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사 현대덕윤리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750894
현대 덕윤리에서
"인간의 자연적 감정과 동기를 중시함 > 윤리의 실천 가능성을 높임" 이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게 무슨 뜻인가요?
인간의 자연적 감정과 동기를 중시한게 왜 윤리의 실천 가능성을 높이는 거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뱃지받았어요 0
히히
-
학교 0
ㅈ같다다여기서 1년을 어케 공부하지
-
오르비 할 시간 있으면 당장에 실모부터 돌려야 하는 거 아니냐?
-
정치에 발목 잡힌 원전 수출…스웨덴 포기, 폴란드 무산 위기 0
탄핵 국면이 장기화하면서 ‘팀 코리아’로 해외 시장을 개척해 왔던 원전·방산 등...
-
다들 안녕하세요
-
물리해도 될까요 0
25수능에서 화1, 지1 선택해서 화1은 1등급 받고 지1은 4등급 받았습니다....
-
오늘 드럼학원감 0
개떨린다 싯바 드럼고수가될거임
-
누가 가져갔어어어어어!!!!!
-
원래 인서울 공대 희망했는데 메디컬도 한번 도전해보고 싶어서 최저로 생지 할라는데...
-
ㅇㄷㄴㅂㅌ 국숭세쓰기 싫어서 3개다 건동홍+과기대 섞어쓰면 딱 3떨하기 좋은 코스인듯
-
또 망한거냐 오르비!!
-
대학생활 1
중고딩때 지방에서 평판 다방면(언행,행동)으로 안좋으면 서울로 대학와서 소문나나요?...
-
맞팔9합니당 2
금테를 향해
-
에리카 경제 빠지실 분 없나요? 제발요ㅠㅠ
-
학고 반수 질문 3
1학기 경고받고 2학기 휴학 낼건데 수강신청은 해야하나요? 등록은 했는데 처음이라서...
-
서울대 추합 0
일정에 3차 추합은 19일 18시까지 라고 되어 있던데 2차까지 인터넷 발표하고 그...
-
전화추합 안되겠지 진짜 갸같다 26명인대 2차에 1명 3차에 0명 최초합중에...
-
돌 것도 같고 아닐 것도 같은 애매한 번호라..
-
과목 추천좀여
-
엿됐다 걍 2
오늘 약속인데 수강신청안하면 죽는자린데 아
-
스레기 4
나는 스레기임
-
경희대 전추 0
경희대 설캠 58>49>?>27>11 이렇게 예비 됐는데 오늘 빠질 수도 있을까요 ?? ㅠㅠ
-
단국대는 법대 아주대는 경제정치사회융합학부인데 아웃풋이 어디가 괜찮나여??
-
알려주실 분들 있나요 차단 버튼은 못 찾겠음
-
생1지1나 물1지1중에 뭐가 더 좋을까요?
-
타미더써썩 0
왜 이리 가까이 찍어 얼굴 를
-
방금 전화통보 받았네요 저는 가군으로 빠집니다~
-
확인들혀
-
전날 되니까 칸수 많이 내려가서 낮공까지도 생각하고 있었는데 컨설팅에서 60%...
-
현역때 3이엇어서 2이상 만들고싶은데 한 지문에 모르는 단어 10개넘고 해석 제대로...
-
얼버깅 0
-
기상 2
11시 쯤에 인남
-
ㄱㄱ
-
경희대 추합 2
오늘 경희대 추합 많이 돌까요??
-
그냥 죽이면 되는데 번거롭게 왜 그짓을 함ㅋㅋ
-
평가원 기준 3등급인데 수1에서 생각보다 너무 많이 틀려요 특히 ㄱㄴㄷ 선지...
-
전화추합 0
전추 오늘 내일 많이 돌까요? 관동대 의대 가고 싶은데 ㅜㅜㅜㅜ 어제 생각보다 적게...
-
급합니다..
-
카의:메이저 중 유일한 유급 10% (무조건 상대평가로 10% 유급시킴) 대가약:헬약 흠?
-
5칸이었던 냥대가 더 일찍 나오네요ㅋㅋㅋㅋㅋ 지금도 시립대는 추합 기다리는중입니다
-
상지한A 추합 0
상지한식 968 a형 추합될까요?? 작년만큼 돌면 될거같긴한데 작년이 유독 많이 돈거같기도하고ㅠㅠ
-
어떠셨나요???
-
상처를 치료해줄 사람 어디 없나…
-
"펜타곤보다 10배 크다"…中, 핵공격에 끄떡없는 지하벙커 건설중 2
중국이 베이징 서부에 핵 공격에도 안전한 지하 방공호(벙커)가 포함된 대규모 군사...
-
아무도 없네 5
긋모닝
-
머하지 4
국어해야하는데 하기싫다 흐흐 수학은 했고 영어랑 경제랑 나머지 탐구하나는...
-
‘비스트’로 경주장 돈 트럼프 “속도-힘으로 MAGA” 0
지난주 현직 미국 대통령으로는 최초로 미국프로미식축구(NFL) 챔피언결정전...
-
계명대학교 의예과 25학번 신입생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0
계명대학교 의예과 25학번 신입생 여러분 안녕하세요, 제37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종래의 사변적인 윤리학에 비해 보시다시피 현대 덕윤리 쪽이 좀 더 자연스럽죠. 정언 명령이랑, 평상시 착하게 살기, 이 두 가지의 선택지 중에서 더 쉬운 것, 인간에게 친숙하고 자연스러운 것은 착하게 살기 쪽입니다. 그렇기 떄문에, 현대 덕윤리가 주장한 것들이 윤리의 실천 가능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조!
걍 "칸트 같은 친구들보다, 현대 덕 윤리가 쉬움 -> 쉬우면 더 따라하겠징? -> 윤리의 실천 가능성을 높임"입니다.
전 대충 이렇게 기억하고 있는데, 이해 안 하시고 외워도 될 검니다...
위에서 시발점님이 예시를 드셨듯이 칸트는 보통 현대 윤리학자들한테 '도덕법칙 따르는거 다 좋긴 한데, 그게 현실적으로 가능함??' 이런 비판을 제일 많이 받죠. 법칙을 철저히 따르는게 이상적이긴 한데, 그렇다고 문제가 다 해결되는게 아니니까요. 두 개의 정언명령이 충돌하거나 하는 상황 등이 벌어지면 칸트 같은 의무론자들의 해법은 쓸모가 없어지고, 그러다 보니 윤리적인 실천이 잘 안될때가 많은거죠.
덕 윤리는 도덕법칙이나 행동 그 자체에 대한 도덕판단 보다는 개인의 성품을 키우는게 더 중요하다고 보는데, 시발점님이 잘 표현해주셨듯 법을 지키는 것보다 그냥 착하게 사는게 더 자연스럽고 쉽기 때문에 윤리적 실천 빈도가 높아지는 거겠죠?ㅎ
다들 잘 말씀해주셨네요. 조금 더 붙여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현대의 덕 윤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를 그 뿌리로 두고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고 계시지요?
도덕적 덕을 가지기 위해서는 '습관'을 그 방법으로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도덕적 덕을 가지게 된 인간은
'중용'의 덕을 발휘하며 살아갈 수 있답니다.
예를 들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용감하게 행동하는 사람은 용감한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중
요한 것은 '용감하게 살아야 한다.'라는 칸트식의 당위가 아니라 인간 존재 자체가 얼마나 '용기'라는
덕성을 함양하고 있느냐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