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량공급 [311238] · MS 2009 · 쪽지

2014-03-24 12:02:00
조회수 35,065

대학 3년간 다니면서 느낀 고등학생이 모르는 대학생활 비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444428

1. 이과는 고등학교의 연장선상이다.



졸업할때까지 고등학교 4,5,6,7학년이라고 보시면됩니다.

수업도 재종반이나 고등학교 수업과 별차이없음

세가지 차이가 있다면 



1). 대다수는 더못가르침

(실력과 교수법은 별개)

마이클 센델의 강의를 생각하고 학교에 들어오면 많은 실망을 하실겁니다.
ㅠㅠ


2). 고등학교때는 없던 실험,설계가있어서 고등학교보다 뭔가 힘듬
아침부터 저녁까지 , 시험공부는 새벽에! 



3). 시험은 두번만 있는게 아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과목당 4번의 시험을 보고있습니다.

6과목듣는데 6과목 모두 매주과제가있음



(서강대라서 그런게아니라 다른 공대도 마찬가지)



여러분이 상상하는 대학생활라이프는 대부분 문과1~2학년 이나 의치한 예과정도?
ㅠㅠ



2. 장학금은 개나소나 받는게 아니라 어려움
수탐11찍고 들어왔는데 학점 못맞추어서 이공장 짤리는사람 부지기수



3. 간판? 전공? , 마음만 먹으면 하고싶은 공부를 할수있다.(사범대,의치한제외)



내가 문과인데 수학공부가 너무너무 하고싶다?

그럼 하면됩니다.



제가 본사례만 수없이 많은데 

기억나는거만 적어보면 



고대 언어에서 수학이중전공

고대 영문에서 수학과 과목 싹슬이

서강대 정외에서 물리 다전공 등등



그외에도 전과제도가 있는학교는 그것을 활용하면 되겠죠. 굳이전과하지 않더라고 



취업의 '도구'가 를 말하려는게아니라 다양한 공부를 하는데 도움을 주려는 제도로 활용할수있다는것을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진짜 학문적으로 공부하려면 대학원!을가시면됩니다.



학부로는 한계가있음.



3. 졸업할때까지 입학한 전공의 과목만 주구장창 듣는게아님(의치한, 공대제외)



고등학교때는 졸업할때까지 주요과목을 1교시부터 6교시까지 주구장창 들었던 기억이 있을텐데,



대학교는 과목을 선택해서 들을수있고 시간도 조절할수있음



저는 모든수업이 12시에시작해서 3시에끝남



 졸업할때까지 보통 45과목 정도를 들어야하는데 



복수전공을 하지않는경우 전공을 20과목이상 들어야하고 



복수전공을 하는경우 전공을 12과목이상 들어야함





공대는 전공에 기타 수학과학과목 까지합치면 졸업할때까지 관련과목을 40개이상들어야됨

(복수전공을 하는경우 30개정도로 줄어듬)



경영은 복수전공 단일전공 상관없이 보통 전공 18과목 이상들어야할꺼에요



나머지는 듣고싶은과목 아무거나 들어도됨



4. 여자친구는 여전히 안생긴다

설명생략



5. 방학은 기말고사 끝난날부터, 개학날까지 두달정도, 아무도알려주지않음

=> 방학때 나와야하는거 없고 기말고사 끝나는날 바로방학





6. 대학 수시로왔는지 정시로왔는지 교수 아무도 관심없고 아무도모름

=> 교육학과 교수가 연구논문쓰는일아니면 아무도 알려하지않고 관심도없음



7. 학교 학원에 못생긴 그남자,그여자

대학가면 잘생기고 예뻐짐



8. 공무원, 고시,cpa, 의치전 등등



학교수업으로 대비하는게 아니다



고등학교때도 학교수업으로 논술을 대비하는게 아닌것처럼



각종시험도 학교수업으로 대비하는게아님



cpa는 학점이수요건이있어서 경영 경제가 1~2학년때 미리준비할수잇음



복수전공 안하고 cpa하려면

http://www.hunet.co.kr/ 이런곳에서 학점이수 하고 준비할수있음



경영과목들 보면 회계쪽은 cpa 과목 ㄷ인강듣고온사람이 양민학살함







9. 노력하는놈 위에 머리좋은놈 있다.



성공은 누가할지 모르지만 학점은 머리좋은놈이 잘 취득함



인정할건 인정해야 덜스트레스받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