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rrytwo [480154] · MS 2013 · 쪽지

2014-03-15 20:55:49
조회수 561

1996년 언어 영역 기출문제 질문이에요 지문이 어렵네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423922

[1~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그 날의 첫 모험은 우리들 가슴 속에 깊이 남아 있는 하나의 신비한 꿈이었다. 사실상 내가 수병으로 입대한 것도 그 신비로운 꿈을 실현시켜 보려는 하나의 방법이었을지도 모른다. 

파도는 높고 하늘은 흐렸지만 그 속에 솟구막치면서 흐르는 나의 머릿속을 스치고 지나가는 영상은 푸르고 맑은 희망이었다. 

나는 어떻게 누구의 손에 의해서 구원됐는지도 모른다. 병원에서 내가 의식이 회복되었을 땐 다만 한 쪽 다리에 관통상을 입었다는 것을 알았을 뿐이다. 

대개 병원에 입원했던 부상병이 퇴원할 즈음이 되면 곧잘 모여 낮은 자리에서 자기가 산 것을 기적같이 말하곤 했다. 그러나 나는 이런 말을 듣고 있으면서도 한 번도 나 자신이 살아난 것을 기적이라고 생각해 본 적은 없었다. 

물론 그 날의 일은 모두가 과거요, 추억이지만 그 날 내가 본 신기한 꿈은 과거의 것이 아니라 그 때까지는 미래에 속하여 있었다. 내가 나의 생환을 기적이라고 생각지 않은 원인도 이런데 있었는지도 모른다. 어떤 절망에 빠졌어도 꿈을 갖는다는 것은 소중한 일이다. 

파도에 떠 흐르는 동안 내가 의식을 잃기 전까지는 이런 소중한 꿈을 갖고 있었던 까닭에 나는 기적적으로 살아난 것 같지가 않았다. 

나의 부상은 경상이었다. 그러나 나는 그때부터 불구자가 되었다. 관절의 자유를 잃은 나는 한 쪽 다리를 마음대로 쓸 수가 없었다. 그렇다고 내가 배를 타는 데 무슨 부자유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나는 배에 오르면 성한 사람 못지않게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지만 군복을 벗을 때까지 두 번 다시 배를 타지 못하였다. 

수병의 자랑은 배에 올라 일하는 때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러한 자신이 육지에 있어야 했고, 저는 다리로 걸어야 한다는 것은 나에게 더할 수 없는 모욕이기도 했다. 

바다의 아침이란, 우리가 일찍이 느껴보지 못한 장엄한 풍경이다. 그러나 제 아무리 장엄한 풍경이라 해도 우리를 매혹시키지는 못했다. 

주림과 피곤에 지친 우리들은 이러한 풍경을 바라다 볼 기력도 없이 주저앉아 있기 마련이었다. 우리 세 동갑 중 가장 치밀하고 슬기있는 것이 상운이다. 치밀이라고 할까 또는 슬기라고나 할까 어떻든 그 날 아침 불안과 절망에 묻혀 있는 우리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가져다 준 것은 상운이었다. 

“됐어 됐어! 자 이것 봐……. 이것만 있으면 문제는 해결될 수 있지 않아…….” 

그가 중얼거리며 선창에서 끌어당길 때 나는 그것이 무엇인지를 모르고 있었다. 

“야! 살았다. 살았어…….” 

순복이가 이런 소리를 칠 때야 겨우 나는 그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었다. 

그물이다……. 

그물……. 내 마음 속에서도 그들모양 생기가 꿈틀거렸다. 

매듭과 매듭으로 그물이 짜여 있듯이 새로운 불안이 우리들의 가슴을 얽어 매었다. 우리는 지금까지 그물을 친다는 것은 겨우 투망질하는 것을 보았을 뿐이다. 그런데 이 큰 그물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지 통 엄두가 나지 않았다. 

“어떻게 하지…….” 

나의 물음에 상운이도 대답을 잃은 채 그물만 들고 뒤적거리고 있었다. 나는 새로운 기적을 바라듯 멍청히 하늘을 쳐다 보았다. 하늘도 제 빛을 차지하여 파란 바탕으로 우리들의 머리 위를 뒤덮고 있었다. 그 때 나는 확실히 어떤 꿈을 꾸고 있었다 꿈이 아니라 어제 일을 머리속에 그리고 있었다. 머리 위에 빙빙 돌며 우리들의 길 안내를 해 주던 갈매기는 어디로 갔을 까? 나는 가장 중요한 일이 갈매기의 방향을 찾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결국 우리들이 길을 잃은 것은 갈매기의 그림자를 잃은 때부터였던 까닭이다. 

그러나 갈매기의 울음소리는 비어 있는 하늘 아래 아무데서도 들려 오질 않았다. 나는 모든 희망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그 이상의 기적을 바라는 자신의 어리석은 것 같아 털썩 주저앉아 버리고 말았다. 나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것은 상운이와 순복이가 큰 그물을 칼로 자르고 있는 것을 보았던 까닭이다. 

“어떻게 하지?” 

놀란 나의 목소리는 떨고 있었다. 

“무엇을……?” 

나는 대답에 궁했다. 상운과 순복은 번갈아 나의 표정을 쳐다보며 일손을 멈추지 않는다. 그들의 표정에 가벼운 노기가 있음을 나는 느낄 수 있었다. 아버지의 배는 아니지만 아버지가 선주에게 빌린 배다. 그물도 역시 그러했다. 그물이 중요하다는 것은 상운과 순복이도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때처럼 우리 식구들의 생명이 그물코에 달려 있다는 것을 절실히 느껴본 적은 없었다. 

무거운 침묵이 가슴을 누르고 있었다. 햇살이 퍼진 탓에 누긋한 바람이 목덜미를 씻고 지나갔다. 눈 앞에 두 번 세 번 떠오르는 아버지의 얼굴을 잊으려고 나는 눈을 감고 있었다. 

“그물이 중하지…….” 

뱃머리를 두드리는 파도 소리보다도 그 목소리는 고요 속에 어떤 무게를 가지고 있었다. 

”그물도 중하지만 우리가 살아야 한다는 것은 더 절박한 일이야” 

㉠나는 이 말에 이상한 감동을 느꼈다. 

<정한숙, IYEU도> 


1. 윗글의 내용에서 이끌어 낼 수 있는 삶의 지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현실 상황에서는 고난과 환희가 늘 교차하게 마련이다. 

② 언제 닥칠지 모르는 비극적 상황에 항시 대비하여야 한다. 

③ 몸이 불편한 상황에서도 의지만 있으면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 

④ 고난의 체험은 훗날 삶의 위기를 극복하는 힘이 된다. 

⑤ 자신에게 기적이 일어나리라는 믿음은 불가능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 문제 답은 4번인데요 해설이

그물 얘기가 고난 극복 체험이었고 그게 수병 시절의 위기를 극복하게 해주었다 인데..

그러면 저 지문에서 시간상 가장 최후의 상태는

나의 부상은 경상이었다 부터 모욕이기도 했다 까지잖아요?

최종 나의 심리 상태는 마인드가 저렇게 갔는데 주제가 어떻게 극복이 될 수가 있는 지

만약 그러하다면 이 지문의 주제에 대한 응집성 같은 것이 떨어지게 되는 게 아닌지 의문이구요

그리고 하나 더 궁금한 건 이 지문에 오타 비스무리한 게 보이는데
(저 상태 그대로가 평가원 사이트에 올려진 상태 그대로입니다.)

예를 들면 '우리는 지금까지 그물을 친다는 것은 겨우 투망질하는 것을 보았을 뿐이다'

에서 투망질하는 것으로 가 맞는 것일테고

'그 이상의 기적을 바라는 자신의 어리석은 것 같아 털썩 주저앉아버리고 말았다.'

에서 자신의 가 아닌 자신이 가 맞을텐데 이런 것들이 원래 지문 자체가 저러한 상태에서 출제된 건가요?

유난히 90년대 기출에서 저런 게 많이 발견되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마녀오빠 · 497465 · 14/03/15 22:11 · MS 2014

    이건뭐....느낌이 살짝 전체지문을 알아야 풀수있는문제같은데....
    일단 제생각에는 수병시절의 위기 극복은 죽다살아난것, 오른다리에 관통상을입고도 살아난것까지를 의미하는거같은데요. 그뒤의 감정은 별개로 치고요. 근데 해석이 참....답지에 맞추자면 표류를 한번당해봤으니까 수병시절에 표류 됐을때도 살 수 있었다. 정도일거같은데하....굉장히 마음에 안드네요..
    다른게 정말 아닌답지같아서 4번을 찍기는했는데 이게정답이다! 그런 느낌이 안드네요..
    정확한 답변 드리지못해서 죄송해요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 jerrytwo · 480154 · 14/03/15 23:06 · MS 2013

    저도 그런데ㅠ 수능기출이라 감히 문제가 잘못되었다 할 수 없는 노릇이라 참 힘드네요ㅠ

  • 마녀오빠 · 497465 · 14/03/15 23:29 · MS 2014

    근데 10년전쯤이면 거의 외워서 치던 시험 아니었나요ㅋㅋㅋ주제줄거리 그런거 다 외워서 쳤다던거같은데...
    너무옛날건 그렇게 신경안쓰셔도 될거같아요ㅎㅎ

  • jerrytwo · 480154 · 14/03/15 23:33 · MS 2013

    ? 학력고사가 아닌 수능시험은 처음부터 본 의의대로 문제 출제가 된 걸로 아는데...

  • 마녀오빠 · 497465 · 14/03/15 23:36 · MS 2014

    아. 그런가요? 보통 수학은 5년이 넘어가면출제의도가 약간씩 안맞는 편이라더라구요. 국어도 살짝 비슷한 느낌이지 않을까 했는데. 흠. 아니라면죄송합니다ㅎ

  • jerrytwo · 480154 · 14/03/15 23:46 · MS 2013

    아니요 죄송하다는 말은 할 필요없어요 저도 잘은 모르겠어요 그렇게 알고있긴 하지만 저도 풀면서 혼란스럽네요 저도 부족하기 때문에 질문도 자주 올리고 그러는데요ㅋ

  • 마녀오빠 · 497465 · 14/03/15 22:25 · MS 2014

    아. 그리고 첫번째 오타라고 생각하신건 제생각에는 투망질 하는것 만을보았을 뿐이다 라고 해석하시면, 그물은 투망질하는 물건인데 이놈들이 뭐하는짓이야!! 정도로 해석할 수 있을거 같아요
    두번째는 저도 이상하네요

  • 마녀오빠 · 497465 · 14/03/16 13:06 · MS 2014

    네ㅋㅋ 같이열심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