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놀랍지만 그건 사실이야
-
2304 부엉이와의 야차룰 ㄱㄱ
-
적당히 신나게 써야지
-
롤체 1
가르쳐줄사람 심심해
-
20명 뽑 현재 예비5번 가능…?ㅠㅠㅠㅠ 한양대요..
-
13번쯤 부터 슬슬 집중력 올라와서 풀고 그 페이스 그대로 공부하면 잘됐음
-
기도합시다… 0
오늘 제 모습이 되길 제발 간절히 기도합니다…
-
약간 두과목 결 비슷한가요? 걍 둘 다 사탐할지도 고민중인데
-
세계일류 탐정은 1
손톱길이만 보고도 빤스색을 맞춘다
-
친한애는 아니었는데 다른애들한테 듣기로는 수학 5등급인데 논술로 붙었다함...
-
책왔다 2
열심히
-
과목을 바꿈? 잠깐 쉼? 버티고 함?
-
저도 2칸합 이지만 경희경영 붙는 성적이었긴 해요 펑?크
-
ㅇㅇ중 캐니언이었는데 티어가 브론즈였음
-
안될거같았는데 확 빠져서 된거나 6시 얼마 안남고 전화 온거요 저에게는 기적이 필요합니다 ㅜㅠㅠ
-
있나
-
고>. 0
나 현역 때 고대 수시2차 결시하고 정시로 모교 갔는데 이거 맞다.
-
톡방 초대나 이런게 전혀 안되네용 원래 이런건가요??
-
연경 추합 전화 0
받은 분들 몇번까지 돌았나요?
-
개학전에 독서 문학 중에 하나라도 보고 드가려는데 투표좀 부탁해요 다른 방법 조언도 환영합니다
-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청각-뇌 손상 유발할수도” 4
주변 소음을 차단하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이 청각과 뇌에 손상을 유발할 수...
-
국수평백 95.5로 한의대 쟁취하기!
-
마지막 문제는 3점짜린데 4점이라고 표기 해버렸네요
-
저는 엄마가딸에게요(남자임)
-
행운의 77이었네
-
한완기로 혼자 하고 수분감이나 기생집으로 인강들으면서 두번해도 괜찮나요?그리고...
-
왤캐 열심히 안하냐 ㅔ내 자신
-
삼수 삼반수 실패하신 분들의 조언을 들어보고 싶어 글 올려봅니다. 전...
-
밤에 머리 몇번 깨지게 공부하다가 머리가 너무 아파서 잤는데 아침에 일어나니까...
-
연>>>>>>>>고
-
”요즘얘들“ ? 1
ㅇㅇ 그쪽 아재 줌마들이 더 너무하세요 ㅅㅂ 몇몇 대가리 꽃밭 mz들만 그런거지...
-
뒤에꺼 첩봣을때 개막막함 역함수 적분 잘 못해서그런가
-
머임요
-
@ㅅㅅㅎ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전화 1
예비 1번인데 추합 전화 아직도 안오는거진짜스트레스받는다 하
-
1. 2407 44점 (1컷 44) 2. 2305 43점 (1컷 37) 계속...
-
7칸이었던 학교 가는데 칸수가 높다고 대학레벨이 낮은게 아니더라고요.. 그래서 만족하긴 합니다
-
에피라.. 9
일단 더프 에피는 쉽지 않음
-
뉴런 미친개념 등등 한강사로 우직하게 안하고 다 찍먹하듯이 섞어서 공부하는거 같음...
-
2010 이전 기출은 해설지풀이랑 다르게 수대입해서 풀거나 못풀거나 ㅜㅜ
-
하....님들아 고전소설 대체 어떻게 잘하는거임? 12
방금 한세트 13분 넘게 풀어서 다 틀린거보고 ㅈㄴ 절망감 느낌. 자책도 들고 여기...
-
기다리고 기다리던 경희대 추합전화 방금 받았네요 ㅠㅠㅠ 소수과라서 반신반의하고...
-
예비고3입니다 문과임뇨 원점수로 예측고고 여러명이 중복정답 시 나눠서드림
-
바깥에서 개소리가 10
대체 언제까지 짖는거니
-
저는 센츄를 12
교육청 국수 99.24였나 그걸로 땄었던더같네요 그리고 수능도 백분위합인가 그걸로...
-
화1은 안하는 게 맞겠죠?
그 아이히만이랑 법이 연민보다낫다
ㅡ사회 정의
공감확산이랑 내적면모? ㅡ이타성
이렇게햇어요
개똑띠 !!!!!
저는 개인 중심적 관점(개인의 이타성) / 사회 중심적 관점(사회 정의) 해서
개인은 다 마 사회는 나 라
나라
다마
개인적 차원 다마
사화적 차원 나라
도덕적 개인과 비도덕적 사회
아이히만이 왜 사회죠??
아이히만은 개인이지만 그 제시문 자체의 입장은 사회입니다 아이히만을 비판하고있기때문에
아이히만이 성찰의 부재라 하지 않앗나요?ㅜㅜ
성찰의 부재는 개인 아닌가요?
아이히만이 개인으로 봤을 때는 성실하고 가족을 사랑하는 모범적인 개인이었지만
그의 일이 사회에 미칠 영향을생각하지 않아서, 즉 성찰의 부재로 인해 사회에 큰 악이 되었기 때문에 개인 윤리와 사회윤리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식으로 생각해야 할 것 같네요
사회적 성찰의 부재로 인해서, 개인중심적 관점에서는 도덕적인 행위를 했지만 사회중심적 관점에서는 사회정의를 구현해내지 못한 행위를 한 것이죠
제시문에서는 아이히만이 성찰의 부재로 인해 악행을 저질렀다고 언급하고 있지 않나요? 사회윤리적으로 접근할 부분이 딱히 있었나요..
바로 그래서 개인의 이타성을 못믿는다는 거죠. 개인의 이타성과 도덕성이 완전하다면 악행을 저지르지 않아야 하는데 이타성이 불완전하고 성찰에 실패하기도 하기 때문에 악행을 저지른다는 거죠. 그래서 개인의 도덕성을 믿을 수 없다, 즉 사회가 나서서 강제력을 행사해야한다는 입장이 됩니다.
충분히 타당합니다.
그런데 이타성이 불완전하고 성찰에 실패했기때문에
악행을 저지렀다.-----> 따라서 성찰과 이타성을 회복해야 한다가 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사회가 나서서 강제력을 행사해야한다는 것은
추론인가요?
하지만 제시문 가에는 '인간은 도덕성을 가지고있다.'라고 나오므로 가에서 볼 수 있는 입장과는 반대됩니다. 인간의 이기심과 불완전성을 인정하는 거니까요. 인간 자체가 불완전하고 성찰과 이타성이 항상 온전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사회에서 명확한 제도로 보완해야 한다는 거죠. 만약 성찰과 이타성을 회복해야 한다면 또다시 개인에게 맡기는 것이고 이는 인간의 도덕성과 자생력을 신뢰한다는 건데 제시문에 내용은 때로는 인간이 불완전하다는 것이므로 모순이 됩니다.
전개인으로햇는데 내면적성찰이랑양심을고려안햇다해서
그런데 (라)에서 한비자는 법에따라 행동해야한다고 했는데
(나)의 아이히만은 법을 잘 따랐습니다 그러나 결국에는 많은 사람을 죽였죠 이건
(라)를 반박할수있는 논거가 되지않을가요?
저는 아이히만 개인이라고 했는데.. 가에서 개인은 모두 도덕성을 지니고 있다라고 했지만 나중에 가면 사회는 이기심 등 개인의 양심과 반하는 방법을 써서라도 사회정의를 추구해야한다고 했잖아요 그건 도덕적 개인이 모인 사회집단의 경우에도 충분히 비도덕적 행위가 나올 수 있다는 말인데 아이히만의 경우 유대인 학살은 아이히만이 속해있던 집단의 정의라고 볼 수 있죠. 즉 사회적인 정의는 추구하였으나 그에 대한 양심상 성찰이 부족했기 때문에 이타적인 면에서 재앙이 일어났다고 보면 될 듯한데.. 아이히만이 평범한 가장의 모습이라고 했는데 그말은 즉 아이히만이 개인적으로 못되서 학살을 저지른 것이 아니라 사회의 요구에 따라 그렇게 행했다고 보는 게 더 타당하지 않을까 싶네요. 일단 확실한건 가 단락의 개인은 도덕적인 존재이다 이 말로 이 제시문을 사회의 입장이다라고 간주하는 건 좀 아닌 거 같아요
네 논리적으로 쓰면 ㄱㅊㄱ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