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컴퓨터학과에 관한 소소한 정보 + 다니면서 느낀 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546030
제가 예전에 입시할 때 여기서 많은 정보를 얻었습니다. 후배님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싶은 마음과 더 멋진 후배님들이 많이 오길 바라는 마음..ㅎㅎ 에 몇 자 적어봅니다. 물론 이 내용들은 대부분 뇌피셜과 제 주위를 봤을 때 느낀 점이니 그냥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주시면 좋겠습니다.
1. 데이터과학과와 컴퓨터학과
데이터과학과는 컴퓨터에 통계가 결합된 과로 컴퓨터과학이라는 분야 중에서도 특정 분야에 집중하는 느낌입니다. 컴퓨터과학은 그 범위와 활용 분야가 넓다보니 학부때 다양한 과목을 들어보며 적성 분야를 찾는게 중요한데, 이 부분에 있어서는 컴과가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처음부터 데이터과학을 하고 싶다면 데과도 좋은 선택일거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일반적인 정보대 내 인식으로 데과는 컴과 2중대 느낌입니다. 점점 데과도 후배가 쌓이다보면 어떻게 달라질지는 모르겠네요.
2. 선배
좋은 대학을 가려고 하는 목적 중에는 분명 학벌이 사회에 나갔을 때 도움이 될 거라는 사실도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뛰어난 선배들이 업계에 많이 포진되어 있을수록 도움이 많이될 확률이 높겠죠. 고려대는 ‘컴퓨터 분야’ 정원이 학년당 230명 정도로 서울대 카이스트는 제외하고 포컴, (일반적으로 비슷한 수준의 ‘대학’이라고 여겨지는)연컴과 비교해 봤을 때 포컴의 30명 연컴의 80명대(신설 ai학과? 포함) 보다 몇배는 많아 관련 업계 선배들이 훨씬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워낙 서로 끌어주며 잘 도와주는 고대 문화가 결합되어 사회에서 이런 저런 이점을 누리기 좋을 거 같습니다. 사실 별 상관없지만 덧붙이자면, 얼마전에 특강으로 카카오 대표이사가 와서 강연을 해주셨는데, 이 분도 고대 출신으로 그런지 더 많은 질문에 답해주시고 가셨습니다.
(단적으로 선배만 봤을 때의 주관적 비교입니다. 포컴 연컴도 고대에 없는 장점이 많은 훌륭한 학교들입니다)
3. 교수진/ 인프라
솔직히 연구에 관해서 아직 잘은 몰라 이렇다 할 순 없지만, 실적 좋은 교수님들이 많다고들 하더라고요. 학부수준에선 제가 관심있는 분야에 대해서 자교 교수님들께 만족하며 다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이버국방학과의 영향으로 고컴도 보안만 강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컴과 교수님들은 머신러닝, AI, NLP, PL, 시스템, 이론 등 보안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서 실적을 내시고 있습니다. 스마트보안학과와 사국이 있어 컴과 학생들과 교수님들은 보통 보안보다는 최근 핫한 인공지능에 제일 집중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정보대는 우정정보관이라고 공대랑 분리된 건물을 따로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애기능 생활관과 과학도서관에도 연구실과 강의실이 있습니다. 다른 공대 소속 학과들과 달리 개별 건물이 있어 편하고 과 동기들과 만날 기회가 많습니다. 정보대 주관 여러 융합전공들 (뇌인지전공, 인공지능전공, 보안 전공, 소프트웨어창업전공)이 있어 학문의 확장성이 좋습니다.
3. 코딩 분야
연구실적이니 뭐니 해도 대부분은 개발자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있을 겁니다. 알고리즘 대회같은 코딩 분야에서는 설 카 고 셋이 거의 독점하는 상황입니다. 사실 정확히 말하자면 설대 50 카이스트30 고려대 15 나머지 다른 대학.. 이런 느낌입니다. 세 학교 내에서 고대가 설 카를 열심히 따라가려고 하는 상황이고 이 셋을 제외한 나머지 학교는 잘.. 보이지 않습니다. ICPC 같은 알고리즘 대회 수상 내역을 보시면 이해가 빠를겁니다. qs나 usnews 같은 세계대학평가에서 꾸준히 설카고의 순위를 유지하고 있긴 하지만, 세계 대학 평가에 대한 신뢰도는 많이 떨어지니좀 더 이 분야에 적합하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국내 알고리즘 사이트인 백준 기반의 solved.ac 순위가 더 ‘참고’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개발자’로 일하길 희망하는 분들은 이 순위를 참고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고 봅니다. 이 순위가 학교 수준을 온전히 반영한다고하긴 어렵지만, 그 학교에서 ‘코딩’에 얼마나 관심이 많고 뛰어난 사람이 많은지 판단하기엔 그나마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코딩에 뛰어난 학우들이 많아 힘들긴 하지만, 많이 배울 수 있는 점들이 많습니다. 사국 알고리즘 동아리와 교류하는 컴과 알고리즘 동아리를 포함해 여러 동아리들도 잘 되어있어 제대로 공부할 기회가 많습니다.
4. 입시
컴퓨터 분야가 요즘 엄청난 인기를 누리다보니 원서영역에서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도 정시로 들어와서 그 고민을 알죠.. 근데 작년까지만 해도 정시로 15명 안쪽으로만 뽑던 고컴이 올해엔 60명 넘게 뽑는다고 하더라고요. 저는 누백 1퍼 정도였음에도 당시에 워낙 인원이 적어 폭이 나기 너무 쉬워 쫄던 기억이 있네요..ㅋㅋㅋ 지금 후배님들에게는 쫄지말고 그냥 질러보라고 하고 싶습니다. 입시에 관해서 잘은 모르지만 이정도로 많이 뽑으면 크게 폭이 나긴 힘들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원서 영역은 야수의 심장을 가진 사람이 결국 웃더라고요. 소신 있게 쓰는게 후회가 없을거 같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9모전에 풀게
-
-13점.........
-
아는 사람이 2
지금 특전사여서 아랍 쪽 파병 나가 있는데 사람 되게 많이 죽는다 함 군대 편해졌다...
-
사고싶은디
-
틀자마자 배댓이 이병헌 최고다!!! 길래 삼성 이긴줄 알았더만 두산 이병헌이였음 ㅋㅋㅋㅋㅋㅋㅋ
-
어려운 문제들 5분 필수로 넘어가는데 ㅅㅂ하
-
여자애가 9
군대 편해졌다고 말하는 게 왤케 꼴받지 옛날에 비해서 편해진 건 맞는데 안 가는...
-
? 수능 칠 때 12
눈금 없는 자 가져가도 됨?
-
걍 수학은 3등급 맞고 16
다른걸 올릴까 수학 진짜 내 머리랑 안맞는거 같은데 요즘 수학만 하는데 오르는...
-
그냥 내가 살면서 했던 모든 일들이 잘못으로 느껴짐. 지금와서 그런 생각 해봐야...
-
8덮 미적 84 0
선택 2틀이면 표점 백분위 어케됨?
-
다른 행동들은 빠릿빠릿한데 데이터만 느리네 카톡 사진보내기 뭐 이런거
-
둘 중 하나라도 맞히는 순간 쉬운 문제를 다 틀려버리는데 그넝 4점 주고 챙길...
-
생1 킬러 vs 확통 30 개인적으로 생1 킬러는 확통 32번쯤 난이도로 생각함요 예시 첨부
-
다시 얼버기 0
후 잘잤다
-
이상하게보려나… 탐구풀때 배에서 개큰 천둥소리나요
-
근데 왜 7
여대는 있는데 남대는 없음 어릴때 한남대가 남대인줄 알았는데
-
17학년도 이전 기출도 하시나요?/
-
ㅇㅂㄱ 0
오늘은 일찍일어남...
-
수능에서 12
확통 14 15 21 22 30 틀리면 대충 몇등급 나옴? 3 나오나??
-
서울교대 에타빌런 썰 14
학교가 서초동 한복판에 있고 등록금이랑 기숙사비가 싸서 학교 안 나오고 학고...
-
다들 디엠이랑 8
카톡중에서 뭐가 더 편함??
-
평가원 도형은 7
자로 잰 길이가 정확하다는데 진짜에요?..
-
8덮 끝나고 그 새끼 점수 보이게 시험지 다 깠던데 화작 98 미적 92 영어 1...
-
수능 76일 남은 상황에서 수학이랑 국어는 안오를 거 같은데 영어랑 탐구만 공부하는게 더 나을까요
-
총 50문제 / 120분 1점 10문제 / 2점 30문제 / 3점 10문제 문법...
-
노베 삼군수생 0
탐구 사문 화1으로 결정
-
흠..
-
내 등급 말하는것도 창피한데 수(확통)5 국 2 영 4 사문 1 경제 2 수학이...
-
서울대 성적도 한 명 보긴 함 꼬리가 너무 길어서 컷이 건동홍 정도로 보이는 것...
-
러셀바자관 2
러셀바자관 의무시수채우는거 다른지점에서 듣는걸로도 가능함? 예를 들면 대치에서...
-
지구과학 원래 이렇게 쉽나요
-
9모때 96 가자
-
걍 나 자신을 6
수학 노베라 생각하고 경건하게 공부 해야겄다..
-
4시 칼퇴 조퇴가능 방학에 쉬면서 돈받음 힘들면 영화 딸깍 틀어주기
-
3,5,6,7모 미적 모두 60점대 후반 4에 가까운 3인데 한석원 모고 2026...
-
외모 컴플렉스 극복하기 N일차
-
공부 해도해도 새롭게 배우는게 많아서 거기에 이기상쌤 개그가 제 취향이라서 세지...
-
순수하게 궁금한건데 11
1컷 72점짜리 수학 실모나 1컷 38점짜라 탐구 실모는 왜 만드는거임? 거의...
-
모양이 에반데 ㅋㅋㅋㅋㅋ 전자담배액상
-
화확영생사프 렛츠고.
-
몽롱하다 6
-
89점 받으면 백분위 100에 표점 140가까이 나오나 대학 꼭 가고싶다 가야만한다
-
평가원 #~#
-
제일 맘에 드는 개편안을 쓰신 분께 1000덕코를 드립니다
-
언매: 시나리오에서 시간 오지게 끌림 기하: 15번빼고 30분 남기면 뭐함 15번...
정정 하나만 해주자면 포컴 50~60명 정도 인원임
애초에 정원이라는 게 없는 학교긴 하다만
검색해도 안나오길래 나무위키 정보로 적었네요..ㅎ 감사합니다.
포스텍이 없는게 신기하네요
자전으로 컴공 들어가는건 단점이 큰가요?
단점이 크다고 할 순 없지만 명확하게 존재합니다. 자전은 공공거버넌스와리더십이라고 하는 융합전공을 필수적으로 들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컴과생에 비해 컴과 과목을 적게 듣거나 초과학점으로 들어야하겠죠. 그리고 원하는 이중전공이 있어도 들을 수가 없습니다. 과 동기 선배들의 커넥션을 만들기도 힘들거고요. 자전쓸 점수 되시는데 고민하시는거면 그냥 컴과 질러보시는걸 추천드려요.
자전은 6칸이고 컴공은 3칸이라......
컴공점수안돼서 스마트보안학부가면 후회할까요?
포스텍이 도대체 어떻게 고대랑 비슷한 수준의 "대학" 이라 여겨지는거임? 설카랑은 비교하기 뭐하니까 포를 끌어들인건가? 연대는 이해가 가는데
ㅋㅋㅋ 아무리 포스텍이 예전만 못하다 해도 고려대랑 묶일 급은 아니지
skp랑 연고대 차이가 연고대랑 건동홍 차이보다 더 큰 것 같은데
서카포 연고한 된건 이미 한참전 아닌가 ㅋㅋ
오해가 있었네요. (비슷한 수준의 대학이라 여겨지는 연컴) 그리고 포컴인데 문맥상 그렇게 읽히기도 하네요. 수정했습니다. 포공이 비슷한 수준의 대학이라고 한게 아닙니다. 다만 컴퓨터 분야에서 느끼기에 skp중 설카는 확실히 두드러진다고 느꼈고, 그나마 포컴은 비교 할만하다고 생각하기에 비교한 내용을 작성한 겁니다.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쪽지로 질문드려도 괜찮을까요?
넵
ㄹㅇㅋㅋ
고대 컴공!!! 근데 카이스트하고 포스텍은 진짜 ㄹㅇ ㄷㄷㄷ하기는 하네요
고려대 컴과 이중전공이나 복전은 글에서 말씀하신 메리트가 없나요???
이분 글 보고 이때 고컴을 썼어야한다...핵빵이 날줄 몰라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