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희엽 국어] 짜임에 따른 시상 전개(13)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638768
숨이 콱콱 막힐 때가 있다.
온몸이 온통 진흙으로 더럽혀 질 때가 있다.
숨이 막혀도 가기로 한 길은 가야 하는 것이고
꼴 사나와도 가야할 길은 가야 한다.
1. 기승전결 방식
시인은 시에서 자신의 정서나 생각을 일정한 방식에 따라 전개해 나가는데 이러한 방식을 시상 전개방식이라고 한다.
기승전결식은 주로 한시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종종 현대시에서도 차용해 쓰이고 있다. 이 방식은 4단계 구성으로 기(起)에서 시상을 도입하고, 승(承)에서 시상을 발전시켜 나가다가, 전(轉)에서 시상의 변화 또는 전환을 시도한 다음, 결(結)에서 시상을 마무리하는 방식이다.
雨歇長堤草色多 비 개인 언덕에는 풀빛 짙은데,
우 헐 장 제 초 색 다
送君南浦動悲歌 그대를 보내는 남포엔 슬픈 노래 울려 퍼지네.
송 군 남 포 동 비 가
大同江水何時盡 대동강 물은 그 언제 마를 것인가.
대 동 강 수 하 시 진
別淚年年添綠波 해마다 이별 눈물 푸른 물결에 더하는 것을.
별 루 년 년 첨 록 파
-정지상,
위 한시는 자연 현상과 인간사를 대비하며 이별의 슬픔을 극대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1구에서 싱그러운 자연의 생동감을 표현한 후 2구에서 슬픈 이별의 노래를 부르고 있는 화자의 상황을 드러내었다. 3구에서 대동강물이 마르지 않는 상황을 설의적 의문으로 제시한 뒤 4구에서 과장적 표현을 통해 그 이유를 밝히고 있다.
2. 선경후정식 시상 전개
선경후정(先景後情)식은 앞부분에서(先) 사물의 모습이나 자연의 풍경(景)을 그리듯 보여주고, 뒷부분
에서(後) 화자의 정서나 생각(情)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이 방식도 원래 한시에서 많이 쓰였고, 시조를 거쳐 현대시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벌레 먹은 두리기둥, 빛 낡은 단청(丹靑), 풍경 소리 날아간 추녀
끝에는 산새도 비둘기도 둥주리를 마구 쳤다.
큰 나라 섬기다 거미줄 친 옥좌(玉座) 위엔 여의주(如意珠)
희롱하는 쌍룡(雙龍) 대신에 두 마리 봉황새를 틀어 올렸다.
어느 땐들 봉황이 울었으랴만 푸르른 하늘 밑 추석( 石)을
밟고 가는 나의 그림자. 패옥(佩玉) 소리도 없었다. 품석(品石) 옆에서
정일품(正一品), 종구품(從九品) 어느 줄에도 나의 몸 둘 곳은 바이
없었다. 눈물이 속된 줄을 모를 양이면 봉황새야 구천(九天)에
호곡(號哭)하리라.
-조지훈,
윗시는 앞부분에서 퇴락한 궁궐 모습의 묘사를 통해 몰락한 조선 왕조와 국권의 상실을 간접적으로 암시하고 있으며, ‘어느 땐들’부터 마지막까지는 그것을 바라보며 느끼는 화자의 비통한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
3. 수미상관식 시상 전개
수미상관식은 시의 처음 부분과 마지막 부분을 유사하게 구성하여 시에 형태적 안정감과 균형미를 주는 방식이다. 처음과 끝에 유사한 시구가 반복되므로 운율의 형성과 더불어 의미나 정서의 강조도 이루어진다. 우리 현대시에서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방식으로 수미쌍관 혹은 수미상응이라고도 한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김영랑,
윗시는 유사한 시구를 시의 앞뒤에 배치하면서 구성의 안정감과 더불어 화자의 간절한 기다림을 강조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마지막 행의 ‘찬란한 슬픔의 봄’을 통해 ‘모란’의 낙화와 개화가 함축하는 상실의 비애감과 희망의 기다림을 절묘하게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 선지의 속살
수능에서는 시상전개와 함께 그 효과를 묻는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있다.
➊첫 연과 끝 연을 대응시켜 화자의 정서를 심화하고 있다. (2008년도 수능)
➋(가)~(다)는 선경후정의 방식을 사용하여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2011년도 3월 서울시교육청)
1. 첫 연과 끝 연을 대응시키는 수미상관법을 사용했다면 첫 부분에 나타났던 화자의 정서가 마지막 부분에서 반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정서의 심화’ 또는 ‘정서의 강화’가 이루어진다.
2. 앞에서 경치를 보여주고 뒤에서 정서를 드러내는 방식을 ‘선경후정’이라 한다. 주로 뒷부분 ‘후정’을 통해 주제를 드러내고 앞부분 ‘선경’과의 대비 또는 조화로 주제를 더욱 부각하기도 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머지 님들제프사보이시나오
-
바로 기절해서 잠들수o?
-
맞춰볼래요
-
야자타임 7
야ㄷ 자ㅇ 타임
-
ㅠㅠ 오늘또 실패
-
나도 탈릅하면 0
오르비에서 날 추모해주겠지? 는 개뿔 아무도 모를듯 ㅋ
-
2번 먹음 여기서도 먹음 그때 3관왕을 한 닉으로 달성햇음 심심한이엿음
-
열라면 삼 0
이거 먹고 자야지
-
저도 야자타임 9
이제는 말할 수 있다 ㄱㄱ
-
비갤은 뭘까 4
이런 문화라니 정말.. 대단해..
-
오이카와에게 이제는말할수있다 ㄱㄱ
-
제대학전부주작이에요
-
25수능후기 15
6평 성적 화미영 세지/지1 24324 9평 성적 언미영 세지/지1 12214 수능...
-
죄송합니다 지금부터는
-
새벽이니까 야자타임 무브링 ㅈ같은 점 말해주세요 고쳐보겠습니다
-
이건 꼭 간다... 2장 예매해야지
-
본캠인척하던데
-
일케 갑자기??
-
D-264 0
국어 문학 1작품/비문학 1지문 국어는 항상 속도가 문제다. 어떻게 문학을 20분...
-
무적건 연대임 ㅋㅋ
-
도함수 0
레함수 ㅈㅅㅎㄴㄷㅈㅅㅎㄴㄷ 양치세수했으니 자러감.
-
잣반고인데 성적이 다같이 하향평준화 된 걸수도 있지 않나..?
-
수강신청 타임어택 안해도되나요?
-
이번에 수능보는 현역인데 국어 연계 공부 어케하나요?? 지금 강기분이랑 인강민철 다...
-
친구 특성화고임 0
한국사 전교 펑균이 10점 나옴. 100점 만점 맞고 주관식 없음 찍으면 20점인데...
-
표준편차 60 ㅋㅋㅋㅋㅋ
-
본인 ㅈ반고임 3
국어 모고 내가 거의 맨날 반 1등이엿음
-
주무실게요 2
-
둘 다 가져가는게 경제학적으로 합리적인거같긴 한데 또 완벽하게 예측한다고하니까...
-
가산점 이도저도 아니게 쳐받고 따지고 보면 불이익만 있네
-
라면끓여줄사람 2
배고픔
-
수능 평백이면 얼마나 좋을까??헤헤헤
-
진짜 내가 2
아이큐 2로 수능수학 다 맞는거 가능하다는거 보여줘야겟네
-
바위에서 떨어지셧다네요… 조의금은 여기로…
-
불편해요 더워....
-
음
-
떳다 3
내
-
진짜임
-
존나 괘씸하네
-
어디부터 시작해야할지 막막하군
-
? 5
-
주인 잃은 레어 3개의 경매가 곧 시작됩니다. 정시파이터"저는 "고3...
-
단과에서면 몰라도 재종인데
-
눕자마자 자고싶은데 참 쉽지않구먼
-
언어이해 3
이건 뭐 언어 읽고 잘 이해하는 거겟지 이건 어느정도 잘 나오려나 지각추론 이게 먼...
-
하나 과탐 틀어서 공대 가산점+ 고점으로 의대까지 노려볼지 걍 투사탐으로 무난하게...
-
아는누나 라이브켯길래 보는데 개귀여움....... 06갓성인인데 ㅈㄴ취함...
-
아이큐테스트 2
뭐 뭐 측정함..??
무플방지
감사.^^
또 다시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수능 기본 개념은 매우 정확히 알 필요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이 점을 약간 간과하는 듯합니다. 평가원에서 수능 중요개념을 사용할 때, 얼마나 주의를 기울이는지는 제가 현장에 있어봐서 잘 알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