왈와왈왈 [456488] · MS 2013 · 쪽지

2014-04-19 21:50:27
조회수 755

탄성력에 의한 퍼텐셜 에너지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503297


여기서 -붙은 이야가 그냥 방향 표시만 알려고이런거고 계산할때는 양수라는 건가요?? 일하고 에너지는 다 스칼라이니까 양수로 나와야되는거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라외키 · 498414 · 14/04/19 22:22

    아뇨 방향표시만을 의미하는것이 아닙니다 실제로 일은 (-)로 하고 있는것이지요
    퍼텐셜에너지의 의미는 운동에너지가 감소했지만 결론적으로는 다른 외력이 없다면 다시 원래상태 또는 초기상태의 용수철의 압축상태에 따라서 운동에너지가 증가하는 상황이 나오게되죠?
    이 설명을 에너지 보존관점에서 서술하기위한 개념이 탄성력 포텐셜 에너지인겁니다

    즉, 운동에너지가 감소한 만큼 실제 포텐셜에너지로 전환되어서 저장된다는 개념으로 에너지보존법칙을 설명한겁니다 또 실험결과가 그걸 입증했고 수식적인 모델도 들어맞아서 받아들여진것이죠

  • 아라외키 · 498414 · 14/04/19 22:30

    용수철이 압축된다면 운동에너지가 줄어들게되죠?
    운동에너지가 100에서 0으로 떨어졌다고 해봅시다 그런데 용수철의 탄성력 이외의 외력이 작용하지않는다면 이 물체의 운동에너지는 용수철이 복원되면서 다시 100으로 회복하게 됩니다 단순히 운동에너지 개념으로만 서술하게되면 에너지가 생겼다가 없어졌다가 하는 보존적 개념에 부합하지않기때문에 용수철의 탄성에너지를 이용해 서술한겁니다

    운동에너지가 100에서 0으로 떨어지는 동안 포텐셜에너지가 0에서 100으로 늘어서 전체적인 에너지가 보존된다는거죠(100+0=0+100)

    고로 (-)는 운동에너지 관점에서 서술한거고 탄성에너지는 운동에너지의 증감에 정반대라는거죠 즉, 결국 (+)가 되는거죠

  • 왈와왈왈 · 456488 · 14/04/19 23:07 · MS 2013

    아 왜 그런지 알겠어요
    그리고 말씀대로 하면 문제 풀때는 역학적에너지=탄성 퍼텐셜 에너지+운동에너지로 풀어도 상관없는 거죠?

  • 아라외키 · 498414 · 14/04/19 2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