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N제 200번 문제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631779
200번 문제의 (가) 그래프에서는 이자율이 제시된 기간동안 상승하고 있으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해원보다 쉽나
-
부경고사우루스 1
국산 공룡 ㄷㄷㄷㄷㄷ ㄹㅇ 부경대 가 보면 있음
-
어떻게 사건이 사실적으로 서술되고 있다. 와 서술자가 직접 개입하여 생각을 드러내고...
-
뻘글) 오소리 2
-
눈에 거슬리는 공부 패턴 같은게 보여도 입꾹닫 하고 있어야함 지문 자체를 그냥 머리...
-
새상품 쪽지 ㄱㄱ
-
현역국어공부시간 0
하루에 3-4시간정도 국어한다면 3시간쭉보다 아침1시간 저녁2시간 이렇게하는개 낫나요?
-
[속보]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뇌물 혐의로 기소 6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뇌물 혐의로 기소 ▶MBC뉴스를 네이버 메인에서...
-
우유근무끝 2
근데 ㅈㄴ빡센게 맞는듯 도저히 1시간안에 못끝내겠음 근데 하루 한시간만 돈줌 2시간...
-
그동안 얼마나 오를지 흐흐
-
강의력 고트고 친절하고 다 좋은데 제발 삼각함수 역함수랑 y=x 접하게 잘 그려주셨으면 좋겠음..
-
좋던데 다른 국어 컨텐츠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
2025 시냅스 미적분 새상품 쪽지 ㄱㄱ
-
4월 덮 84점 맞았는데 쌤이 아직 N제 풀 실력 아니라고 하셔서 6월부터 n제 하려하는데 안 늦나
-
라고 알림 오네
-
뻘글) 기린 8
-
콜플 또보고싶다 2
-
걍 이매진 푸는걸로 이런게 있구나 경험만 쌓으면 되나 굳이 배경지식 공부 할필요 없을거같은데
-
젭알
-
바이럴용 검색부대있나
-
젭알
-
교육학부는 사범대가 아닌가요? 입결이 왜이리 낮은거죠
-
일진법이 훨씬 무서운데 누가 이진법을 따르겠음 컴퓨터들이나 무서워하겠지
-
밤 샜다 0
오늘만 셤보면 하나 남는다.. 3일동안 8시간 잤나 ㅅㅂ
-
2025학년도 전북대 입시결과(수시, 정시_의대, 약대, 치대, 수의대 포함) 1
2025학년도 전북대 입시결과(수시, 정시_의.. : 네이버블로그
-
수학 6등급입니다 도와주세요 어떤거부터 해야할까요? 3등급이 목표입니다 일단 지금은...
-
집가는중
-
제여친임 4
-
아웅 귀여워
-
점심 머먹지 0
벌써 점심 생각하는 대지
-
25시행 중1,고1 국어 시험지 현금 2만원 제공(선착순), 고1 국어, 고2 문학, 고3 특강 분석 문제 배포 0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현재 25시행 중1, 고1 국어 시험지를 모집하고...
-
1일2몬스터 2
기말은 제발 제때 공부 좀 하자...
-
본인 특: 2
별로 안 친한 남자들 여럿과 있으면 말빨좋음 별로 안 친한 남자와 단둘이 있으면...
-
밥먹을때 공부 2
다들 밥먹을때는 공부 어케 하요나요? 공부가 아니더라도 유튜브 안보고 뭐하셨나욥??
-
아떻게 즐겨들은 노래 1위가 my war ㅋㅋㅋㅋㅋㅋ
-
심사 시작하는중입니다
-
시간 가면서 깨달아 가고 있어
-
더 울어라 0
젊은 인생아
-
교통체증 멈춰! 0
제발...
-
개궁금함 ㄹㅇ
-
반드시
-
간만에 잘 잤다
-
피곤 6
-
얼 버 기 3
위즈원 잘잤노
-
볼륨 ㅇㅈㄹ해놨는데도 깜짝깜짝씩 놀람
-
몇시간째 안되네.
-
ㅇㅂㄱ 7
모두 힘세고 강한 아침!
경기가 호황이라 자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경우, 이자율이 상승하겠죠
물가도 마찬가지.
그렇다면 정부나 중앙은행 입장에서는 통화량을 줄이는 정책을 시행해야 하는 게 맞겠죠.
경기가 요동치지 않게 막는 것이 두 기관의 역할이니까요.
통화량 감소와 이자율 상승이 함께 일어나나요?? 첨듣네요.. .
http://blog.naver.com/5somin5/186883727
여기서도 통화량 감소가 이자율 상승을 압력한다고 하구요,
http://eiec.kdi.re.kr/click/click/click_view.jsp?sendym=201001&idx=1282
kdi도 통화량과 이자율을 반대 관계로 설명합니다
편의상 자본시장에서 P를 이자율로, Q를 자본거래량으로 하겠습니다. 또한, D는 자본수요, S는 자본의 공급으로 잡도록 하죠.
자본의 수요는 아마 대출 등, 은행에서 돈을 빌리려는 행동을 말하는 것이겠고,
자본의 공급은 시중에 있는 자본의 양으로 보면 되겠네요.
먼저, 시중에 통화량이 증가할 때를 보도록 하죠. 즉, S가 증가한 상황 말입니다.
D 입장에서는 P가 감소합니다. 즉, 이자율이 감소합니다. 돈이 있으니, 대출 수요가 감소하겠죠.
수요법칙에 의하면 말이죠.
여기까지가 님이 거신 링크의 상황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는 D 자체의 움직임보다는 D곡선상에서의 움직임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겠죠.
하지만 문제로 돌아가서, 거시경제하에서 AD가 증가했을 때의 이자율을 봅시다.
AS가 일정할 경우, AD가 증가, 즉 경기가 호황일 경우에는 P가 상승한다고 봐야 합니다.
물가 역시, 증가한다고 봐야겠죠.
두 경우는, 경기가 호황일 경우, 기업의 투자 수요와 가계의 소비가 증가하기 때문에 은행 대출이 많아져 이자율이 높아졌다고 봐야 합니다.
그리고 두 번째 링크는 정책금리와 관련된 것으로, 시중금리와는 약간 핀트가 다른 것으로 보입니다
추가된 질문에 대해 답하자면, (정책금리는 중앙은행이 결정합니다)
그래프를 봐야 합니다.
부드러운 그래프를 그릴 경우, 시중금리로 봐야 할 것이고, 일직선의 그래프 (중간중간 바뀌는 지점이 있다 하더라도)는 정책금리 그래프로 봐야겠죠.
그래프에 대해서는 좀 애매한 것이, 물가나 이율이나 직선 그래프들의 연속으로 이뤄져서 매월 측정한 값을 그냥 이어놓은 것으로 보입니다ㅏ..ㅠ(기준금리를 보여준 그래프가 아니라 이자율=시중금리를 보여준 그래프)
그리고 하신 답변이 통화량을 줄이는 것이 이자율이 높은 상황을 고려할 때 세우는 정책이라는 ㄱ 보기에 대한 설명에 적용할 때, AD의 하락으로 물가가 낮아져 화폐 수요가 줄어든다는 설명을 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어떻게?
매월 변하는 그래프라면 기준금리로 보기 어렵습니다.
ㄱ에서 통화량을 줄이는 정책에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이를 경기안정화 정책이라고 하는데, 경기가 과열되거나 지나치게 침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경기가 고ᆞ열되는 것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통화량을 줄이는 정책을 편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경기가 과열된다->물가 상승-> 경기안정화정책-> 시중 통화공급 감소 -> AD하락 -> 물가하락.
물론 통화량이 늘면 이자율이 하락하고 줄면 이자율이 상승하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공급의 관점에서 본 것이고 수요의 관점에서 본다면, 자본에 대한 수요가 높고 민간 소비가 늘어난다면 이자율과 물가상승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고 봐요. 그래프를 보고 싶네요.
그리고 정부는 금리에 대해 관여하지는 않습니다. 중앙은행이 통화량과 이자율을 조절해서 경제 성장과 안정을 도모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따로 설명할 것도 없이 둘 다 증가하는(기울기는 매월마다의 시점을 기준으로 변하는 직선의) 그래프 형태만 있습니다. 그나저나 ㄱ 보기 설명이 필요한데..ㅠㅠ 그부분을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여기서 총수요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거 같네요. 이자율이 올라가는 것은 기업의 자본에 대한수요 즉, 민간투자가 늘어났고 물가상승이 이자율 상승에 비해 가파른 것으로 보아 민간소비도 증가해서 결과적으로 총수요의 증가로 총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이 작용한 것 아닐까요? 그렇다면 물가 안정을 위해서 긴축정책을 실행해야 하는 게 맞는 거 같습니다.
말로만 보니 답답해서 서점에 와서 문제를 봤는데, 저는 이렇게 이해했는데 이해가 안가시나요??
통화의 수요와 공급 그래프로 이해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통화량의 공급조절은 중앙은행만 가능하니, 수요의 관점에서 보시는 걸루요. 분명히 공급곡선이 움직이면 통화량과 이자율은 정의 관계를 갖지 않고 반의 관계를지니지만, 수요곡선이 움직이면 통화량과 이자율이 정의 관계를 갖으니까요.
감사합니다 ㅎ
이해가 가셨나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