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학과 가시는분들 들어오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452394
일반물리는 이공계열(생명계열 제외)에서 피할 수가 없으니 교재랑 사용법 추천해드리겠습니다.
일반물리 교재의 양대 산맥은 할리데이, 서웨이인데, 대부분의 학교서는 둘 중 하나만 써요.(당연한 얘기겠지만..)
그치만 학교에서 쓰는 일반물리책 외에도 다른 일반물리책으로도 공부하시면 도움이 많이 될겁니다. 왜냐면 각 일반물리책마다 특색이 있거든요.
서웨이는 개념 공부하기 참 좋습니다. 특히 기본개념 말고도 특정 상황에 대한 개념이나 특정 개념의 자세한 성질을 식이나 문장으로 일반화시키는 예제도 있는데, 교수님들께서는 이 특정 상황을 과제나 시험에 내시는걸 정말 좋아하십니다. 또 기본개념에 대한 설명이 잘 되어있다는것도 강추. 다만 번역본 기준으로 문제수가 적다는게 조금 아쉽습니다.
"특정 상황", "자세한 성질"이 무슨소리냐, 이것을 예를 들자면 음 수능수학에서 삼차함수 비율관계 이게 "자세한 성질"에 대응되고, 사차함수에서 극소값이 같은 그래프의 성질같은게 "특정 상황"에 대응될 수 있겠네요.
할리데이는 연습문제 풀기 참 좋습니다. 문제량이 상당히 많아서, 시험기간때 풀어보기 좋아요. 아, 물론 계산은 공학용 계산기 쓰셔야합니다. 암튼, 다양한 유형의 문제가 제시되어있으니 시험기간에 애용하기 좋아요. 다만 개념 설명이 좀 불친절합니다. 뭔가 한토막 짤라먹은 느낌..수능에서 물리2를 응시하신분은 조금은 따라갈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좀 부족한 부분이 많습니다. 그래서 개념은 서웨이 추천해요.
이 두 권만 소개하고 끝내면 아쉬우니 도움될만한 일반물리 책을 더 소개해드리겠습니다.(참, 저 두 권 모두 번역서 기준입니다. 원서는 조금 차이가 있어요. 특히 서웨이)
갠적으로는 Young의 일반물리(번역본이 있는지는 몰?루)가 괜찮던데, 역학이랑 전자기 설명 잘 되어있어요. 문제 퀄도 괜찮구.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는 입문용으로나 시험공부용으로 보기보다는 깊은 공부를 하고싶을 때 백과사전용으로 쓸 만한 정도.
마지막으로 일반물리를 들가기전에 수능 수준의 물리2를 푸실 필요는 없지만, 하이탑이나 완자로 최소한의 물리2 개념 공부를 하고 가시면 일반물리 공부 장벽이 조금은 낮아질거라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이공계 학과 1학년들에게 일반물리는 피할 수 없이니 일반물리 책 사용 설명서 함 적어봤어요ㅎㅎ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수생인데 현역때 2등급-> 백분위 99 -> 수능 3등급으로 롤러코스터 탔는데...

무조건 올라가~.~
얍얍아 근데 글 다시 읽는데 파인만씨..넘 멋진거같아요ㅠㅅㅠ 그냥 개인적인 생각임 ㅠㅠ
파인만같은 삶을 살고싶어요 저도ㅠㅠ
진짜 ㅠㅠ 저분 살아계실때 유튜브영상도 다 봤는데..넘 멋있었음..ㅠㅠ
ㅠㅠㅠ저 열정이면 못할게 없구나 싶은

일반화학도 해주세요전 일반화학은 브라운이랑 옥스토비밖에 몰라요,,

그거라도 좋아요줌달!

저희학교가 줌달을 안써가지구ㅜㅜ일화는 줌달이제

감자합니다님 질문보구 갑자기 생각나서 적어봤어요ㅎㅎ

할리데이 그켬임 너무 불친절...ㄹㅇ개념 불친절해요ㅜㅜ
하이탑이나 완자 대신 수특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예전부터 물2화2는 수특 훑어보고 가야겠다는 생각을 하긴 했던..
수특도 괜찮다고 생각은 하는데 굳이 3점 수준의 문제까지 풀 거까진 없을거같아요

감사합니다둘다샀는데 새책임 ㅋㅋㅜ
ㅜㅜ
굳

물치한수 가즈아
도움이 되었길 바래요지우지마라주새요
안지울거예용

일단 강체 회전 나오기 전까지는 할 만한데 강체회전에서 대가리 꺠버리죠.저도 그부분 제일 어려워했던 기억이ㅜㅜㅜ

각 운동, 질량 모멘트
물리는 언제나 환영입니다스크랩할게여

감사합니당!할리데이는 연습 문제 계산이....
"Slader" <- 공대생 필수 사이트
저기 무슨사이트예요?(본인은 자연대생)
걍 많은 원서 연습문제 답이랑 해설 있어요.
고등학교 때 과제할 때 많이 베낌
아
근데 이제 유료화 돼버렸다는.. ㅠㅠ

마침 서웨이 사려했는데확신을 갖고 구매하러 갑니다

조아요
올해 일반물리 F,,,
ㅠㅠ서울대갈게이들은 할리데이 연습문제가지고 절대 시험문제 못푸니까 서웨이 맨 뒤에 심화문제 꼭풀어보세요
역시서울대..
물리싫어서 컴공으로 런했읍니다
아
혹시 물2 뛰어넘고 바로 일반물리 들어가도 괜찮나요?? 물1은 빠삭하게 해서 수능 쳤어요!
본문에 답이 있습니다!
입학하기 전에 먼저 서웨이 사서 공부해도 괜찮나요??
서웨이랑 할리데이가 다루는 개념이 약간 다르지 않나? 파동 쪽이 좀 달랐던거 같음
파동쪽이나 현대물리부터는 차이가 조금 있어요. 다만 대부분의 공대(물리과/천문과 말고)는 전자기까지 거의 나가서..
킹북대에서 고대 반수 계획중이십니까
넹
상위권대학은 모르겠지만 그 밑 대학은 그냥 수업에 쓰이는 책 하나만 제대로 보는것도 빡쎄더라구요 실험레포트쓰는것도 은근 짜증나고 미적분에 화학 다 듣고 교양과제까지 다하려면 너무 힘들던데 ㅠ
할게 많긴 해도 제대로 각오하고 하면 되더라구요. 저도 상위권대학 아닌데요 뭘
팔로우 하고 갑니다 ㄹㅇ 유익하네요
감사합니다:)
저 진짜 물리랑 담쌓고 살아서 초등학교수준 물리지식도 기억날까말까하는데 추천해주신 책으로 공부해도 될까요ㅠㅠ?
수능서 물리를 응시하시지 않았다면, <수학없는물리>라는 책을 추천합니다. 수식 싹 다 빼고 개념을 문장으로 설명해둔 책인데 좋아요

오! 감사합니다서웨이랑 할리데이랑 약간 다른거 같긴 하네요 문제는 서웨이가 더 어렵게 느껴졌어요 근데 두 개 다 좋은책
난이도는 약간 사바사긴 하더라구요. 전 할리데이가 좀 더 어려웠..
서웨이 괜찮았던 것 같습니다
컴공은 물리왜배우냐 ㄹㅇ..
slader <<<<<이새끼 없음 ㅈ된다 개추
화학 개노베인데 어카지..ㄷ
정보추
문과지만 정보추
앗 댓글을 이제 봤네요ㅜㅜ죄송합니다
네 하이탑이 뭐랄까 대학가서도 써먹을 수 있도록 개념을 잘 정리해둬서 좋다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