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문제 질문이에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398241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ㅈㄱㄴ
-
제곧내
-
물리는 모르겠고 0
지구는 서바 50 고정 실력을 만들수 있을 정도로 열심히 해야겠다
-
펀더멘탈 개어렵노
-
나 아기임 7
응애응애~~♡ 맘마 주떼예~~
-
어미 종류만 외우지ㅡ말고 종결어미 뭔지 연결어미 뭔지 싹 다 외워야함??...
-
계정 0
리셋 마렵네
-
맛밥해라 0
든든
-
지1숙제만 좀 하고 게임을 흐흐
-
나 돼지임 8
맷돼지라서 다가오면 돌진함
-
본인 성별맞추기 ㄱ 12
너무 쉽다
-
물1화1 최상위권들이 너무 많이 넘어감 근데 69평까진 할만해서 계속 하다가 수능날 대가리 깨질듯
-
작년에 수능 시험삼아 쳐본다고 두세달 공부해서 수학 3등급 나왔습니다. 문제는 그...
-
어차피 쟤네 6모본이후에 상당수가 다시 화1으로 넘어옴 ㅋㅋㅋㅋㅋㅋ
-
아니 ㅅㅂ줄보소 5
야이ㅋㅋㅋㅋ 주변 맛있는 식당 추천받아오...
-
ㄷㄷ
-
지난2년간 통통 27~30은 싹다 기본 수준이였음 통계 개념조차 제대로안된 허수가...
-
오전여캐투척 3
음역시귀엽군
-
오호~~
-
최근 수능 국어 5 수학 4 영어3 사문5 동사2 (참고로 이 점수는 진짜 한 달에...
-
억까를 거르고 결국 내가 잘할수밖에 ㅠㅠ
-
얘 20분박고 겨우겨우 풀었었음 그런데 미적했으면 20분 박을 시간이 났을까? 전...
-
공부할 때는 언제나 교과 개념이 제일제일 우선입니다!! 11
고난도 N제, 실모에 매몰되어 기초 개념을 잊지 않도록 합시다 예를들어 끔찍한...
-
재수 때 삼룡의 확정 단, 평생 가는 우울증 있음. 중증까진 아님
-
24수능 통100 25시즌 미적 모평, 학평, 덮, 투스 전부 1 수능 '2' 물론...
-
잠봉뵈르 반박 ㄴㄴ
-
이게 개잡대다
-
넵
-
8수나 7수여도
-
타 과목과 달리 사설을 분석하는 경우 수능가서 좆될 수 있는 과목임 특히 지문과...
-
일단 오르비 샤라웃할듯
-
게 사진 보고 안심함 댓글에 캬 달음 작성자 "내가 사람들의 감정을 조종했다. 나는...
-
죽고싶다 16
일어나자마자 그냥 살기가 너무싫다
-
미적억까 이러지말고 16
기하로 와라 개념량 확통급에 난이도는 국밥급 그런데 만표는 작수기준 미적과 1점차? 웨않헤?
-
본인 확통하다 런해서 미적온거임 ㅋㅋㅋㅋ
-
생2 앞부분까지 했는데 지1에 비하면 얼마나 될까요? 지1은 꾸역꾸역 하긴 했는데 ㅠ
-
6모에서 목표였던 성적을 받는 데에는 실패했지만 그 뒤로 문학/수학 공부에...
-
왜 일찍 잤지
-
그래도 확통100이 미적100보단 어렵다고 생각하는게 11
그런 게는 제가 죽였으니 안심하고 오르비 ㄱㄱ
-
이렇게 푼 사람들 많았음? 라이프니치미분 풀이만 생각했는데...
-
본인 작수 기하 현장에서 29번까지 10분 초반 30번은 좀 난이도있어서 10분정도 씀
-
전체 1틀이 몇 명 있었는데 젤 임팩트 있던 두 명만 뽑아오면 수능때 냥대 일반과...
-
거의 다구해놓고 답이 이상한게 나오길래 패스했는데.. 그거 맞았으면 백분위 95..ㅠㅠ
-
이번 미적 찍맞 레전드라며
-
아 분명 나도 미적 92인데 확96이랑 차이가 없다? 하아아아아아아….. 원서철때...
-
뭐가 더 빠를까요
-
"중국, 한국 반도체 기술 수준 다 추월"…2년 만에 뒤집혀 2
▲ 중국 반도체 한국의 반도체 기술 수준이 중국에 대부분 추월당했다는 전문가들의...
-
개잡대 추가모집에 합격했음. 등록할거냐고 전화가 오는데 등록하겠다 했어도,...
셋째 문단 : 홀론의 전체성 - 독립/ 홀론의 부분성 - 예속과 복종
넷째 문단 : 일관성과 통일성 유지하면서도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
위와 같이 요약한 후 넷째 문단에서의 일관성과 통일성 유지하면서 동시에 환경 변화에 대처하는 것을 가지고 '통합'으로 생각하는 것 같은데 맞나요? 일단 '법칙과 전략에 따른 일관성 및 통일성 유지'와 '통합'은 같은 것이 아닙니다. 일관성과 통일성의 '유지'라는 것은 현 상태(통합)의 연속인데 반해 통합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것을 하나로 묶는 것이니까요.(현 상태는 분열) 그리고 통일성이라는 것은 여러개의 대상이 하나의 맥락으로 엮이는 것을 말합니다. 다원성에 대해 열려있는 말이라고 볼 수 있는데 발해 통합은 다원성에 상대적으로 닫혀있지요. 단어의 의미에 대해 깊게 사고하는 과정도 수능 국어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킬러 문제로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수능 기출은 완벽한 문제(복수정답이 인정된 미노타우르스 문제가 있었으나 그것 또한 원래의 답이 맞는 답이라고 보입니다. 복수정답을 고른 수험생들의 사고를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를 출제했던 수능 기출의 유일한 오점이라고 해야할까요.)임을 잊지 마시고 혼자서 왜 답인지/답이 아닌지 고민해보는 훈련을 지속하시길 바랍니다. 94년도 수능을 푸는 것은 매우 칭찬할만한 일인 것 같습니다.
아니요 저는 굳이 말하자면 문제를 다시 볼 때 오해했던 생각은 통일과 통합을 거의 동일시한 것입니다. 부분성 - 예속 복종 - 법칙에 의해 제약받음 - 일관성, 통일성 유지 // 전체성 - 자율 독립 - 선택적 전략 구사 -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 이렇게 봤던 거죠 근데 제가 댓글이 하도 안달려서 다시 또 읽어서 결론을 내렸던 게 ㄱ부터 ㅁ까지를 보면 홀론이 복종하고 예속하지만 통합'하는'것이 부분성의 특징이 아니니까 단어의 의미에서 '주체성'을 따졌을 때 안 맞아서 틀렸다 라는 것인데 이 논리는 괜찮은가요?
그리고 말씀하신 단어 의미 공부 저도 동의하는데요 다원성의 기준으로 봤을 때의 통일과 통합의 의미 차이 같은 것들은 사실 학습자의 입장에서 사전을 찾아본다 하더라도 발견하기 어려운 내용인데 단어의 깊은 의미나 다른 단어와의 의미 차이를 어떻게 공부할 수 있을까요?
상위 홀론이 하위 홀론들을 통합하는 거니까.. 통합은 상위 홀론이 갖는 자율적 경향과 연결되는 거 아닐까요?
국어의 신님 댓글에 단 제 댓글처럼 통합을 '하는' 주체'를 따지고 들어가야 되는 문제인거죠? 통일성을 갖는다는 건 하위 홀론들의 얘기가 맞지만 그냥 통합이라고 하면 그건 하는 쪽이 어디냐를 따졌을 때 상위가 하는 거니까 홀론의 부분성의 특징 그러니까 하위로서의 특징은 아니다 이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