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외 지문이 어려운 이과, 과학 지문이 어려운 문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588785
이과 학생은 철학 지문을 어려워합니다. 물리적 실제를 다룬 것이 아니기 때문일까요? 철학을 비롯한 인문학은 관념적입니다. 하지만 물리학 역시 실제의 현상과 연관되어 있기는 하지만 중력법칙처럼 법칙 자체는 추상적인 법칙을 언어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과 학생이 관념적인 글을 힘들어한다고 속단하기는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물리학적 개념인 중력, 관성 등은 그런 규칙을 따르는 물리적 현상을 떠올리면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물리적 현상의 예를 떠올리지 못한다면 이해하지 못한다는 의미도 있다는 것을 알아 주세요) 하지만 철학에서 추상적, 관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들은 그것들을 보여주는 어떤 실제 현상이나 예로써 간단히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언어로 표현된 개념의 경계를 서로 이어가면서 개념의 안과 밖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지요.
반대로 문과 학생이 과학 지문을 어려워하는 것은 위에서 이과 학생들이 쉽게 할 수 있는, 물리적 관념과 물리적 현상을 결합하면서 글쓴이가 언급하고 있는 개념이나 현상의 상을 마음 속에 그려내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또한 그렇게 파악한 상을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것을 매우 어려워하기 때문입니다.
과학 지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간추론과 같은 능력을 필요로 합니다. 공간추론능력이란...공간에서 위치, 이동, 접촉, 배열 등의 상황을 추론하는 능력이라고 설명하겠습니다. 아래 내용에서 배열에 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공간추론능력처럼 한 개념(원리)가 있다면 어떤 조건이 어떤 결과를 필연적으로 도출한다는 추론 능력을 필요로합니다. 이런 읽기와 사고에 익숙해지다보니 이과 학생은 서로 겹칠 수 없지만 쌓을 수 있는 레고블록으로 어떤 형태를 만들어 내기에 능해집니다. 그래서 네 개의 레고블록 A, B, C, D를 AB, CD로 붙인 다음 B와 C를 붙이면 맨 위의 것은 A이고 맨 아래 것은 D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는 이해 방식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문학적 개념은 색을 겹쳐 칠하여 완성하는 회화와 같이 언어가 연상시키는 개념들을 서로 합하고 구분하는 능력을 필요로 합니다. 그래서 개념은 명확한 명제를 통해 주어지지 않고, 그렇더라도 그 의미를 다른 내용과 연합하여 파악해야 합니다.
아래 문장을 하나씩 읽으면서(한꺼번에x) 네 사람의 위치를 마음속에 그려보세요.
1. 명수는 재석 뒤에 있다
2. 명수는 홍철의 왼쪽에 있다
3. 형돈은 홍철의 오른쪽에 있다
위의 문장들을 하나씩 일어가면서 네 사람의 위치를 점차적으로 마음속에 그려서 결국에는 명확하게 배열하는 상을 그려내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1~3은 독자가 네 사람이 공간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는가에 관한 상을 그리도록 유도합니다. 재석, 명수, 홍철, 형돈의 위치는 모두 네 사람이 상대적으로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말하는 ‘상대적 지식’입니다. 상대적 지식은 또 다른 상대적 지식을 낳습니다(추론).
명수는 재석 뒤에 있다 ↔ 재석은 명수 앞에 있다
명수는 홍철의 왼쪽에 있다 ↔ 홍철은 명수 오른쪽에 있다
⇒ 재석의 뒤의 오른쪽에 홍철이 있다 ⇒ 재석의 뒤의 오른쪽에 홍철이 있다
실제 글 읽기에서는 공간적인 위치뿐만 아니라 정치적 입장이 다른 몇 사람의 주장, 이론상 관점이 다른 학설 사이의 관계나 소비자 사이에서 인기도가 다른 제품들의 위상 등을 다루는 글을 만나게 됩니다. 과학 지문을 잘 읽는 학생은 과학적 개념으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성질에 관한 추론이 능한 반면 인문학의 언어로부터 추상적 개념 자체를 파악하는 개념 추론을 어려워합니다. 인문학 지문을 잘 읽는 학생은 반대이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냥 틀릴뿐이지... 수능장에서도 시간은 존나넉넉하더라
-
야심한 밤ㅇㅈ 0
고독한 양주한잔. 초딩입맛이라 하이볼밖에 못마심
-
현대시: 오늘 올림 고전시가: 우선 보류, 고전시가는 길이가 좀 되는 고전시가 중...
-
순자 누님 음색 0
머선129
-
수특 국어만 1
새 책 사서 2번 정도 더 돌릴까유
-
확통과탐? 0
재수생)) 미적에서 282930을 항상틀려서-12점을 깔고가서 그럴바에 확통을...
-
1년간 그렇게 발버둥쳤는데도 평균에 못미친다는걸 깨달아서
-
과외 1
너무안구해지네.. 선배님들 팁 있으신가요
-
죽을까 4
좆같다
-
낼 수특사야지 7
풀기싫다
-
진짜 ㅈㄴ 따갑네 하얗게 물집잡힌거 같은데 어캄.......
-
노래 추천 0
109-니가 보고싶을 때
-
제가 입시판을 그리 깊이있게는 몰라서 궁금하네용
-
저 지난주 수, 목에 신청했는데ㅜ
-
내일은 1
오랜만에 일찍 일어나서 국어 봐야겠습니다 원래 작년처럼 투자 제일 후순위로 하려...
-
수능/평가원 기출, 릿밋딧 뿐인가
-
ㄷㄷㄷ
-
일단 저는 재수실패한 05년생입니다 3월 통신병 입대 vs 1학기하고 6월 운전병...
-
리밋딧 안 봐도 되나
-
당할까요? 실제로 쓰는 사람들 있나요
-
ㅈㄱㄴ
-
너 T 0
팬티
-
내가그걸왜봐야하지?
-
김준 은퇴시키자 그것 말고는 답이 없다
-
옛친구가 여기갔는데,,, 공부 안하던 애였는데 지방의 라인아님 이거??
-
원래 최애과목인디 작수 보고 정내미 떨어짐
-
15리트에 22헤겔 변증법이랑 예술의 종언파트 그대로 나와있거 정답률 30-40퍼...
-
다시한번나의저능을 느끼게 될거 같다
-
30분동안하는게 좆같음
-
삼반 vs 쌩삼 4
현역 수능 14231 재수 6모 13321 재수 9모 14111 재수 수능...
-
강대기숙 어떰? 3
전장 받고 갈 거 같은데
-
어디가 비교적 대기업 취업잘될까요??
-
맞팔 왜하는거임 7
왜 맞으면서까지 팔로우를 함? 마조임?
-
작년 이시기에 한양대였나 전화 기다리는 사람있었는데 5
글 엄청 많이 쓰셨는데 아쉽게 떨어져서 닉 바꾸고 사라졌던가 되게 임팩트있었음
-
아이디어 시기 0
시발점 끝나고 복습용으로 하면 좋을까요?
-
내가좇같은이유 22
내 스스로도 좇같고 세상도 좇같고
-
맞팔 구해봅니다 1
잡담태그 잘답니다 은테가 찍고싶어요 ㅠㅜ
-
닥 후일까요? 산공은 추합 ku자전은 내일 붙을거같은데 고민이네요..
-
김승리 올오카 지금 4주차 나가고 있습니다 매월승리랑 엮어읽기 다른건 다 괜찮은데...
-
계정사야하나요.... 수강신청 강의평 봐야하는데 ㅜㅜㅜㅜㅜ
-
다들 성공해라…
-
로블록스할사람 3
로블록스할사람?로블록스 로블록스할사람
-
저는 매우 감동했습니다!!!ㅠㅠㅠ
-
아무튼 그럼.
-
대학을 거니까 오히려 더 초라한 사람이 된거 같은데
-
지금부터 하루 순공 12시간씩 하면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15
작년 수능 점수입니다 이런 질문이 의미 크게 없고 사람마다 재능도 다른것도 알지만...
-
이짓을 260일하면 잘보지 않을까? 흐흐 작년에 9월전까지 학교에서 잠 폰 딴짓밖에...
-
아무나 맞팔 고
-
솔직히 수학과탐 좀 부족한거같은데 독헤ㅜ인강이랑 월간조정식 푸는중인데 이게 저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