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러(교과)보다 정시러가 더 우수한 인재인가? (feat.학점을 중심으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848539
안녕하세요 오르비 여러분들!
'한국 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의 위기' 라는 주제로 과제를 하고 있다가 자료를 조사하던 중에
중등교육하면 저에게 많은 추억이 있는 오르비가 생각나 오랜만에 접속해보았습니다.
10년전이나 지금이나 오르비는 비슷하거나 같은 주제로 항상 담론이 진행되는 것 같은데요.
그 중에서 현재 추천글에 도배가 되어 있는 수시vs정시의 논쟁이 화두인 것 같으므로 이 주제는 교육학을 공부하면서 흥미로운 주제이기에 관련 논문을 찾아보았습니다.
우선 우수한 인재를 평가함에 있어서 다양한 기준이 있겠지만 오르비에서 논의되고 있는 '우수함'이라는 기준은 정량적 평가, 다시 말해 학점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이 대학수학능력의 취지에 맞다고 공통될 수 있으므로 입학전형 별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논문을 찾아보았습니다!
여러 가지 논문을 찾아보았는데 자료는 다르지만 그 내용은 대동소이한 경우가 많았으나 다만 그 결과가 상이하게 대립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자료들 중에서 충분한 표본과 조사기간이라고 생각되는 연구자료의 대표라고 생각되는 논문인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421718
남궁경현, 이승아; 정다운, 「대학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K대학 2009∼2014학년도 입학생을 중심으로」, 입학전형연구,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5
을 살펴보면 학생부 교과전형의 입학자가 수능전형으로 들어온 학생보다 조금 더 GPA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사에 등록된 표본이 오래된 자료가 아닌가 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아 KCI에 등재된 최근 논문을 보면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8537033
최정희, 이솔비, 「입학전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 종단연구 :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마찬가지로 유의미한 차이라고는 볼 수 없으나 수시 교과전형의 평균 학점이 정시 수능전형의 평균 학점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혹여 위의 논문에서 사용된 표본의 대학이 오르비에서는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서울대의 경우를 살펴보았는데요. 논문은 20년 가까이 된 자료거나 마땅한 자료가 없어서 국회의원이 서울대에 요청한 자료를 토대로 한 뉴스기사를 참고해보았습니다.
"서울대 졸업생 학점,입학 전형별 분석… 인문대 지역균형,공대 수시특기자 ‘선전’", <국민일보>, 2009.04.07,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356641
"서울대生 입시 전형별 학점 들여다보니", <헤럴드경제>, 2015.09.13,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4&oid=016&aid=0000848894
"[단독]학종 입학생, 수능전형 출신보다 학점 높다", <동아일보>, 2018.05.10,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3145620
마지막 기사의 정시표본이 부족한 것 같아 아쉽지만 위의 두 기사와 결이 비슷하므로 지역균형(내신)의 입학자는 대학수학능력이 떨어질 것이다 라는 일반적 통념과는 상반된 결과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끝으로 이번 자료조사를 하면서 가장 흥미로웠던 논문인 교수님들이 인식하는 입학전형별 대학생활을 분석한 자료가 있는데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25529
이현우, 김효선, 「교수들이 인식하는 대입전형별 입학생의 학업,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의 차이에 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취업진로학회, 2018
오르비에서 흔히 말하는 수시와 정시의 차이인
수시: 와.. 내가 이 대학을 오다니
정시: 와.. 내가 이 대학을 오다니
와 같은 내용이나 혹은 대학이 수시를 좋아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어림짐작 할 수 있는 논문인 것 같고 내용도 FGI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보니 가볍게 읽을 수 있어 한번씩 읽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3줄 요약
1. 수시 교과러가 정시러들의 생각보다 대학수학능력이 떨어지지 않는다.
2. 통계적으로 수시로 입학한 학생이 정시로 입학한 학생보다 대학만족도나 전공적합성 등이 높다.
3. 입시생들은 수시든 정시든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으로 하루빨리 대학에 입학하여 수능판을 떠나 자신의 인생을 개척하는 것이 인생을 낭비하지 않는 것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노래 추천 0
109-니가 보고싶을 때
-
제가 입시판을 그리 깊이있게는 몰라서 궁금하네용
-
저 지난주 수, 목에 신청했는데ㅜ
-
병원 그냥 0
돈 넉넉할때 서울로 가야지 결국 기차 예매 못함 부모님 한테 말하기는 좀 그렇구
-
내일은 0
오랜만에 일찍 일어나서 국어 봐야겠습니다 원래 현역 때처럼 투자 제일 후순위로 하려...
-
수능/평가원 기출, 릿밋딧 뿐인가
-
ㄷㄷㄷ
-
일단 저는 재수실패한 05년생입니다 3월 통신병 입대 vs 1학기하고 6월 운전병...
-
리밋딧 안 봐도 되나
-
당할까요? 실제로 쓰는 사람들 있나요
-
ㅈㄱㄴ
-
너 T 0
팬티
-
내가그걸왜봐야하지?
-
김준 은퇴시키자 그것 말고는 답이 없다
-
가기가 존나 싫어서 눈물이 나왔었음
-
옛친구가 여기갔는데,,, 공부 안하던 애였는데 지방의 라인아님 이거??
-
원래 최애과목인디 작수 보고 정내미 떨어짐
-
15리트에 22헤겔 변증법이랑 예술의 종언파트 그대로 나와있거 정답률 30-40퍼...
-
다시한번나의저능을 느끼게 될거 같다
-
30분동안하는게 좆같음
-
삼반 vs 쌩삼 1
현역 수능 14231 재수 6모 13321 재수 9모 14111 재수 수능...
-
강대기숙 어떰? 3
전장 받고 갈 거 같은데
-
어디가 비교적 대기업 취업잘될까요??
-
맞팔 왜하는거임 7
왜 맞으면서까지 팔로우를 함? 마조임?
-
작년 이시기에 한양대였나 전화 기다리는 사람있었는데 5
글 엄청 많이 쓰셨는데 아쉽게 떨어져서 닉 바꾸고 사라졌던가 되게 임팩트있었음
-
아이디어 시기 0
시발점 끝나고 복습용으로 하면 좋을까요?
-
내가좇같은이유 19
내 스스로도 좇같고 세상도 좇같고
-
맞팔 구해봅니다 1
잡담태그 잘답니다 은테가 찍고싶어요 ㅠㅜ
-
닥 후일까요? 산공은 추합 ku자전은 내일 붙을거같은데 고민이네요..
-
김승리 올오카 지금 4주차 나가고 있습니다 매월승리랑 엮어읽기 다른건 다 괜찮은데...
-
계정사야하나요.... 수강신청 강의평 봐야하는데 ㅜㅜㅜㅜㅜ
-
다들 성공해라…
-
로블록스할사람 1
로블록스할사람?로블록스 로블록스할사람
-
저는 매우 감동했습니다!!!ㅠㅠㅠ
-
아무튼 그럼.
-
또 기숙사라니 10
준비물이 많구먼 근데 준비물 자전거 뭐냐 ㅈ되었네 자전거 못타는 여르비인데 자전거...
-
대학을 거니까 오히려 더 초라한 사람이 된거 같은데
-
지금부터 하루 순공 12시간씩 하면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14
작년 수능 점수입니다 이런 질문이 의미 크게 없고 사람마다 재능도 다른것도 알지만...
-
이짓을 260일하면 잘보지 않을까? 흐흐 작년에 9월전까지 학교에서 잠 폰 딴짓밖에...
-
아무나 맞팔 고
-
솔직히 수학과탐 좀 부족한거같은데 독헤ㅜ인강이랑 월간조정식 푸는중인데 이게 저는...
-
오르비식 6등급 5
인생은 9등급
-
1 쓰다가 고장나서 2 쿠팡애서 주문해서 왔는대 껴보니까 음질 낯설고 뭔가 어지럽고...
-
현역 어딜가든 반수할 생각 있음 학과자체는 동북아가 더 끌리는데 인천대는 1,2학기...
-
(똥테를 향한 의지) 세분만 더……저랑 친구해줘여 네? 제가 진짜 잘해드림뇨 잡담...
-
하... 10
미적분 진단평가 52% 떴다 공부 안하긴 했는데 그건 딴 애들도 마찬가지일 텐데 죽고 싶다
-
내닉넴 유래 아는사람? 13
없을듯 ㅋ
-
고백합니다 1
오늘 9시 반부터 10시까지 머리아파서 공부 안함...
-
10년 가까이 묵혀두고 있음 보니깐 RC용으로 건전지 넣어서 모터 작동 할 수 있던데 얼마일까?
막줄추
빨리..떠야하는데..ㅜ
잊으려해도 불현듯이 떠올라 미련을 가지게 만드는게 입시판이죠,, 그게 수능중독이고,, 미련을 버리는 것이 참 어려운 것이지만 하루빨리 대학에 들어가 새로운 인생을 개척하는 것이 인생을 낭비하지 않는 것이라 생각해요. 100세 인생이라 n년 정도는 투자할만한 것이라고 하지만, 물론 그 말이 맞지만 20대의 1년은 80대의 1년과 다르고 20대는 다시는 돌아오지 않기에 저는 아쉽더라도 입시판을 뜨는 용기가 굉장히 중요하다 생각해요.
성실함이 무기인듯
좋은 글이네요. 정시: 와.. 내가 이 대학을 오다니 로 비롯된 반수로 인해서 정시로 들어온 사람들의 학점 평균이 낮게 잡히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드네요. 흔히 적폐라고 부르는 경우는 실력이 모자른 사람이 들어가게 되는 경우를 말하는 거 같은데 각 전형 별 학점 분포를 보고 낮은 학점을 받은 사람이 얼마나 있는지 보는 것이 적폐인가를 판단하는데 더 좋은 기준이라는 생각도 드네요
그러한 기조가 마지막 논문에서도 나오듯 교수님들도 정시입학자들의 반수 의지나 적성이 아닌 점수에 맞춰서 온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는 수시생보다는 부족한 것 같다고 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시생들이 시험과 관련한 성적면에서는 수시생보다 더 나은 경우가 있다고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표본이 신입생만 기준으로 하면 반수생들이 있어 정시러들의 평균점수가 낮게 측정될 확률이 높으므로 장기간의 기간으로 측정한 자료나 졸업학점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해 그러한 표본조사가 성립된 논문을 중심으로 파악해보았습니다!
정시 3장에 거기에 군까지 만들어서 선택의 자유 폭을 확 줄이니..
대학학점이 걍 내신대비의 연장선임 이공계조차 이해보단 무지성암기가 효율적이라
근데 사실상 이공계 분야에서도 서울대나 과기원 아니면 학점 따는게 어렵지는 않다 보니.. 그냥 노력을 더 한걸로 보는게 맞을지도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