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개념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39088
사회화 기관은 자연발생적인가 인위적인가에 따라서 1차적 사회화 기관과 2차적 사회화 기관으로 분류되는게 맞나요??
그리고 정보획득의 동시성이라는 게 정확히 뭘 말하는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939088
사회화 기관은 자연발생적인가 인위적인가에 따라서 1차적 사회화 기관과 2차적 사회화 기관으로 분류되는게 맞나요??
그리고 정보획득의 동시성이라는 게 정확히 뭘 말하는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그냥 1차적 사회화기관 초등학교전 -가족
2차적 사회화 기관 초등학교 이후
이렇게만알고있어도 되요.
저도 구분기준을 내용과 시기정도로 했는데 우공비에는 저런식으로 해설이 되있어서...우공비는 역시 오반가요
2단원은 기출에서 나왔던것만 정리해두세요. 돌고돌아요. 그런 시중개념서 보다는
인강 개념책에서는 유치원부터 2차적 사회화기관이라고 본것 같은데.. 시기적으로 구분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우공비 설명도 틀리진 않은 것 같아요.그 기준으로 해도 결국 시기상으로 비슷하게 분류되니까요.
정보획득의 동시성은 TV, 라디오처럼 동시간대에 다수의 사람들이 동시에 정보를 획득하는 거고, 비동시성은 인쇄 매체 같은 경우 비동시성을 가진다고 하더라구요~
앙퐝님 밑 댓글 한번만 읽어주세요ㅠㅠ
전문적으로 사회화 시키는 사람이 있으면
2차 사회화 기관이요~
따라서 유치원도 2차 사회화 기관.
정보획득의 동시성은 잘 모르겠는데
아마 다른 나라에서 하는 축구경기를
우리 나라에서 바로 볼 수 있는게
해당 될 것 같네요
네 제가 궁금한게 바로 앙퐝님이 설명하신 동시성과 아윌쇼유님에 설명하신거때문인데요 동시성이라는게 같은 뉴스를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일괄적으로 접한다는 건지 아님 그 사건이 일어남과 동시에 사람들이 알게되는것을 말하는지 모르겠어요
같은 말 아닌가요?
첫번째 예는 무슨 11시에 방송을 하면 여러명이 동시에 그 프로를 보는거고 두번째 예는 뭐 뉴욕에서 하는 라이브 공연을 한국에서 실시간으로 보는거요..
전자를 그렇게 말하신거라면
그냥 후자가 맞아요
1차 / 2차는 사회화 내용이 기초적이냐 전문적이냐로 나누는거 아닌가요?
벼려니 님 말이 맞음
이 사람들 갓종배한테 디스 좀 당해야겟네ㅋㅋㅋ
저도 갓종배... 사문은역시 기출아님이상한문제가너무많아요
자발적/인위적도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