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전 [516143] · MS 2014 · 쪽지

2014-08-23 14:06:33
조회수 2,040

임의의 실수가 유리수일 확률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802621

임의의 실수가 유리수일 확률, 무리수일 확률은 얼마일까요..?

그냥 갑자기 궁굼해져서 올려봅니다.
임의의 자연수가 소수일 확률은 또 얼마나 될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YEEE · 486552 · 14/08/23 14:10 · MS 2013

    0

  • 와전 · 516143 · 14/08/23 14:19 · MS 2014

    임의의 실수는 유리수거나 무리수인데 유리수일 확률도 0이고 무리수일 확률도 0이면 안되지않나요?

  • YEEE · 486552 · 14/08/23 14:27 · MS 2013

    음 보통 실수를 이야기 할 때
    무리수의 바다에 유리수가 둥둥 떠있다 라고 말하죠. 자세한 건 네이버 ㅠ

  • 시발점 · 418219 · 14/08/23 14:14 · MS 2012

    임의의 자연수가 소수일 확률 알면 리만 가설 증명이나 마찬가지 아닌가요? ㄷㄷㄷ

  • 두리둥둥이 · 510458 · 14/08/23 14:25 · MS 2017

    열린 집합간의 확률이고 수의 개념으로 접근하지 않지요ㅎㅎ

  • 와전 · 516143 · 14/08/23 14:40 · MS 2014

    그러니까, %로 나타낼 수 없고 그냥 개념으로만 알아야 한다는 건가요?
    제가 고등학교수학도 안 배워서 잘 모르겠어요ㅜㅜ

  • 두리둥둥이 · 510458 · 14/08/23 15:06 · MS 2017

    대학교 2학년땐가.. 배우는 것 같은데.. 오래돼서 영 기억이 나질 않네요ㅎㅎ
    아마 자연수 유리수 무리수 실수 같은 집합을 크기라는 말로 표현하고 대응관계를통해 그 크기를 판단했던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자연수와 홀수, 자연수와 짝수, 자연수와 양의 유리수 간에는 일대일로 대응이 가능하므로 '모든 자연수의 개수는 모든 양의 홀수의 개수와 같다' '모든 자연수의 개수는 모든 양의 짝수의 개수와 같다' '모든 자연수의 개수는 모든 양의 유리수의 개수와 같다' 이런 말이 가능한거지요.
    실수중 유리수일 확률은 0이라고 배웠던 것 같은데.. 글쎄요ㅎㅎ
    현역이신 분이나 해당 지식을 유지하신 분께서 정확한 답변을 주셨음 좋겠네요.

  • 1135 · 318465 · 14/08/23 14:34 · MS 2009

    농도는 무리수가 더 짙다고 하니 무리수 확율이 높겠지요.

  • 와전 · 516143 · 14/08/23 14:42 · MS 2014

    저도 그렇게 생각하긴 하지만 유리수일 확률이 아예 0일 수도 있을 것 같아서요.

  • 귀여운울림소리 · 470906 · 14/08/23 15:01 · MS 2018

    유리수 0 무리수 1

  • 5081 · 456006 · 14/08/23 16:19 · MS 2013

    ㄴㄴ 유리수와 무리수 둘다 무한개에여
    유리수 = 무한
    무리수 = 무한
    근데 두개 무한이 같은거는 아님 그렇다고 무리수개수>유리수개수 라고 말하지 않음

  • kun819 · 505334 · 14/08/23 23:16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