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의 조작적 정의는 질적 연구에 사용가능한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44681
N제 20번 ㄷ에서 개념의 조작적 정의는 주관적인 가치가 내재된 사회ᆞ문화 현상의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거 보다가 (물론 이건 양적에서도 해당가능하지만) 개념의 조작적 정의가 질적 연구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지 갑자기 궁금해지네요...사용할 일이 잘 없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년에 윤도영T 인강 들으려면 어케해야하나요? 대성에서 언제쯤 영상 내려가나요?...
사용할수있어요 개조작이 추상적인관념같은걸 구체적으로 바꾸는과정인데 면접시에도
행복을 하루에몇번웃는지 등으로 바꾸어서물어볼수잇으니? 예가좀이상하네요 ㅋㅋ
그건 양적에서 쓰이는 방법 아닌가요? ㅠㅠㅠㅠ헷갈리네요ㅠㅠㅠㅠ답 감사합니다!
지나가다 보니 김종배T 강의에서 주의깊게 들었던 부분이라 그거 바탕으로 말씀드리면
'개념의 조작적 정의는 해석적 연구에서 필요하지 않다'고만 정리해 주셨어요.
다만 수능에서 사례가 나오면 나온대로 풀어야겠죠?!
역시 주어진 사례대로 푸는게 가장 나은 거 같네요ㅠㅠ그렇게 정리해주신데는 이유가 있겠죠? 답변 감사합니다.
작년 6평 2번에 보면
'사회 문화 현상을 객관적으로 관찰 할 수 있도록 조작적으로 정의하는 과정을 거치는가'에서 예는 양적 연구, 아니오는 질적 연구 라고 못박아두고 있어요.
이미 기출문제로 이렇게 나와있는한 질적 연구에서는 쓸 수 없는거겠죠
N제보다는 평가원 기출 엻쉬미 푸는걸 추천합니다
평가원 기출 두번 돌렸는데도 이렇네요ㅜㅜㅜㅜ허점이 많은가봐요. 정확한 답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