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세, 있는 척을 지칭하는 속어.
그 어원은 일어인 카오(かお[顔])에서 나온 것이다. 일본어에서는 그냥 얼굴이라는 의미 말고도 顔が立つ(직:얼굴이 서다, 의:체면을 세우다) 顔が廣い(직:얼굴이 넓다, 의:발이 넓다)와 같은 형태로 사용한다.사실 이런 말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가오라는 단어에는 이미 묘한 뉘앙스가 들어가버렸다. 동일한 의미의 어휘들이라도 다른 층위를 가지는 경우들이 있는데 우리말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단어들은 비속어라는 의미층을 구성한 것이 아닌가 싶다. 네이버 오픈사전 펌(http://kin.naver.com/openkr/detail.nhn?state=R&docId=21256)
멋과 허세의 중간쯤
가오잡지마라 = 폼잡지마라
가오가이거
우리나라말인가요??첨 듣네요;;ㅋ
때고
허세, 있는 척을 지칭하는 속어.
그 어원은 일어인 카오(かお[顔])에서 나온 것이다. 일본어에서는 그냥 얼굴이라는 의미 말고도 顔が立つ(직:얼굴이 서다, 의:체면을 세우다) 顔が廣い(직:얼굴이 넓다, 의:발이 넓다)와 같은 형태로 사용한다.사실 이런 말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가오라는 단어에는 이미 묘한 뉘앙스가 들어가버렸다. 동일한 의미의 어휘들이라도 다른 층위를 가지는 경우들이 있는데 우리말에서 사용되는 일본어 단어들은 비속어라는 의미층을 구성한 것이 아닌가 싶다. 네이버 오픈사전 펌(http://kin.naver.com/openkr/detail.nhn?state=R&docId=21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