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푸는속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531023
평소에는 보통수준 4점짜리도 대부분 2분이내 정도에 착안해내고 5분내정도에 푸는데,
학교 내신시험이나 모의고사만보면 갑자기알던 공식 생각이 빡빡해지고
되게 뭐랄까 생각이 제한되는느낌??;;
평소는 10m의 생각범위를 자유롭게 오갈수있었다면
시험때만되면 한 5m에서 바둥바둥거리는 느낌...
그래서 페이스 말리고, 3점짜리에도 시간무지하게소비하고,
별거아닌4점도 괜히 오래걸리고 막 생각안나고 ㅠㅠ......
세타 조건? 이런거도 막 생각안나고 ㅋㅋㅋㅋㅋ
진짜 현장에서도 어이가없어요.......
정말 어떻게해야하나요????????으으ㅡㅡㅡㅡ
(이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부러울수가 없드라 심지어 행정병…
-
잼나네
-
오픈카 ㅇㅈ 9
뚜껑열리는 드랍탑애서 다른것도벗기겟지 설레벌써
-
의대가망할정도의시대가되면다른과는대체머가되는거임?
-
그것은 바로 손 길이 인증
-
뭔가 좀 야시꾸리함
-
귀찮아 죽겟어그냥 죽을래
-
숙취 기념 ㅇㅈ 3
이라 할줄 알았지?ㅋ 형은 아직 가려면 멀었다 ㅋㅋ
-
작수 시험지를 갖고 몇 문항 살펴봅시다. 이 문제를 잘 분석했다면 다음도 문제 없이...
-
어케 해야될지 고민되네 그냥 몸이 힘들더라도 육군 빨리 갔다오는게 최선인것 같은데
-
눈치게임시작 11
걸리면 둘이 사귀기 1
-
학원 같이다니던 남자 1 2 가있었는데 12는 서로 베스트프랜드고 나랑도 꽤...
-
난 누군지 몰라 중립.
-
이때로 돌아가고싶9나
-
어쩌지 4
-
ㅇㅈ 한번 더 달린다 12
오늘 재탕이니 이해 좀 해주십쇼
-
여르비 ㅇㅈ 8
머리 묶었으니 아무튼 여르비임
-
그런 고정관념은 깨부숴야한다고 생각함
-
잇구나
-
인증을 하도록.
-
강민철 선생님 듣고 있고 다 좋은데, 선지 분석이 너무 사후적이란 느낌이 들어요.....
-
상특) 맘에 들면 현실 인스타 교환함 오티에서 모르는 사람이랑도 맞팔하는데 머 어떰...
-
배고파요 0
잘래요
-
하트 ㅇㅈ 14
커뮤 살면서 유저 한테 피로 하트도 그려서 받아봄
-
으흐흐
-
댓 다신 분 중 한분임 20
이전 글에.
-
코 높고 괜찮고 눈 이쁘고(설윤이랑 거의 같으) 어깨 키보드보다 넓고 얼굴도...
-
개재밌으니까 옵붕이들도 빨리 연애하고 상담받아라
-
뉴비 시절에 나만 못봤음.
-
ㅅㅂ 놓쳤다 본사람들 후기점
-
하 용기 내서 11
수강신청 전에 한 번 더 연락해야지 선디엠 계속 해주는 거 보면 착해…..
-
나도 질받해볼랭 4
-
미래에는 감정을 자유자재로 바꾸는 기술도 만들어질까요 18
그렇게 된다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감정과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감정에 어떤 차이가...
-
본인 성별 투표 9
2시쯤에 정답공개하고 무기한 휴르비 들어감ㅇㅇ
-
ㅇㅈ후현타 0
뭐라고 불러야 되지
-
분명할수 있었던것들이 할수 없게 될때까지 말입니다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허용범위가 넓어진듯한 느낌 원래는 아니었는데 재수하면서 그렇게 된듯
-
.
-
메가패스 몇명까지 들을수 있나요? 3명 가능한가요? 한명 pc, 한명 태블릿, 한명...
-
학원에서 수능기출의미래 할 건데.. 한문제 한문제 세세히 봐주는 곳이라 숙제양이...
-
재수생 2
다음주에 3박4일로 여행가는데 괜찮을까요.. 공부패턴깨지거나 감떨어질까봐 걱정입니다
-
지구과학 해야징
-
ㅇㅈ 4
병신 한명
-
미드 6
개빡치네진짜
지금 그 느낌은 실제로 뇌연구에서 알려져있는 현상인데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 뇌 활성화 영역이 너무 많아져서 뇌에 로드가 걸리는 겁니다.
극복 방법으로는 매일 주말에 시험시간표에 맞춰서 시험에 자주 응시하면 뇌가 그 상황에 익숙해져서 활성화 영역을 점차 줄여나갈껍니다.
추천하는 방법으로는 일단 주말 텝스시험 응시나 모의고사 응시 등으로 시험 상황에 자주 노출되도록 해보세요. 실제 시험상황이 아니면 글쓴님은 아마 효과가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실제있는현상이라니....
매일 주말마다 혼자라도 모의고사 시험을 봐야겠군요...
감사합니다!
행동원칙의 정립이 덜 되어 있는것 같은데요...
맘 편한 순간에는 쉽게 쉽게 보이지만, 시험의 순간에선 시야가 좁아지는 거죠..
조건의 검토라던지, 문제 풀이의 출발에서 평상시에 논리보단, 경험치로 직관적으로 그 과정을 넘어가는 방식이었다면, 일어날 수 있는 일 같습니다.
tan 와 다항 함수의 실근의 개수를 묻는다고 가정할때, 평상시야, 너무 당연하게 그래프를 그려서 해결해 보려하겠지만, 사실 교과 범위내에서 이 둘의 근을 구체적으로 구할 수 없단 걸 인지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지금까지의 문제풀이 경험치만으로, 풀이의 시작에 필요한 논리과정을 자주 건너 뛰었다면, 시험때는 그 당연한 그래프 풀이의 시작이 뻑뻑해지는 거죠. 이 순간 할 수 있는게 이것밖에 없단 생각이 있다면, 줄어들 일이라고 봅니다. 어떤 상태인지 하나도 몰라서, 제 경험에서 이런 문제가 원인이 아닐까 싶어서 드린 말씀이에요. ㅎㅎ 보통 이런경우가 많더라고요.. 여담이지만, 수학 잘하는 어떤 분이 말해 주셨는데, 흔히들 실수라고 하는 것은, 사실 그 시험에서 그 중압감 속에 그 계산을 완벽히 해낼 실력이 못 되기 때문이라고 하시더라고요. 이 말이 비단 수학시험의 실수에만 국한될 말은 아닌듯 해서요. 어떻게 보면, 님께서 평소 느끼시는 그 괜찮은 실력이 실상은, 아직 조금 부족함이 있어서가 생긴 문제가 아닐까 란 의심을 하시는게 발전적차원에서 더 좋을지도.... 잘 알지도 못하면서 너무 떠들었네요 ... 제 모습 떠올라서 지나칠 수 없었어요 ㅜ
정말 저랑 거의 똑같은거같아요!ㅋㅋㅋ
평소엔 당연하고 직관으로 촥촥가던게
시험때 논리를 밟으려니까.. 멘붕
저가 부족한게 진짜 맞습니다. 일침 정말 감사합니다!!
수학 문제 풀때 직관에 의존하다 재수하게된 재수생입니다.
지금은 모의고사 훈련하지 마시고 문제풀이의 개념 메뉴얼 같은것을 만드는게 중요합니다.
특히 개념이 완벽하다고 착각 할때가 가장 위험한 순간이기도 하죠.
수능 평가원 기출 문제를 분석하시면서 처음푼다는 마음으로(기억에 의존하지 마시고) 어떻게 개념을 써야하는지 알아가는 과정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