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感 더하기]- 서술상의 특징 문제 해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18786

제 칼럼은
여러분의 국어에 더해서 사용할 노하우입니다.
수능 국어가 어려운 이유는 대표적으로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지문이 어려워서 독해가 제대로 안 되기 때문에
둘째, 정답을 닮은 매력오답 때문에
이중에서 두 번째의 매력오답 때문에 선지 둘 중의 하나를 정답으로 고민하는데 시간을 다 보내기 마련.
게다가 매력오답에 빠지거나 나중에 고쳐서 틀린다면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수능 국어에는 다양한 발문 유형이 존재한다.
그 중 비문학과 문학에 상관없이 ‘지문의 서술 방식 혹은 표현상의 특징’을 묻는 문제는 매 시험마다 등장한다.
이 유형에서 정답과 오답의 관계성을 살펴보자.
먼저 최신 3년간의 수능에 출제된 발문을 모아보면,
공통적으로 들어있는 말인 ‘가장’에 주목해보자.
보통 발문에 ‘가장’이 들어가 있으면, 정답 선지와 매력오답 선지가 존재한다. 이 둘은 닮은 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조심해서 더 지문과 자료에 적절한 것을 고르라는 출제자의 친절한(?) 의도이다. 그리고 이 ‘가장’은 복수 정답의 논란을 막아주는 유용한 도구인 셈이다.
그렇다면, 수험생 입장에서는 이를 역으로 생각해 보자.
1) 발문에 ‘가장’이 있으면 더 적절한 것을 고르라는 출제자의 의도가 있기 마련.
2) 정답과 매력오답이 존재.
3) 정답과 매력오답은 공통점이 있어 닮았다.
4) 5개의 선지에서 공통점이 있는 선지 쌍이 발견된다면 이 중에서 정답이 있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
다음 문제의 정답과 정답을 닮은 매력오답을 살펴보자.
♣ 선지 4,5에는 대상에 관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 공통되 서로 닮아 있다.
정답과 매력오답은 다음과 같이 밀접한 관련성으로 공통성을 지니기도 한다.
♣ 선지 1의 자조적(자신을 비웃는 듯한) 표현은 선지 3의 영탄과 독백으로 표현되기 마련이므로 가장 공통성을 지닌다.
그럼 대표적인 두 문제의 유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국어 시험의 Rule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매력 오답'의 R u l e- 「Ⅶ. 공통 선지의 법칙」
선지의 일정한 패턴과 Rule을 통해서 정답의 가능성을 파악하여 문제 풀이의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5개의 선지중 하나의 선지가 산술적인 정답의 확률은 20%이지만 가장 적절한 것을 묻는 최선 긍정 발문형 문제에서 최대 공통점(닮은 꼴)의 한쌍이 존재하는 경우 그 둘 중 하나의 선지가 정답이 될 가능성은 약 75%이다. (평가원 20개년 국어 시험 통계)
여기에서 선지 간의 최대 공통성은 다음과 같다.
최대 공통성(닮은 꼴)?
1) 선지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핵심어나 서술어(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 등이 서로 동일(1순위)하거나 유사 의미성(2순위)을 이룸.
2) 서로 긴밀한 문맥적 관련성(1.대등 2.인과 관계로 연결)을 가짐
3) 한 쪽이 다른 한 쪽의 대부분 내용과 특성을 포함함.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2015 수능의 공통 선지 쌍을 직접 찾아보자.
정답 및 해설
⇓⇓⇓⇓⇓⇓⇓⇓⇓⇓⇓⇓⇓⇓
⇓⇓⇓⇓⇓⇓⇓⇓⇓⇓⇓⇓⇓⇓
⇓⇓⇓⇓⇓⇓⇓⇓⇓⇓⇓⇓⇓⇓
⇓⇓⇓⇓⇓⇓⇓⇓⇓⇓⇓⇓⇓⇓
Ⅶ. 공통 선지의 법칙의 유용성
국어 시험은 반드시 지문을 통해서만 선지의 정답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지문을 근거로 정답을 설정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절대적인 상황에서 지문을 고려하지 않고도 선지의 정답 가능성을 파악해 볼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발견이자 수험생에게는 문제 풀이 감각을 신장시키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결국엔 지문을 보고 정답을 찾는 데 이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라고 반문할 수 있겠지만 위의 내용을 아는 상태로 지문을 접근한다면 그렇지 않은 수험생보다는 시험 심리나 시간 관리면에서는 우월할 것이다. 그리고 최소한 공통되지 않은 3개의 선지에 높은 정답을 확신하면서 많은 에너지를 쏟는 비 효율적인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국어 시험은 지문을 읽고 선지를 하나씩 지워나가면서 정답에 가까운 선지를 찾아내는 과정이다. 선지를 보는 몇 초라는 짧은 시간에도 수험 생활 몇 년간 공부한 지식과 노하우가 집약되어 머릿속에 떠오르게 되며 문제를 풀게 된다.
여러분의 기출 공부+독해력 공부+모의고사 공부+문제 풀이 기술 및 노하우 공부
거기에 위의 Rule을 하나 더 더하자.
국어 시험에 대한 시야가 확장되고 문제 풀이 감각이 향상될 것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명학 션티 3
영어 2~3등급 진동하구요 무조건 1등급 목표입니다.. 어떤 쌤 들을까요ㅠㅠ
-
앞으로 군대가기 전까지 민주누님 또는 유연누님 써클돌립니다.
-
ERA 2.73 102 1/3이닝 6승 4패 12세이브 WAR 4.16다른 사람이면...
-
고2 3개년치 기출 풀어보면 국 1초~2후 수 2후~3초 영3~4 뜨고, 이번 3모...
-
연료 충전하기
-
1등급은기대안합니다 졸다가 2,3번을틀렸네여 퓨
-
국어(화작) 90 수학(미적) 81 영어 80 생윤 40 사문 44 등급은 어느정도...
-
한국을 상징하는게 일본에 비하면 ㅈㄴ 적지만 리거중에 한국인이 가장 많고 뷰어쉽도...
-
이문세 - 봄바람(feat. 나얼)[2015]
-
오랜만에 카카페 보관함 보는데 예전에 연재 중이 던 게 꽤 많이 완결 남 하긴 웹소...
-
서울대 정시로 문과 하위과 갈려면 백분위 어느정도 나와야하나요? 13
내신은 전교과 2.7 국영수사한 하면 2.3 정도입니다아마 bb아닐까 싶은데언 확...
-
인원ㅈㄴ모아서 쪽팔려게임 왕게임 진실게임 이런거하고싶음 도파민ㅈㄴ필요
-
너무허무하게풀림....
-
군수생 확통으로 넘어가기로했습니다 미적은 이제 이미지 미친개념 절반 수1 수2는...
-
힘드네
-
줄서요 줄
-
1. 난이도 지인선 n제 > 이해원 2026 > 이해원 2025 2. 특징...
-
교수님을 기다리는 나 25
물론 동아리의 이예린 교수님..
-
수분감 해야되나요… 12
고2 모고는 3 6 9 10모 다 100점이고 고3 3모 21틀 96점입니다. 수1...
-
이건 현장에서 어캐 맞췄는 지 몰겠네 존나 어렵네 진짜 ㅋㅋㅋ
-
전 노란색
-
영어 내신 4
그냥 서술형 다없애고 본문 외부지문 변형으로 40문제 꽉꽉 채웠으면 3년 연속 100 자신있는데ㄹㅇ
-
화작런 해야됨? 1
3 모 턱걸이 3인정도로 국어 못하는데.. 언매는 하나 틀리긴 함. 상담 받으니까...
-
화작 86 확통 72 영어 2 (81) 사문 47 지1 41 집모인데 이러면 재수하게 생겼네..
-
물리 문풀 질문 0
학교 기출인데 21번에서 탄퍼 최대라는게 B랑 분리된 상태에서 최대로 늘어난걸...
-
포기했음 0
-
이성적으로 메디컬 아무데도 못갈거같은데 그냥 처버리고 정시만 편하게 하고싶다 하...
-
부울경은 부산치20명도 들어왔는데 비슷하지 않을까요?
-
ㄹㅏ우ㄴㄷ 6 2
나주ㄱㅇ
-
연립방정식 가스라이팅(250629, 4월 더프 13번) 17
중학교 시절 연립방정식을 배울때부터 항상 듣던 말이 있다. '식이 2개면 문자가...
-
난 여잔데도 페이커 닮았다는 말 많이 듣는데... 오빠는 윙을 닮았구나...
-
작년까지는 선천적인 수학적 감각이 부족해서 수학을 엄청 못했었는데 바짝 수학공부 좀...
-
개념을 빼놓고 다니는 고등학생들이 이써요
-
물어볼게 있어서 그래오
-
같은 학교 같은 학과 같은 학년이어도 시간표에 있는 수업 이름 자체가 다를 수가...
-
하탐구빨리끝내자 2
개념만이라두
-
6평 쳐보면 알겠지 뭐
-
뭔말알?
-
6평 목표 4
97 98 1 99 95 젭알 택도없는건 잘 앎
-
라운드5 6
-
지옥같은 시간 평생 안 흐를 줄 알았는데 겨울도 다 지나고 곧 여름인게 안 믿김
-
수1 수2 추천 ㄱㄱ ㅠㅠ 난도 좀 있는걸로 메가패스 없어서 뉴런 사려고 몇심만원 결제할 깡이 없음
-
혹시나 의사가 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개존잘은 못될거 같아서 슬프네요 의사인데도...
-
한티옥 손 1
직원분이 이제 나를 알아본다
-
하 사탐개념도 안 끝낫는데
-
의외로 교과외인 것 20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는 교과외입니다. 즉 삼차함수 f(x)=t의 서로 다른...
-
재수생분들은 일요일에 공부를 하시나요? 아니면 그냥 쉬시나요
-
언매 안풂 미적분 92 - 1컷 84 영어 안풂 화1 38 - 1컷 48, 2컷...
쪽지하나만남겨주심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