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oreance · 970944 · 22/02/20 21:15 · MS 2020

    아 님 그 피카츄프사님이엿구나

  • scoreance · 970944 · 22/02/20 21:17 · MS 2020

    근데 제가 상식이 없어서 그런데 효용이 무슨개념이에요?

  • ㅤ ㅤ · 738994 · 22/02/20 21:20 · MS 2017

    어떤 경제주체가 특정 재화를 일정량 소비할 때 느끼는 이익을 수치화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scoreance · 970944 · 22/02/20 21:33 · MS 2020

    어..내쉬균형이란게 개개인의 효용이 각각 극대라는건가요?

  • scoreance · 970944 · 22/02/20 21:49 · MS 2020

    그니까 내 효용이 최대이도록 하는 전략은 상대 전략에 의존하니까, 이 극대 조건을 편미분으로 구하고, 기하적 관점에서 직관적으로 해석까지 해서 마무리한것으로 이해되는데

  • ㅤ ㅤ · 738994 · 22/02/20 22:44 · MS 2017

    네 여기서 말씀 안 드린 게 있는데

    게임이론에선 상대방이 얼마를 먹느냐는 전혀 신경을 안 쓴다는 것이 첫 째고 (그러니깐 사촌이 땅을 사서 내 배가 아플 일은 없음… 혹은 내가 좀 손해보더라도 저놈 엿먹이는 게 더 좋으니 이렇게 하겠다 이런 일도 없음)

    두 번째는 사실 더 핵심적 전제인데
    common knowledge of rationality입니다
    모든 참여자들이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서로 그러한 사실을 알고 그러한 사실을 아는 걸 모두가 알고 그런 걸 모두가 알고…이런 네..

  • scoreance · 970944 · 22/02/20 21:52 · MS 2020

    근데 conclusion이 시사하는 바가 정확히 먼지가..음
    생소한 주제라 좀 헷갈리네요
    사회적 최적을 위한 선택보다 내 이익을 위한 선택이 더 많은 소비를 일으킨다?
    전 사실 공유지의 비극이 먼지도 잘 모르는,,

  • ㅤ ㅤ · 738994 · 22/02/20 22:48 · MS 2017

    공유지의 비극은
    예를 들어 어떤 경작지가 있을 때
    실제로 사회적으로 적절한 사용량이 있는데
    모두가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선 그거보다 과도하게 사용된다는 것이 요지에요

  • scoreance · 970944 · 22/02/20 21:53 · MS 2020 (수정됨)

    재밌긴하네여
    마지막에 언급된 책 함 사보고 싶은데 내용 괜찮나요?

  • ㅤ ㅤ · 738994 · 22/02/20 22:48 · MS 2017

    영어책이라 영어만 독해하실 수 있으면 괜찮죠
    다만 후반부 내용이 상당히 난해합니다(도덕적 해이, 역선택 파트)
    근데 구글링하면 피디에프도 나오긴 합니다

  • scoreance · 970944 · 22/02/20 22:50 · MS 2020

    ㅘ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그림같은 집을짓고 · 1043349 · 22/02/20 22:59 · MS 2021

    토픽추천은 아니긴 한데.. 유튜브에 3b1b 같은 채널 좋아하실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