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리아 시크릿 [1033492] · MS 2021 · 쪽지

2022-01-16 14:05:48
조회수 117

Dalton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3087399

원자질량단위 amu를 Da(Dalton)로 표기하는 곳이 있더라.

탄소가 대충 12 Da로, 화학1인가 배웠으면 알 듯.


근데 이거 쓰면서 찾아보니까 Da가 SI 표기법이네? 아 ㅋㅋ


하여튼 몇 년 전에 실험 레포트 쓰려고 자료 열심히 찾던 중에..


달톤? 달튼? 이거 뭐 어떻게 읽는 거여..


알고보니 근대적 원자론의 창시자 존 돌턴(Jhon Dalton)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었다.


문학 작품들을 보면 '그녀가 달뜬 소리로 외쳤다'처럼, '달뜬'이란 어휘가 종종 사용되곤 하는데 그럴 때마다 이 일화가 생각이 남.


이것 말고도 외국어 발음에 대한 혼란을 좀 더 적어보자면,


C 배울 때, 큐(queue)를 보고 쿠에웨?라고 읽었다거나,


제베크 효과(Seebeck effect)를 보고 시벡 효과로 읽었가거나.. 등등이 떠오른다.


다행히도 진화인류학을 배울 때는 그런 일이 없었다.


교수님이 '크래니엄'이라고 말하시면 그냥 그대로 'Cranium'으로 옮겨 적으면 스펠링이 맞았거든 ㅋㅋ

rare-수정됨 rare-무지개 rare-MATLAB rare-진주환수학연구소 rare-레무링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