았는지도 잘 모르겠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그냥 ㅎㅎ 마음가짐한다는생각으로 글남겨요 모두들 마지막...
고유시간 때문에 그런거 같아요
그냥 길이수축 정도일 것 같은데.. 확신은 없네요
우주선 1과 관측자 C가 교차하는 순간 C가 관측한 우주선 사이의 거리가 고유길이이고, 관측자 A가 B보다 빠르게 이동하고 있으므로 고유길이에 대한 길이 수축의 정도가 커서 틀린 선지가 되는 것 같아요
길이수축으로 풀면 안 돼용
A와 B가 서로 다른 관성계에 있는데
고유길이는 같은 관성계에 있는 문체끼리의
거리라서
좁혀진 거리 아닌가요??
길이수축?
저는 고유시간 때문에 A가 B보다 1 2사이 거리가 더 멀다고 생각했는데 사진 올려주신거 보면 B가 더 멀다고 되어있어서요
A입장에서 고유시간 아니에요?
고유시간이랑
거리=상대속도×시간
쓰신거 맞나용
네 A 관성계가 B 관성계보다 시간이 적게 걸렸으니 상대속도 * 시간 = 좁혀진 거리 라고 생각해서 A가 B보다 1 2사이 거리가 더 멀다고 생각했습니당
적게 걸리면
더 가까운거 아니에용?
A가 속도가 더 빠르니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거리는 좁혀지는거 아닌가용?
A가 속도가 큰 거랑 본인이 내린 결론이랑
어떤 관련이 있나용?
이렇게 나오지 않나용
와 이렇게 하니까 되네요!!
전 이렇게 풀었어요..

민코프스키 다이어그램저도 잘 몰라서...
근데 님 고유길이 있잖아요
관측자에 대해 물체의 양 끝이 모두 정지한 좌표계가 존재해야만 측정 가능한건가요?
예를들어 점점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위 문제처럼) 물체같은건 ㅎㅎ 측정 불가능한거죠?
그춍

대단하시네요이거 어디문제에요?
저도 상대론 공부하다 dc 물1갤에서 퍼온거여서.. 답도 몰라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