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키에르케고르1 · 452877 · 14/06/23 11:26 · MS 2013

    일단 답은 가장 적절한걸고르는거구요...즉 우린 최선의 답을 골라야합니다
    그와 같은 논리가 왜 안되냐기보다는
    출제자의 의도를 간파하지못하면 그런 이의를 제기할수잇다고는 봅니다!!
    언제나 우리는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야한다고 생각됩니다!!^^

  • 1키에르케고르1 · 452877 · 14/06/23 11:27 · MS 2013

    만약 그와같은논리대로 문제를 풀기를 출제자가 원햇다면 문제에 다른 관점을 궂이 왜 써주엇을까요...

  • 난될놈이다 · 432367 · 14/06/23 12:18 · MS 2012

    전 이렇게 이해했어요. 자료수집 단계니까 아직 자신의 관점을 세우지 못한 상황이라구요. 그래서 동일한 관점(특정 하나의 관점)으로만 자료를 구성한다는 것은 이미 관점을 수립한 상황이니까 말이 안되는것 같습니다. 즉 동일한 관점으로 자료를 수집하면 자신의 관점은 그 관점으로 밖에 수립될 수가 없는것 같아요.. 동일한 관점이 아닌 여러관점의 자료를 수집해서 자신의 관점을 찾아야죠. 제생각이에요 그냥..ㅋ

  • 정아샘 · 499685 · 14/06/23 12:32 · MS 2014

    밑줄 치셨듯이 작문 과제가 동일 화제를 두고 다른 관점으로 논설문 쓰기이기 때문에 관점 수립 전 자료 수집 단계에서는 다양한 관점들의 자료를 수집하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 서울대합격!! · 486219 · 14/06/23 13:44 · MS 2013

    같은 화제에 대하여 다른 관점의 자료를 수집 > 연설 내용과 다른 관점의 자료를 수집 > 노인 일자리 문제 (보기에 나와있는 관점이 다른 자료) 하지만 '노인 일자리 문제' 에 대해서는 동일한 관점 이라고 해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