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ady.hyun [505989] · 쪽지

2014-07-04 11:15:17
조회수 2,744

화1 산염기정의 마스터분 도와주세요! (대학생도 좋아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672926

그, 아레니우스 브뢴스테드로우리 루이스 산염기 정의의 포함관계가

루이스 > 아레니우스(교집합이 있는 관계)브뢴스테드로우리

인것 같은데, 어떤 사람들은 루이스 > 브뢴 > 아레니우스로 보더라구요

naoh 같은건 수용액상태로 만들면

na+ + oh- 이면 양성자 왔다갔다 못하지 않나요?

그런데 또, naoh + h2o 식으로 써보면 뭔가 이상하게 꼬이고 ㅠㅠ

이거 개념정립 제대로 도와주실분!! ㅠ3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푸도올 · 471568 · 14/07/04 13:04

    물속에서 반응하는 물질은 NaOH(aq)입니다. NaOH(aq)는 물에 녹아 Na+와 OH-로 이온화됩니다.
    이때, NaOH는 강염기이기 때문에 100% 이온화된다고 봅니다. 즉, Na+와 OH-로 완전히 두 입자로 분리가 됩니다.
    Na+는 안정한 이온상태이고, 양의 전하를 띠기 때문에, 양의 전하를 띠는 수소이온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산도 염기도 아닙니다.
    (산의 음이온의 경우 이온상태라 할지라도 음의 전하를 띠기 때문에 H+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OH-는 H3O+의 H+를 가져와서 H2O(l)을 만듭니다. 즉 OH-는 브뢴스테드 로우리 염기입니다. (순수한 물의 경우 25도에서 H3O+의 농도는 10^(-7)으로 일정합니다. 즉, 극미량이지만 항상 존재합니다.)
    따라서 NaOH를 물에 넣게 되면 사실상 OH-만 넣은 것과 같은 효과이구요, 이 OH-가 염기로서 작용을 하므로 NaOH를 브뢴스테드 로우리 염기로 보는겁니다. 짝산은 물이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