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나저나 법정 4번 사례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057720
왜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이 되는건가요?
지문에는 공권력의 행사나 불행사가 있었다는 근거를 찾아볼 수가 없는데..; 혹여나 pc방 금연구역 지정을 강제한 행정청의 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이라 해도, 그렇게 되면 ㄱ보기가 맞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의문...
물론 권리구제형이다 라는 보기(ㄷ이었나..)가 아니게 되면 다른 보기중에 자명히 틀린 보기가 맞게 되서 고르긴 했습니다만.. ㄱ은 아직도 의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저께 물개님이 떠니시고 흔들렸던 제 마음이 벌써 이렇게 선택의 기로에 다다르게 될...
-
개빨리 끝났다
-
그냥 이제 슬 인강 강사분들 실모 나올거 같은데 굳이인가...? 일주일에 두개정도씩...
-
하반기 부터 시대인재 단과 다니려고 하는데 1. 예를 들어 국어 단과를 다니면...
-
적당히 연막치느라 좀 힘들 때가 있음… 인생의 암흑기 그 자체였어서
-
기하런 1
현역이고 모고보면 미적 28 29 30 중 하나 풉니다... 스블을 다 들을 자신도...
-
나는 내신 전체 평균이 6등급대임… ???: 형 구라ㄴ 어케 내신 6등급이 있음? 이럴까봐무서움…
-
경멸받는걸 좋아하는 님들을 위한거임
-
그래서 수시러들이 가끔씩 입시 얘기 꺼내면 할 얘기가 없었음 지거국도 못 가는 내신이라…
-
빨더텅은 17학년도부터인가 해서 28회분 있고 자이는 평가원6개년에 교육청...
-
요근래 학생들 중간고사가 끝나 과외를 많이 알아봅니다!!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
냄새 풍기기~~
-
형님들 알려주십쇼
-
이유가 머임? 걍 그 시간에 실모푸는게 나아서 그런가
-
언미물2화2 11112 국수는 고정1입니다
-
주변 사람들 말이랑 너무 다른데
-
자살 17
할 용기가 없다
-
하루 수면시간: 2
시간표에 따라 다름
-
네이버 지도 보다가 알았습니다.뉴스 검색해 보니 이전 후보에 서초고도 있었다고...
-
하나만 1
두개만
-
혀녁이라 절대적인 공부시간이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독서실에서 2시까지 공부하고 집...
-
평균 취침 시간 몇시간씩 주무심? 장난 아니고 진지하게 물어보는거.. 6시간 자는데...
-
배기범t물리2 quel 모의고사 해마다 개정 얼마나 되나요??? 0
전문항 개정되나요 아니면 일부만 개정되나요!??
-
나중에 내 닉네임도 몇 년 지나도 기억할 사람 있으려나
-
다시 자고싶은데 9
참고 일어나는게 맞지? ...
-
ㅇㅂㄱ 13
치코쿠치코쿠
-
꾸준글.
-
ㄱㅅㅎㄴㄷ
-
사람꼴이 아니네
-
흠. 떨리네요. 6개월만에 펜을 잡는다라…
-
n제 조금만 더 풀다가... 6모전엔 풀어주마
-
하루에 수학 문제 몇개 푸는게 정상인가요 하루에 이해원n제 문제 7개랑 수분감 미적...
-
국어 풀때마다 머릿속에 검정고무신 오프닝 떠오르면 어캄 9
특히 현대소섷 읽을때 그러는듯 ㅅㅂ
-
오늘 무슨 날이지 암튼 다들 ㅎㅇㅌ
-
오전 6시기상 3
수능 D 183
-
오운완 1
ㅇㅂㄱ
-
ㅇㅂㄱ 10
-
무슨 감기를 2주마다 걸리고있네
-
굿바이 굿나잇 3
즐거운 하르 신나는 하르는 이제 끝났다 즐겁지도 않고 신나지도 않는데 왜 쓰고 있냐...
-
인민만세 0
인천시민만세
-
굿나잇 1
잘자
-
잘려고누워있는데 머리속에서 드럼 사운드체크하는소리가 끊이질않음... 자꾸 탐이랑 햇 칭칭칭 치는중
-
제가 입시판을 오래 떠나있어서 전형요강 정리해 두신걸 읽어도 도통 감이 안오네요...
-
생각해보니까 작년28번도 좋앗늠 내년이 기대되는걸 같은분이출제하셧을수도잇나
-
잠이안와 1
.
-
자야되는데 9
하
-
신기하다 56
스다밤 본인인데 올만에 들어와서 제 닉을 검색해봤는데 3년이나 지난 지금 아직 절...
-
요즘 이틀에 한번씩 자는중
-
의사의대생 커뮤에는 쓰고싶지 않은데
"이 사건 조항에 대해" 행정 소송을 거쳐야 한다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법률에 대해 행정소송을 거는 것은 말이 안 되기 때문에 제외시켰습니다.
원하시는 답은 아니지만 일단 평가원이 극명하게 절대 답이 안 되는 단서를 넣은 것 같아서요...
행정청의 구체적인 행정처분이 있었다는 내용이 지문에 없었기에 이를 멋대로 추측해서 행정소송을 해야한다고 할 수 없는 것입니다.
법률이 위헌이라고 하여 위헌법률심판이나 위헌심사형 헌법소원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법률의 조항 그 자체 때문에 권리가 침해될 경우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이 가능합니다.
또한 지문의 사례는 지난 9월 헌법재판소에서 "각하" 결정을 받은 바 있는데 이유는 국민건강증진법 그 자체로 권리가 침해되는 것은 아니고 이 법에서 지자체에 금연구역 지정을 위임했고 지자체에서 그 pc방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할 때 비로소 권리침해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ㄱ 선지는 절대로 ㄴ 선지와 동시에 성립할 수는 없기에 후에 논란을 피하고자 선지 구성에 애를 쓴 흔적이 보였습니다.
그리고 법률은 대표적인 공권력 행사에요
법률에 대한 헌법소원은 권리구제형입니다.
입법작용도 공권력 행사에요.
유일하게 이용재 듣고 도움된거
하.....ㅠㅠ 그나저나 그러면 위헌법률심사형과 권리구제형을 별도로 생각하는 이유가 뭔가요? 애초에 그러면 바로 헌법소원하면 되는 거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