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반복 메타-여성징병에 대한 개인적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578150
괜히쫄리는글.pdf
내가 생각하는 이 논쟁의 문제는 이거임.
얻는 가치들만 가져와서, 여성징병 해라! 라고 주장하는 것,
잃는 가치들만 가져와서, 여성징병 하지마라! 라고 주장하는 것,
결국은 여성 징병을 통해 잃거나 얻을 가치들을 모으지 않으면 의미없다고 봄.
그 다음에 얘네의 크기를 생각해서, 얻는 가치면 그 크기만큼 더하고, 잃는 가치면 그 크기만큼 빼고
이런 원리로 제도가 타당한지에 대한 결론을 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싶음
좋아요까진 안바라고, 저장해서 심심할때 읽어주세여..
이메타 뜰때마다 얻어맞는 편이라..ㅋㅋㅋ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3 3등급 14
고3 수학 모의고사 3등급 중반정도 되는데 학원에서 일주일 숙제로 모의고사 5회...
-
나도입고싶어
-
고2정시 2
원래 쌤들이 정시하지 말하고 다니고 다른 공부 하면 뭐라고 했었는데 이번 3모를...
-
잇올 등과 비교했을때 어떤가요? ㅠ
-
작수랑 비슷한 느낌이었어요(작수랑 점수는 많이 다르지만...ㅜㅜㅜㅜ)
-
(반모음)ㅣ + ㅡ 빠르게 발음해보세요 이으 이으 이으 머릿속에 계속 맴도는데...
-
파랑머리하고 남주 남사친 둘은 죽빵 마렵긴 한데 검정머리는 취향임.◕‿◕
-
바로 보러가야지
-
학번 세탁 측면에선 의미가 있으려나 트리플링까지 가면 뭐 노답인거고..
-
한의대 오지마셈 2
ㅇㅇㅇ
-
『웨요?』 9
모든것에 『웨요?』를 물으세요 웨냐하면,진리를 탐구할수 있으니까요!! 웨냐하면...
-
학생 한명이 질문 3개 만족도 연속4개 줌 3개도 받은적 있는데 아니 이해가 안되면...
-
시험보고 휴식
-
계열은 전전/반도체쪽 생각하고 잇습니다 학교는 학년당 200명 안쪽 일반고인데...
-
시대인재 서바이벌 6모 대비 1회 수학 22 29 30 틀려서 88점인데 몇등급이고...
-
내신하느라 6모전에 못끝낼것같은데 대부분 다 끝냈으려나 하ㅠㅠ
-
기시감 작년이랑 비슷하면 그냥 작년거 쓸려고 하는데 어떰ㅍ
-
5덮 국어 0
화작 81 인데 보정 2 가능할까요? ㅠㅠ
-
내신 2점대로 한양대 합격한 생기부 작성 실전 매뉴얼 0
생기부 작성을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한 생기부 작성 실전 매뉴얼입니다.저도 고등학교때...
-
"웨요?"라고 웨묻는지를 웨묻는지를 웨묻는지를 웨묻는지 궁금하네요?
-
더프 처음 쳐봤는데 국어 58점 나왔어요.. 독서론이랑 화작은 틀리지 말자! 이러고...
-
하루에 치킨 한마리씩이면 많이 빠지나?
-
김준 화1 커리 0
문제 많이 풀고 싶은데 김준 크포를 살까요 코넘2를 살까요 크포를 그래도 빠르게...
-
숭입 오르비꺼라 5
조용히하고 집까지 tp마려움 방법좀 ㄱㄱ
-
그래서 항상 구라 침. 있지도 않은 부산 친구를 만듦ㅋㅋㅋㅋㅋ
-
2는 안 나올까요 공통 2틀 +- 라고 할 때 2는 꼭 받고싶은데 어찌할지...
-
질받 ㄱㄱ 4
질문받습니다
-
너네도 공부싫자나
-
5덮은 액땜한셈치고 6평때 한번만..
-
어디가 더 까다로울까요..
-
지코형님 감사함댱~~
-
언미영생지 97 92 97 46 39 잇올 빌보드 가능할까여? 지구 개쳐망했긴했는데..ㅠㅠㅠㅠ
-
20번 남기고 3분남았는데 결국 못풀긴 함 막 와 존나씨발같다 이정도는 아니고 그냥...
-
170여일 만에 가능할란지 몰르겠네요? 르비언 슨상님들은 어케 생각하는지요?
-
웨 1+1이 2예요?? 26
웨??
-
난 강원랜드로간다
-
미작,확통 표점 0
작수기준 미적 몇개랑 확통 표점이 동일한가요?
-
화작 87점인데 보정 1 가능할까요??
-
신비로운 그대의 힘으로 다시 결합시키는도다. 그리고 모든 인간은 형제가 되노라,...
-
연애를 하게되면 여자를 한명만 만나야함 난 매일매일 새로운 여자만나는 것을 즐기고...
-
이거 너무 지엽적인 단어가 너무 많은거 같은데 이거 할필요가 있나요??...
-
언매 83 확통 73이면 어느정도로 나올까요?
-
작년 외국인 근로자 약 23만 명이 국내 건설 현장에서 근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
내가 아무리 애써도 미래가 안 보인다 어떻게 흘러갈지 알 수도 없다
-
항의 홀짱성을 이용해줍니다 a4+a6=홀수 a4 홀수 a6짝수 불가능 a4 짝수...
-
이런저룬 이유때매 독재학원 끊고 토즈독서실 갈거같은데 열심히 똑같이 하면 성공할수...
-
는 더프로 인해 쉬어갑니다... 결과는 쏘쏘인듯 하네요 오노추 우리 만난다면 - 스무살
-
손흥민 선수가 공갈 협박 사건과 관련해 경찰에 진술서를 제출한 것으로...
-
생윤사문은 뭐 2
수특수완기출만 봐도 ㄱㅊ?
-
올려볼까
또 얻어맞으시겠네요

살살좀..근데 뭐 여성 징병을 반대한것도 아닌데 뭘 자꾸 떄리는지..참
여성징병보단 국방세 4000만원정도 걷고 군인 월급 올리는게 낫지
적어도 그럼 병역의 의무를 지지 않는 만큼 세금을 빡세게 걷어서 국방의 의무를 시키는 게 맞음
이것도 언급해둠
그 누구도 얻는 가치만 생각하진 않음
다 각자 사고의 틀 내에서 잃는 가치보다 얻는 가치가 더 크기 때문에 어떠한 주장을 하는 거고, 그런 주장을 하는 사람이 한쪽으로만 편향되게 생각한다는 게 님 주장인데 글쎄요?
당연히 저 전제(가치평가)는 개인의 모든 사고에서(무의식중에도) 이루어집니다만
사회적 제도의 선택에 있어선 그것을 수면 위로 올려야 비교가 가능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여성 징병을 강하게 주장하는 사람중에 그 비용이 어느정돈지 아는 사람은 거의 본 적이 없습니다.
아는데 말 안했든, 몰랐든 양쪽 다 문제가 있는 것이죠
저 전제에 대해 얘기하자면 길긴 한데,
중요한건 저 전제를 제시한 근거는 실제로 우리가 그러한 사고를 지향한다는 것이고,
그것을 지향하기 때문에 그것이 사회적 차원에서(즉 개인의 생각이 사회에서의 논쟁 과정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질땐 각 가치들을 직접 언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죠
이게 우리가 옳은 결론뿐만이 아니라 옳은 논증을 추구하는 이유 중 하나일거구요
개개인이 암묵적 근거로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결과가 옳을지의 여부는 동전던지기에 맡겨지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학계에서 어떻게 논쟁이 이루어집니까? 올바르게 논증하려 하고, 이걸 논문으로 내고, 이 논증을 다시 반박하죠
그런데 막상 전 국민의 삶을 좌지우지하는 제도에선 개개인이 알아서 판단한다?
정말 이상한 생각입니다. 특히나 오르비처럼 '이성적인 것'을 좋아하는 커뮤니티라면 더더욱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잘 읽었읍니다
다양한 주장이 나오는 건 좋은 현상인데,
님은 해야될 대책에 대해서 논하는 거고
나는 남자로 태어난 죄로,
[최저임금X+인생2년미룸+강제노역+신성한의무_가스라이팅+한 쪽 성별만 희생+감금]
이게 ㅈㄴ ㅈ같을 뿐임. 18
월급 아무리 많이 줘도 저 6가지 중에 1가지만
해결 될 뿐, 그냥 나는 해결책이고 뭐고
이 ㅈ같은 나라를 혐오하려고 함.
와세다도 붙었겠다.
말도안되는 어불성설 모든걸 비효율적인을 감수하면서도 평등으로 맞추는데 이것만 비용 운운하는게 얼마나 어린 생각과 편협한 마인드를 가진지 알거 같습니다
그 어떤 제도에 있어서도 비용 고려 안하는 경우는 하나도 없습니다
평등과 여성징병간의 간극도 설명해놨구요
그렇다고 비용이 있으니 평등을 포기하라!고 글을 쓴 것도 아닙니다
모든걸 고려하라, 이 태도가 어떻게 편협한 것으로 간주될까요? 전 모르겠네요
지금 정부에서 하는게 정말로 비용을 고려 하는게 맞습니까? 당장 기재부에서 거부된 건만 해도 한 두가지가 아닌데
제 말은 현시대에 무조건적으로 비효율적인걸 감수하더라도 여성우대나 평등적인 정책이 많은데
왜 여성징병제에서만 비용을 운운하는지가 궁금하다는 겁니다 글쓴분빼고 이런 류의 글을 올리시는 여러 사람들에 대해서도 똑같은 의견이구요
그 이유는 명확히 언급해놓았습니다
평등은 이익에 관한 논의이고
비용은 국가 이익과 직결되는 문제니 그것은 다시 개인 이익의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특히나 여성 징병의 특성상 그 비용은 막대한 축에 속하므로 비용은 더 치명적 문제가 됩니다.
또한 비효율성을 감수한 여성 우대 정책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타 모든 제도를 비효율적으로 선택할 어떠한 근거도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앞서 말했듯 비용을 고려 안하고 제도를 선택하는 경우는 없구요
그러한 정책이 나오는 이유는 비용 대비 비효율적 선택지를 일부러 골라서가 아니라, 어느 것이 비효율적인지에 대한 판단이 우리와 다른 것이라고 봐야겠죠
기재부에서 거부되었다는건 정부판단이라기보단 그 정책이 정말로 비용을 고려를 안했다는 정책이란 뜻입니다
평등과 그에 대한 소모비용에 대한 관점이 정말 다른거 같아 이만 글 줄입니다 수고하세요
넵 의견 감사합니다.
저로썬 제가 쓴 글을 읽고 생각하는 바를 알려주신것만으로도 감사하구요, 언급하신 부분에 대해서도 시간 날때마다 고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저 또한 정부가 정말 효율적 선택지를 선택하고 있느냐?의 문제는 의미심장하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이 앞으로도 쭉 비효율적일 이유가 되지도, 다른 영역에서 똑같이 비효율적일 이유가 되지도 않는다는 것이 제 의견입니다
지금 월 200준다는것도 `일부`여자들 개거품물고 달려드는데 언제까지 비효율적이다 운운할건지도 참 궁금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