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CAUse [989486]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2-02-06 18:16:46
조회수 3,807

이대 정원 적다는데 실제로는 안 적네(주요대학 정원 비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4518367

*반도체같은 계약학과는 정원외라서, 분교는 다른 학교라서 제외함


<SKY>

서울대 3280명 고려대 3854명 연세대 3413명


고대만 병설 보건대 합병으로 숫자가 유독 많은 것. 그 인원 빼고 세보면 3500명 정도로 연대와 비슷함. 


<서성한>

서강대 1574명 성균관대 3335명 한양대 2917명


성균관대의 경우 수원캠을 빼면 1631명이지만 실질적인 이원화로 운영중


<중경외시>

중앙대 4447명 경희대 4849명 한국외대 3377명 서울시립대 1738명


중앙대는 안성을 빼면 3267명, 경희대는 국캠을 빼면 2388명, 외대는 글캠을 빼면 1676명. 경희대는 실질적인 이원화에 가깝게 운영중이고 중대와 외대는 이원화로 운영하려고 노력하나 입결 차이가 꽤 큼. 중앙대와 경희대는 과거 본분교 체제로 경기도에 분교를 운영해서 비교적 정원확대가 유리했기에 정원이 비교적 많음. 


<이>
이화여대 3134명


딱히 이화여대 정원이 적지는 않아보임. 애시당초 일제강점기에 태동한 근대식 대학교육기관의 선두 중 하나인데 후발주자들보다 정원이 적기도 어렵고. 정원이 적다는 주장은 아마도 공학은 군 휴학생이 있어서 남학생 2학년치 재적인원이 수치상으로만 많아보이는 점, 막연히 공학에서 남자 빼면 여대니까 정원도 반토막이라는 착각에서 기인한 주장이 아닐까 싶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snbs · 1100435 · 22/02/06 18:21 · MS 2021

    시립대 캠 크던데 인원ᄌᆞㅑㄱ네

  • beCAUse · 989486 · 22/02/06 18:24 · MS 2020

    시립대의 4년제 전환이 사실상 정원 확대가 더 이상 불가능했던 1980년에 이루어짐 + 공립대학은 정원 확보에 목매는 사람이 적음 으로 부지는 많이 가져갔는데 정원은 적더라고요. 사실 서울대도 정원 많은 이유는 일제강점기 경성제대와 온갖 관립 전문학교 정원을 전부 흡수해서 덩치가 커진 편이죠.

  • 으르릉 · 747228 · 22/02/07 14:43 · MS 2017

    서강대는 인원 적다더니 실제로 ㅈㄴ적네요.....

  • beCAUse · 989486 · 22/02/07 20:02 · MS 2020

    서강은 ㄹㅇ로 적더라고요… 사실 서강대도 설립 시기가 1960년으로 출발이 늦은 학교는 아닌데 수도권 정비가 강화되기 전까지 시간이 많지 않은데다가, 재단측에서 리버럴 아츠 칼리지를 지향한 게 만나서 정원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인 것 같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