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6문학은 평가원의 클라스가 느껴졌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507947
아버지의땅 29번 김현승 34번
이런것들 다 사라지고 조잡한 문제들만 난무하는게 2606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니까 고정1을 넘어서 굇수가 되는방법말이야
-
..
-
얼버기 0
9시간잤네
-
얼버기 2
-
입에서 구린말 ㅋㅋㅋㅋㅋㅋㅋㅋ 잊음을 none
-
91 92 93 생명사문은 안보고 나왔어 탐구는 그동안 모고는 1 나오긴 했어...
-
나같은 인생은 도달할수없는 점수네 ㄹㅇㅋㅋ 이해가 안되는건 아님 공대가 싹쓸이 하던...
-
제목머지 3
이상해요
-
우흥 3
우흐흥
-
잠을매일안잠 2
단명할게
-
애옹 1
난 애옹 밖에 안보인데?
-
애옹 3
근데 왜 벌써 5시?
-
애옹 2
꿀팁알려드림 차단하면 피드에서 안보임
-
애옹 0
우리 이거 언제까지 할거야
-
왜 한 명이 총대를 매는 게 아니면 진행이 안될까요..
-
애옹 6
빗소리 좋다..
-
기차지나간당 9
부지런행
-
애옹 4
고양이들 뭐고
-
애옹 2
암산게임 결국 목표였던 100점 찍고 이젠 안 하고 있어요 아까 해봤는데 80 정도...
-
애옹 8
오루비가 귀여워졋내
-
애옹 13
ㅈㄴ습하노 사이즈 잘못산 티샤쓰 잠옷으로 입고다니는데 ㅈㄴ길어서 키 140으로보임
-
미분 질문 좀 7
lim n->무한대로 갈 때 {f(1+ 3/n)-f(1- 2/n)}/(5/n) 이면...
-
애옹 4
-
애옹 9
해뜬다
-
애옹 1
아직 3신데 사람이 없네
-
애옹 7
아침으로 족발vs훈제삼겹&훈제오리 추천좀
-
애옹 7
애기옹동이
-
애옹 2
-
애옹 4
애옹..
-
애옹 15
-
애옹 2
냥
-
애옹 3
같이 사는 사람은 화장을 잘 안해요 피부엔 그게 낫다고 하더라고요 선크림까지만 하는...
-
애옹 6
냥
-
애옹 2
앩옹
-
애옹 2
-
애옹 4
10시에 자서 지금 일남 게시물 알람이 왤케 많아
-
애옹 3
맛집 찾는건 너무 어려워
-
야식인지 아침인지는 모르겠는데 배달음식 땡김 근데 살빼야해서 참는다
-
안자는사람 ? 3
조회수 10개가 넘을 수 있을까?
-
기출소재 전부다 짬뽕
-
근데 의도하고 쓰는게 아니라 그냥 글 쓰다보면 아무리 찾아도 없음 주어나 목적어가
-
이젠 진짜 자야하는데 13
잠이 안오는군아..
-
물똥이나옴.. 그래도 치킨 포기못함..
-
내일 풀어보시길. 오천덕 드림. ㅇㅇ. 만약에 수능에 나온다면 만점방지용이...
-
똥이안나와 6
난 이제 잘하는게 없어
-
아메추좀 2
지금 배 ㅈㄴ고파서 아침먹을건데 추천좀 후보는 닭가슴살 버섯볶음과 계란말이 둘중 하나임
-
질문받습니다 1
.
-
일단 시간에 너무 집착했음. 문제를 적어도 3분안에는 다 끝내야 한다는 생각. 막...
2509부터 모평은 쓰레기 시험지 됨
29 34 ㄹㅇ 그냥 평가원 그 자체 너무 멋진 문제
아버지 29 특정 선지는 문학 자체로는 좋지만 고교수준으로 까다롭던데 어떻게 생각해요?
가나 소재의 상징적 의미를 도출하는 방법 다 교과서에 있기 때문에 고교수준에선 문제없음 마지막 청새치 옆 도움말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하지만 일반적인 출제 방식과 괴리감이 있는 문제라고 생각해요.
시간과 공간, 이야기를 별도의 판단 기준으로 보았을 때 각각은 모든 대상에 적용 가능한 말이 되어 의미가 없어지고
둘을 엮어 이해하여 술어부 전체를 하나의 판단 기준으로 보았을 때, 그 술어에 해당하는 것은 실존하는 대상으로 이해되어 오답이 나옵니다.
애초에 이야기를 작중 사건에 한정하지 않고 인물의 말이나 내면 묘사까지 확장하는 경우를 처음 봅니다
거의 2606 광의의 경외감 해석을 보는 느낌이에요
한편으로 (나)를 실존하는 대상으로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아버지가 그 사이에 누워 있다는 생각은 분명 인물의 상상이지만, 꽃들 자체는 실존하는 대상이며 그 근거는 29번 문항이 전반적으로 (나)를 (가)와 동등한 존재적 측면을 가진 대상으로 바라본다는 점이죠
두 해석에서 얻을 수 있는 풀이 전략 역시 전혀 다릅니다. 전자는 확실하게 옳은 선지에 손가락걸기가 유리하다는 결론에, 후자는 모든 선지를 보라는 결론에 도덜하죠
이 해석에도 한계가 있는데, (나)가 실존한다고 할 때 인물 ‘나’가 말하는 (나)는 그 위치를 알 수 없는 대상으로 표현된다는 점에서, (나)가 실존하는 것은 문제의 핵심이 되는 ‘나’의 발언과 무관한 편의주의적 가정이 된다는 것이죠
ebs는 또 다른 해석을 제공하는데, 둘 다 이야기의 배경에 실감을 더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34가 참 잘만든문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