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다 댓으로 재밋는 토픽 아무거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4968833
자유롭게 서술하고 가주세요..
만약 수학이나 물리얘기면 더 좋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가 수시 안 놓았으면 1.8인데 수시 놓고 정시로 건동홍 와서 궁금해서요.. 그때...
-
몇등급인가요??
-
드릴보다 어렵나요??
-
5덮 피드백 1
언매 4번: 2번 걸렸는데 5번에서 김간은 정 없어서 (시간없어서) 걍 5번찍고...
-
영어2뜰 확률이 더 높음
-
내가 담배를 맛있게피긴해,,
-
시즌1 미적 난도 어떤가요??? 쉬운가요??? 기다렸다 시즌2 푸는게 좋을까요???
-
저러기도 쉽지 않은데 ㄷ
-
25입시에서 내신 cc로 들어가신 분들.. 설문과 합격자 분들 몇점으로...
-
엉엉 수학 첫 백점임 엉엉엉
-
수학1 수학2같이 수능범위로 내신시험 친 학교 있나요?
-
근데나게이라어떤짓을할진나도모름 으흐흐
-
기차에서 풀어서 집중이 안되기도 했지만 10번 빼고 2분남아서 타이머 멈춘.. 시간...
-
재밋네이거 3
이재명지지자들이카페바로앞에서춤추고잇음
-
대충험한욕
-
면접 테스트를 보기로 했는데 뭐 준비해 가야할까요..? 킬러랑 지엽적인 문제가 나올까요..?
-
저 0
능
-
안녕하세요. 경북대학교 의예과 23학번 지니입니다. 생명과학 1을 어려워하는...
-
5학년인가 남자애들이 아저씨 잘생겼어요 이럼ㅋㅋ
-
주말까지 2
-
인생처음으로 수학앞자리 6나옴 ㅋㅋ 근데도 2등급이었음
-
헤헤 9시에 보쟈
-
우웅 ㅠㅠ
-
심찬우 사설 4
심찬우 수강생분들 실모 문학 풀때도 심찬우식으로 푸시나요?
-
서프 현역 질문 2
현역이고 20 22 29 30틀렸습니다. 혹시 이러면 2등급 뜰까요?
-
기숙학원에서 반수하기전에 한달정도 개념 빡세게 잡고 들어가려고 하는데 어떻게...
-
2022처럼 나오면 그냥 작살나겠구나ㅇㅇ 진짜풀면서 똥물 콧물 눈물남
-
경제한테 만표 닦여버린 투과목 호소인 ㅋㅋ
-
휴릅해야하는데 7
강한중독. . .
-
뭐가 더 빡셈요?
-
ㄱ이 6이라는데 4아닌가요??
-
조화진동자에서 전이는 delta v =±1일때 허용된다
-
학종호소인 5모+중간 16
6모 때는 꼭 31133 or 21233을 받겠습니다..
-
문학은 각 파트별로 몇분씩 쓰는지 궁금힘 독서도 지문 제제별로 말해줘
-
이투스 국,수만 ㅈ됐네여.. 언매 78 2뜰까요?
-
6모까지 0
생윤 개념 복습이랑 기출 풀이 2회독 가능할까요?
-
수특 문학 벼치 0
일단 6모 전까지 현대소설, 고전산문, 고전시가는 다 해놓고 들어가려고 하는데요...
-
이미 약을 복용중인 ADHD 환자가 카페인을 복용할 시 심장에 큰 무리가 가므로...
-
일주일중 하루 쉬는 것도 안했는데 이번주는좀쉴까
-
불안하군 2
-
생윤 5덮 0
28점이면 평하타치는 되나요?
-
우울하군 5
-
맞팔을 구해요 5
칼럼을 쓰기에는 능력치가 후달리는 까앙인것이에요..
-
올바른 사회란 무엇인가쓰러진 자를 보고서 그저 비난만 하면서"다 죽어 이 씨발,...
-
8명 남음 7
으흫흐흐
-
계정 쿨타임 기다리는중인가
-
매운실모 8
풀면 다음날 설사한다는데 맞나..25강k 17회같은거 가끔 꿈에도 나옴
-
기울기가 왜 -1이어야 하는건가요? 해설지 뭔소리 하는지 모르겟는뎅
-
ㅇㄱㅈㅉㅇㅇ? 4
스텔라블레이드 니케 콜라보인데 10ㅋㅋㅋㅋㅋ
https://orbi.kr/00038669469/수식의%20관점에서%20바라본%20공유지의%20비극%20(1)
아 님 그 피카츄프사님이엿구나
근데 제가 상식이 없어서 그런데 효용이 무슨개념이에요?
어떤 경제주체가 특정 재화를 일정량 소비할 때 느끼는 이익을 수치화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내쉬균형이란게 개개인의 효용이 각각 극대라는건가요?
그니까 내 효용이 최대이도록 하는 전략은 상대 전략에 의존하니까, 이 극대 조건을 편미분으로 구하고, 기하적 관점에서 직관적으로 해석까지 해서 마무리한것으로 이해되는데
네 여기서 말씀 안 드린 게 있는데
게임이론에선 상대방이 얼마를 먹느냐는 전혀 신경을 안 쓴다는 것이 첫 째고 (그러니깐 사촌이 땅을 사서 내 배가 아플 일은 없음… 혹은 내가 좀 손해보더라도 저놈 엿먹이는 게 더 좋으니 이렇게 하겠다 이런 일도 없음)
두 번째는 사실 더 핵심적 전제인데
common knowledge of rationality입니다
모든 참여자들이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서로 그러한 사실을 알고 그러한 사실을 아는 걸 모두가 알고 그런 걸 모두가 알고…이런 네..
근데 conclusion이 시사하는 바가 정확히 먼지가..음
생소한 주제라 좀 헷갈리네요
사회적 최적을 위한 선택보다 내 이익을 위한 선택이 더 많은 소비를 일으킨다?
전 사실 공유지의 비극이 먼지도 잘 모르는,,
공유지의 비극은
예를 들어 어떤 경작지가 있을 때
실제로 사회적으로 적절한 사용량이 있는데
모두가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선 그거보다 과도하게 사용된다는 것이 요지에요
재밌긴하네여
마지막에 언급된 책 함 사보고 싶은데 내용 괜찮나요?
영어책이라 영어만 독해하실 수 있으면 괜찮죠
다만 후반부 내용이 상당히 난해합니다(도덕적 해이, 역선택 파트)
근데 구글링하면 피디에프도 나오긴 합니다

ㅘ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토픽추천은 아니긴 한데.. 유튜브에 3b1b 같은 채널 좋아하실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