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의의 실수가 유리수일 확률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802621
임의의 실수가 유리수일 확률, 무리수일 확률은 얼마일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4-5등급 정도가 시대에서 단과 들으면 이해 가능한가요?
-
올해수능보면 평가원 주관시험 응시 10회이상이 된다 1
해당하는 사람이면 7ㅐ 추ㅋㅋ 일단난아님
-
축구 테니스 사진부 보컬동아리 소속 사진부 테니스 국장 학생회 예과회장 과외4개 주...
-
대학생이 되고 이제 세번째 맞는 어버이날인데요...저 혼자서 생각하기를 여태까지는,...
-
안뇽? 1
1113462419571
0
임의의 실수는 유리수거나 무리수인데 유리수일 확률도 0이고 무리수일 확률도 0이면 안되지않나요?
음 보통 실수를 이야기 할 때
무리수의 바다에 유리수가 둥둥 떠있다 라고 말하죠. 자세한 건 네이버 ㅠ
임의의 자연수가 소수일 확률 알면 리만 가설 증명이나 마찬가지 아닌가요? ㄷㄷㄷ
열린 집합간의 확률이고 수의 개념으로 접근하지 않지요ㅎㅎ
그러니까, %로 나타낼 수 없고 그냥 개념으로만 알아야 한다는 건가요?
제가 고등학교수학도 안 배워서 잘 모르겠어요ㅜㅜ
대학교 2학년땐가.. 배우는 것 같은데.. 오래돼서 영 기억이 나질 않네요ㅎㅎ
아마 자연수 유리수 무리수 실수 같은 집합을 크기라는 말로 표현하고 대응관계를통해 그 크기를 판단했던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자연수와 홀수, 자연수와 짝수, 자연수와 양의 유리수 간에는 일대일로 대응이 가능하므로 '모든 자연수의 개수는 모든 양의 홀수의 개수와 같다' '모든 자연수의 개수는 모든 양의 짝수의 개수와 같다' '모든 자연수의 개수는 모든 양의 유리수의 개수와 같다' 이런 말이 가능한거지요.
실수중 유리수일 확률은 0이라고 배웠던 것 같은데.. 글쎄요ㅎㅎ
현역이신 분이나 해당 지식을 유지하신 분께서 정확한 답변을 주셨음 좋겠네요.
농도는 무리수가 더 짙다고 하니 무리수 확율이 높겠지요.
저도 그렇게 생각하긴 하지만 유리수일 확률이 아예 0일 수도 있을 것 같아서요.
유리수 0 무리수 1
ㄴㄴ 유리수와 무리수 둘다 무한개에여
유리수 = 무한
무리수 = 무한
근데 두개 무한이 같은거는 아님 그렇다고 무리수개수>유리수개수 라고 말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