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학년도 쥐리는 비문학 문제 질문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87839
[37~4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상호주의란 “행위자 갑이 을에게 베푼 바와 같이 을도 갑에게 똑같이 행하라”라는 행위 준칙을 의미한다. 상호주의의 원형은 ‘눈에는 눈, 이에는 이’로 표현되는 탈리오의 법칙에서 발견된다. 그것은 일견 피해자의 손실에 상응하는 가해자의 처벌을 정당화한다는 점에서 가혹하고 엄격한 성격을 드러낸다. 만약 상대방의 밥그릇을 빼앗았다면 자신의 밥그릇도 미련 없이 내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탈리오 법칙은 온건하고도 합리적인 속성을 동시에 함축하고 있다. 왜냐하면 누가 자신의 밥그릇을 발로 찼을 경우 보복의 대상은 밥그릇으로 제한되어야지 밥상 전체를 뒤엎는 것으로 확대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대일 방식의 상호주의를 ‘대칭적’ 상호주의라 부른다.
하지만 엄밀한 의미의 대칭적 상호주의는 우리의 실제 일상 생활에서 별로 흔하지 않다. 오히려 ‘되로 주고 말로 받거나, 말로 주고 되로 받는’ 교환 관계가 더 일반적이다. 이를 대칭적 상호주의와 대비하여 ‘비대칭적’ 상호주의라 일컫는다. 그렇다면 교환되는 내용이 양과 질의 측면에서 정확한 대등성을 결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환에 참여하는 당사자들 사이에 비칭적 상호주의가 성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셈에 밝은 이른바 ‘경제적 인간(Homo economicus)'들에게 있어서 선호나 기호 및 자원(字源)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교환에 임하는 행위자들이 각인각색(各人各色)인 까닭에 비대칭적 상호주의가 현실적으로 통용될 수밖에 없으며, 어떤 의미에서는 그것만이 그들에게 상호 이익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비대칭적 상호주의에 의거한 호혜적(互惠的) 교환 관계가 가장 현저하게 이루어지는 사회적 공간이 바로 시장이다. 어떠한 행위자도 공짜로 재화를 얻을 수 없다고 가정하는 시장 상황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교환의 내용은 결코 등량(等量)․등가(等價)의 것들이 아니다. 행위자 갑은 을이 소유하고 있는 쌀을 원하고 을은 갑이 갖고 있는 설탕을 바랄 경우, 갑은 쌀에 대하여 그리고 을은 설탕에 대해 각각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하면서 양자를 서로 바꾸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장은 각자의 선호와 자원의 범위 내에서 ‘줄 것은 주고, 받을 것은 받는’ 장군 멍군 식의 관계가 성립되는 사회적 영역이다.
그런데 시장이 본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전제 조건이 요구된다. 교환에 참여하는 행위자의 자발성(自發性)과 교환 과정의 공정성(公正性)이 바로 그것이다. 이 때 자발성은 행위자의 자율적 의사 결정을 의미하는 것이며, 공정성은 그들 간의 절차적 합리주의를 뜻한다. 예를 들어 강매나 사기, 도둑질 같은 행위는 선택의 자발성을 제한하고 절차의 공정성을 침해한다는 점에서 반(反)시장적인 것이다. 이러한 반시장적 행위들은 시장의 논리만으로 통제되기 어렵다. 따라서 ㉢시장에는 자발성과 공정성의 원칙을 견지하는 윤리적 규범이나 사회적 규칙을 행위자들이 신뢰하고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은 시장 속에 내재해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시장의 비(非)시장적 요소’라 말할 수 있다.
40. ㉡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모내기 철에 품앗이를 하였다.
② 사재기를 통해 폭리를 취했다.
③ 직장 동료끼리 교대로 점심을 샀다
④ 할인 매장에서 싼값으로 물건을 샀다.
⑤ 알뜰 시장에서 중고 물건을 맞바꾸었다
답이 2번인데, 사재기를 통해 폭리를 취한행위는 비대칭성 상호주의가 왜 아닌가요? 물론 사재기를 한 사람과 그 사재기 물품을 사는 소비자의 관계에서는 부당하게 반강제적으로 비싸게 물품을 사기 때문에 상호 이익이 아니란 것은 알겠는데, 사재기 물품을 판 사람과 사재기를 한 사람과의 관계에서는 '사재기 물품을 판 사람'은 자기가 원하는 물품을 팔았으니 이익이고 '사재기를 한 사람'은 사고자 하는 물품을 싸게 샀으니 이건 비대칭성 상호주의에 해당되지 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르비에서 다같이 놀자 그건 너무 대놓고 ㅈ목이야.
-
다들넘넘고마우요.. 덕분에 코스 빨리 짬 맛집추천해쥬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그런 니가 너무 그리워
-
본인의 대학과 성적도 누군가에게는 워너비고 목표인데 맨날 저능하다 하고 본인보다...
-
다들 어케 푸셨어용 전 좌표그냥 s로 주는데로 풀었는디 범준이형은 s(t)로 두고...
-
@개발자 3
서버 오류 제발 좀 고쳐 주세요
-
들어오시나요
-
인강 0
솔직히 말하면 인강은 과탐이랑 뉴런정도만 들어도 괜찮을까요 나머지는 독학으로...
-
후뿌뿌뿌인데…
-
벌써 같은 과 세 명 오늘만 두 명째다 이거맞냐?
-
공부 해야겠지? 2
그렇겠지...?
-
나를 손절친 친구한테 얘기하고 싶다고 연락 왔는데 19
어떡하지 쟤 때문에 너무 힘들어서 그냥 억지로 잊고 살려고 했는데 이제 좀...
-
방송해줘 0
부엉이 적금 6개월짜리 만든다 ㄹㅇ
-
내적이 0인 삶 0
좀 멋진데
-
있으면 재밌을듯 ㅋㅋㅋㅋㅋㅋ 1.0khr_08_orbi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
초싸가 되버림
-
해리포터 책은 1권만 보고 말았는데 한 번 다시 볼까
-
비식이보다 심한 거 같기도 아닌 거 같기도
-
틀린 그림 찾기 3
근데 다른그림찾기가 맞는말 아닌가
-
뭐뜰거같음?
-
오르비에서 사람사귀면 그게 ㄹㅇ 최고의 인맥 아닐까요? 설상경 설공 메디컬은 널렸고...
-
XY 염색체는 보이지 않는 글 입니다.
-
항상 뭔가 잘 놀아주는 것 같음
-
죠죠 댔다
-
뇌 셧다운댐 0
오헤액
-
우훙
-
걍 생일때 라방킨다 18
후원은 치지직으로 받겠다
-
동국대 경영이 국숭세단 공대보다 훨 좋구나;; 물론 기계공학이긴한데;;
-
오르비 프로젝트 드가자 11
오르비 유동인구가 약 200명 정도로 예상되는데 (대부분 팔로워가 200 정도에서...
-
오르비에서 제일유명해
-
쓰바 0
어렵내
-
어떻게 특정했냐고 물어보면 어떻게 반응해드려야 하나요
-
아아아
-
질문받아주는거있나요?
-
아이돌 생축마냥 한양대 역앞에다가 저능부엉이 생일축하 포스터를 한 장 걸도록 하자
-
셀카 9
-
에피소드 하나 봤는데 재밌네
-
눈팅하는 애들은 있을수도
-
美 2조원대 역대 최악 암호화폐 해킹… 북한 조직 연루 가능성 2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한 곳인 바이비트(Bybit)가 14억6000만...
-
의대입시 잘모르는데 22
지역인재가 그렇게 적폐인가요?
-
본인 포함
-
디지가고싶은데 사탐런을 해버렸네;;
-
어제(사실 오늘 새벽이긴 한데) 토만 열 번은 한 거 같은데
-
수능 잘햇으면 0
조금이라도 더 재밋긴 햇겟다 개 못하니까 재미가 없네
-
흐음 11
포터모어에선 래번이라던데
-
며칠전에 메일로 보내서 결제처리 이제 할거라는 답변 받았는데 아직도 감감무소식이네요ㅠㅠ
-
이게 다 우리 시라안이 예뻐서 그런거겠죠!
-
당연히 그리핀도르 일줄알았는데
-
설대 기준 400 12
이면 언미생1지1몇개 틀이여야돼요? 영2는 타격 큰가여?
-
나 안아.. 0
이거 머임 어디서 유행하는거지 인스타인가
우선 사재기에 대해 잘못 생각하시고 있는 것 같은데
사재기->싸게 삼
의 근거가 없습니다.
사재기는 '물건값이 오를 것을 예상하고 폭리를 얻기 위하여 물건을 몰아서 사들임.'을 뜻합니다.
2번 선택지에서 폭리를 취했다는 것은 사재기를 한 뒤 물건값이 폭등하여 (제3자에게)비싸게 팔아서 이득을 얻었다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습니다.
전제조건인 공정성이 훼손되어서 아닌가영
그 바로 뒤 문단에 전제조건이 나오죠 그 전제조건에 위반되는행위가 2번
국어문제에서 좀 추론같은거는 사실 따져보면 다 지문에 나와있는거 반대되는거 택하는거에요
그렇게 생각많이 ㄴ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