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은 왜 대부분 학교가 영어만 평가하는지 이해 ㄴㄴ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461414
영문학과면 몰라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 왜 4티어냐 0
높게사서 8티어면 될듯 ㅇㅇ
-
공부 계획 짜면서 아 이거 언제하지 어떻게하지 거의 한달 가까이 고민하다가 그냥...
-
나 정도면 평타 아닌가? 163 75면 평타아님? 솔직히 잘생긴건 아닌데 못생긴긴...
-
- 아무것도 없음
-
일단제디시닉은 6
쪽지드리면알려드림
-
우린 남이니까 3
즐기자
-
5초 4
-
나만 못생겼구나 9
그냥 오르비도 너네끼리 해..
-
ㅈ목이든뭐든 6
가슴사진은 이해가 안되긴 해요…
-
무섭다 무서워 절대 인증 안하지 캬캬캭
-
https://orbi.kr/00070435687
-
여기에 ㅇㅈ문화가 아주 큰 기여를 한거 같음 네 그냥 그렇다고요 네 뭐요
-
아이디어 어떤가요?
-
여름이 두려워요 작년이 너무 힘들었어..
-
11시반
-
커뮤니티의순기능 6
정신병억제가능함
-
네..
-
무서워
-
해설 들으면서 빨파검 볼펜 써서 더이상 색이 남아나지 않는데 마땅한 방법...
-
내가 그런것만 봐서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별로 이상할게 없는 한의대 글에 민감하게...
-
하.. 1
하..
-
노모 ㅇㅈ 7
아이고난1 아이고난2 아이고난3
-
뱃지 1
회원가입할때 실명 안쓰고 성만 써놨었는데 이러면 인증 안되나요?
-
장난이에요 사랑해요
-
노모가 뭐냐면..
-
흔들흔들열매
-
넵
-
나만 바라보는 거 보면❤️
-
팡팡밴든가 뭐시기랑 책 소개만 함....
-
그냥 그런느낌이 야시꾸리하게 든다
-
애교도 여기하고 찐친들 톡 제외하면 안함뇨~~
-
근데 현역 vs 재수도 아니고 재수 vs 삼수라... 이걸 연락을 해 말아...
-
근데 아까 치위생사분 마스크 써서 눈만 보였는데 좀 이쁘셨던거 같기도 하고
-
믿으시겠습니까
-
화1 생1 다 해본적 없는데 화1 화2 생1 생2 중에서 뭐봐야되나요?
-
옵스타만 응응
-
기질 및 성격 검사 140제 풀어야겠다
-
메가스터디 쪽에서여 시발점은 내신위주 커리라고 들어서 들어도 될지 잘 모르겠고 슈...
-
저정도면 걍 오르비Mk2잖아
-
감사합니다여러분은불소입니다
-
오르비 ㅇㅈ을 보면서 자괴감 느꼈다가 희망을 얻기를 무한반복하면서 지침
-
보여주는구나
-
에타에다가 하니까 WWE가 아니러 UFC더라 ㅇㅇ...
-
물리러는 즉시 날 팔로우하도록. 물2빼고
-
ㅋㅋㅋㅋㅋㅋㅋ
-
어차피 연구직 할 대가리는 아닌것같고 공대 전과해서 학사졸 취업 노리는데..
-
답답하네 ㅆㅂ 내가 뭐가 부족한상태인지 모르겠다
이공계는 편입시험 수학이랑 과학도 보지 않나요??
.
1. 상위권대학은 전공봐요ㅎㅎ 그리고 이과는 수학 당연히 봐요. 안보는 학교없어요.
2. 음 그리고 우선 편입시험은 영어시험이라기보단 영어로 치뤄지는 언어영역 정도로 이해하시면 편해요.
그 안에서 어휘, 문법, 독해, 논리 이렇게 네분야로 나눠지는데
이 논리와 독해를 위해서 작문도 공부해야 하거든요.
그리고 논리와 어휘는 주로 (일반대학원)GRE, (경영대학원)GMAT에서 발췌해오는데 혹시 이 시험에 대해 들어보셨을지 모르겠지만, 이게 미국내에서 흔히 식자층+상류층이 주로 보는 시험이에요. 우리나라에 비해 학구열이 없으면 절대 진학하지않는 미국대학원에 가기위한 시험인데(아시겠지만, 미국은 대학에 대한 의존도가 우리나라처럼 높지 않아서, 정말 갈사람만 가요. 학벌이 중요한 사람들에게는 무지무지무지 중요하지만, 안중요한사람에게는 그닥 안중요하거든요. 반면에 우리나란 그냥 모두의 관심사죠 학벌이..)아무튼 이런 미국인들 상대로 설마 '너 영어 가능하니?' 라는 수준의 문제를 낼리는 없겠죠.. 학교 교수님들도 틀릴정도의 고난의도 문제를 내서 매해마다 해프닝이 발생할정도로 어려운 고도의 논리력과 사고력을 유추하는 문제들이라, 정확히 말씀드리자면 영어시험이아니라 논리력, 사고력, 독해력을 본다고 봐도 무방해요.
3. 그리고 한국사, 기타 교양 사회과목을 봐야 할 것이라고 언급하셨는데, 그게 문제에 다 녹아있어요. 그래서 편입시험은 배경지식을 따로 공부해야 해요. 철학, 과학, 과학사, 세계사(한국사는 거의안나옴), 경제, 심리 등등
4. 생전 안쓰는 어휘라고 하셨는데 논문을 달고사는 식자층은 다 쓴답니다.. 대학원 수준의 지성인을 뽑겠다는 취지 하에 만들어진 시험이 GMAT, GRE이고 여기서 많이 따오기에 자연스럽게 어휘 난이도가 올라가는것 같아요. 게다가 아실지 모르겠지만, 동의어(유의어)사이에도 미묘한 차이가 있고, 아니 어쩌면 완전히 동일한 의미의 동의어가 없다고 말하는게 정확하죠. 어쨋든, 그 차이를 구분해서 아주 정확히 표현해야하는 분야가 많아요. 철학이 대표적이죠. 그래서 어휘수준이 더더욱 어려워져요. 그리고 전문용어가 난무해서 또 어려워지는건데, 이게 생전 안쓰는 단어가 아닌 논문에 난무한는 어휘랍니다.
5. 그리고 그런 시련을 넘어온 사람들이라면 대학전공과목도 해낼수 있을거라 여기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