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랑스런15학번이될게요 [457698] · MS 2013 · 쪽지

2015-01-11 22:13:58
조회수 697

생윤 롤스 질문이요ㅠ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468561

롤스 처음배우는데 어렵네요;;..

1.롤스 정의의 의의에서 이런말이 있던데..

사회적, 자연적 우연성 배제

이게 무슨말인지 도저히 이해가 안가요ㅠㅠ....,,!! 무슨말인가요..


2.절차적정의라는게..

롤스 자기자신이 설정한 가상상황. 즉 원초적 상황에서, 사람들이 모두 자기 자신이 어떠한 부를 가지게 될지 모르는 상태(무지의 베일을 이렇게 표현하는게 맞나요,,,,)에서 약자를 고려하는 선택을 다 동의할 것이므로 절차적으로 그것은 정의롭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정의롭다. 이런뜻인가요.. 즉 다 같이 도출해낸거니까 정의로운 것이다 . 이런건가요ㅠㅠ.




3. 무지의 베일... 이게 자기 자신이 랜덤으로? 어떠한 지위, 어떠한 경제적 부 등을 받을 지 모르는 상태를 말하는 건가요 아니면 자기 자신이 현재!! 어떠한 지위에 있고 얼마만큼의 부를 가지고 있는지 모르는 상태를 말하는건가요ㅠㅠ..



4. 정의의 원칙에서요.. 평등한 자유의 원칙이라는게..  정치적으로는 약자든 강자든 간에 말할 권리가. 말할 자유가 있다. 이뜻인가요?



5. 사회, 경제적 불평등 허용에서

차등의 원칙, 기회 균등의 원칙에서요!

기회 균등의 원칙이라는건 또 무슨말인가요?ㅎㅎ...


질문이 너무 많네요ㅠㅠ하나라도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셈 · 499570 · 15/01/11 22:23 · MS 2014

    1. 사회적 우연적으로 얻어진 재능이나 부, 능력을 배재하잔 말입니다 한마디로 출발선을 동일하게 만든뒤 경쟁하잔거죠 (롤스는 자유경쟁지지자입니다!!! 공산주의 노놉)

  • 수셈 · 499570 · 15/01/11 22:25 · MS 2014

    2. 약자를 고려하는 선택이아니라요, 무지의 베일에선 자기의 능력을 모르잖아요? 그래서 자기가 약자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며 (불안해하면서) 자연스레 약자에 대해 배려하게 되는겁니다. 롤스는 무지의 베일에 있던 사람들을 합리적 이기주의자라고 지칭해요!!! 결국 최소수혜자에 대한 배려가 아닌 자신에 대한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생각,판단에 따라 최소수혜자에 대한 배려로 이어지는거죵
    3. 현재 자신이 처한 상황을 모르는겁니다!!! 미래가 어찌될지 모르는건 원래 다들 그렇지 않나용..???ㅎㅎ
    4.이건 기억은 잘안나는데..개념서에 전확한 개념이 적혀져있어욤 ㅎㅎ
    5. 말그대로 기회 균등.... 4.5번은 잘 모르겠슴 ㅜㅜ정의를 그대로 외워야하는거라서 정의를 까먹었어용 ㅜㅜ

  • 자랑스런15학번이될게요 · 457698 · 15/01/14 00:32 · MS 2013

    정말 감사합니다 ♥ ^_^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ㅎㅎ

  • 필로 · 77297 · 15/01/12 23:48 · MS 2004

    1. 태어날 때 인간이 가지는 조건들이 다르지요? 예를 들어, A는 힘이 세고 건강하게 태어났으나 부모님의 사회적 위치가 낮고 경제력이 부족한 가정에서 자라게 됩니다. B는 또래에 비해 힘도 약하며 잔병치레를 하지만 부모님의 사회적 위치가 높고 경제력이 충분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조건들은 태어나면서 우연히 각자에게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자연적 우연성, 사회적 우연성이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2. ‘어떤 방식이 정의로운가?’에 대해 많은 사상가들의 연구가 있어왔는데요. 그 중에 한 가지가 바로 ‘절차적 정의’입니다. ‘절차적 정의’는 간단히 말하여 ‘절차가 공정하면 결과도 공정하다.’는 것입니다. ‘절차의 공정성’으로부터 ‘결과의 공정성’을 도출하는 방식이지요. 롤스의 인간관에 근거한 정의의 원칙 도출과정에서 ‘절차의 공정성’은 모든 합리적인 인간의 동의로 충족이 될 것입니다.(잘 이해가 안 가신다면... 추후 보충 설명 드리겠습니다. 제가 지금 원래 머무는 곳이 아니라서요.)

    3. 후자입니다. 내가 어떤 사회적 위치에 있고, 자연적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 알 수 없게 만드는 것이 무지의 베일입니다. 이를 통해 모든 사람들은 자신이 가장 약자일 수 있음을 고려하게 되어 롤스가 말하는 두 가지 정의의 원칙에 합의하게 되는 것입니다.

    4. 정치의 영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유’ 일반에 대한 원칙입니다. 대한민국을 예로 들어 봅시다. 우리나라에서 누릴 수 있는 ‘자유’의 범위가 작성자님과 저에게 각각 다르게 주어진다면 그 사회는 과연 정의로운 사회일까요? (정말 우스운 예지만 저는 이사를 할 수 있고 작성자님은 평생 한 군데서 사셔야 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아니겠지요? 롤스는 이것을 무지의 베일을 통해서 도출하게 되는 정의의 1원칙이라고 본 것입니다.(롤스가 사회적 약자를 고려하지만 자유주의자임이 여기서도 드러나지요.)

    5. 기회 균등의 원칙은 사회에 속한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기회에 주어져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똑같은 대한민국 국민인데 누구는 높은 사회적 위치를 가진 직업 시험에 응시하여 취업할 수 있고, 누구는 응시조차 할 수 없다면 기회가 균등하다고 볼 수 없겠지요?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이 적어도 이 원칙을 침해하는 수준으로 나아가서는 안 된다는 것을 롤스는 말한 것이랍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으면 얼마든지 질문을 남겨주세요.^^

  • 자랑스런15학번이될게요 · 457698 · 15/01/14 00:32 · MS 2013

    정말정말정말 감사합니다~~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