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1년 커리 가이드(2) - N제와 EBS 연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365088
안녕하세요, 오늘은 N제와 EBS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기출문제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된, 3월 이후가 N제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좋은 시점이라고 봅니다. EBS연계는 아래 표에는 써 있지 않은데, 이는 개별적인 지향점에 따라 학습 시점을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본문에서 상술하도록 하겠습니다.
N제
시중에 있는 교재, 강사님들의 교재와 주간지 등은 N제가 많이 담겨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N제가 중요 기출 문제와 함께 섞여 있는 경우도 많아, 이러한 경우에는 굳이 N제와 기출을 뚜렷하게 구분하지 않아도 됩니다. 주간지 진도대로 풀다보면 기출과 N제를 균형 있게 풀 수 있기 때문에 큰 고민없이 공부할 수 있을 겁니다. N제만 따로 있는 교재를 산다면, 웬만한 기출문제를 끝낸 후에 나름대로의 독해 전략이 수립된 상태에서 하면 좋습니다.
여기에 더해, N제를 푸는 와중에도 어려웠던 기출, 중요한 기출을 틈틈이 복습하면 좋습니다. 이때의 복습은 답을 확인하는 과정보다는 문제를 읽고 풀어낸 과정을 되새기며 체화하는 과정에 해당합니다. 잔실수와 착각 없이 답까지 가는 과정이 잘 닦아져 있어야 어떤 문제가 나와도 당황하지 않고 아쉬운 실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N제의 핵심은 꾸준히 푸는 것입니다. 저는 국어 공부를 하면서, 한동안 기출문제가 아닌 새로운 문제를 풀지 않으면 감각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많이 경험해 보았습니다. 6, 9월에 시험을 잘 보면 나태해지기 쉽습니다. 수능 전까지의 모든 시험은 수능 결과 앞에 겸허할 뿐입니다. 수능 전까지 어떤 책이든 꾸준히 끝낸다는 마음가짐으로 학습 계획을 세부적으로 정해야 슬럼프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다고 봅니다.
EBS 연계
작년과 비슷하다면 올해도 1월 말에는 2023대비 수능특강이 출시될 것입니다. 저는 연계교재를 최대한 빨리 풀었습니다. 나중이 되면 막상 더 풀 것이 많아지고, 한번 미루면 계속 미루게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22학년도 수능으로 알 수 있듯이, 이제 독서 연계교재는 상당히 중요합니다. 역대 평가원이 내는 문제의 방식이나 깊이와는 다르겠지만, 어떤 소재가 나오는지 이해하는 차원에서 1회독 이상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학습 계획상 별도의 N제가 버겁다면 EBS교재를 꾸준히 푸는 것만으로도 피지컬 향상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연계율이 50%인 상황에서 문학 연계교재의 매력이 전보다 떨어진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현대시는 연계교재에 수록된 작품이 그대로 나올 수 있고, 그 외 갈래는 같은 작품의 다른 부분이 나올 수 있으므로 작품을 공부한 사람이(통상적인 경우에)보다 유리한 것도 사실입니다. 어려운 부분, 어려운 문제가 나올수록 연계체감이 덜 들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쉽게 나왔을때만큼은 더 빠르고 정확하게 문제를 풀어야 시험을 여유있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선택과목을 꼭 사서 풀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수 년 동안 수능을 지켜봤을 때, 화작/문법 문제가 연계교재와 느낌이 많이 다른 것도 많아서 국어에 시간을 더 투자할 수 있는 분이 아니라면 무리하게 풀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그러나 '연계'교재이기 때문에, 여유가 된다면! N제를 푸는 느낌으로 꾸준히 푸는 것을 권장하는 바입니다. 2023 수능에서 또 어떤 부분으로 뒤통수를 칠 지 모릅니다. 최소한 EBS가 생각한 범위 정도는 눈에 담아두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는 올해 수능을 준비할 때, 수특, 수완 가능한 모든 지문, 작품을 최소한 1번은 보려고 노력했습니다. 물론 수능 전까지 제대로 읽고 분석하지 못한 지문도 있었지만, 국어 한 과목만을 공부하는 것이 아닌 한 100% 연계교재를 소화하기는 다소 무리일 수 있기에 너무 압박감은 느끼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래도 지문들의 소재, 작품의 갈래는 골고루 모두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인문 지문이 자신 있어서 그것만 파다 보면 과학, 기술 쪽 감각이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고, 고전시가가 어려워서 고전시가에만 집중하다보면 쉬운 현대시에서 예상치 못하게 헤멜 수 있습니다. 적중을 기대하기보다는, 지문의 소재에 대한 익숙함, 지식을 챙겨서 시험장에서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연계 공부의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6, 9 평이 끝나고, 출제되었던 것들을 빼고 공부하는 것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전략인 걸로 압니다. 이러한 방법이 나쁘다고 보지 않습니다. 말 그대로 고효율을 위한 학습인 셈이니까요. 그러나 이것이 공부를 미루는 핑계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9월이 끝나면 다른 과목도 함께 바빠지고, 시간은 더욱 부족해질 가능성이 큽니다. 수능완성은 그래도 볼륨이 적은 편인데, 수능특강의 독서는 작년 기준으로 단기간에 책을 끝내기는 부담스러울 수 있는 정도였습니다. 하기로 했다면, 미루지 말고 빠르게 시작하시길 추천합니다.
다음 칼럼에서는 실전 모의고사에 대한 내용으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대 기공 떳냐 1
사실 최초합 이제 뱃지뜸 물론 안암캠 핳 하지만 시대재종 개강을 한 나..
-
근데 기하에서 2
ㅈㄴ어려운 부분은 어디임?
-
6등급인데 쎈C 거르고 푼다음에 시발점 풀면 좋은 것 같은데 쎈발점해도 괜찮나요?
-
생각이 들 땐 시급 7 ㅂ현 쌤을 떠올리며 마음을 다잡기
-
한 5~8명정도 뽑는 소수과에 그냥 그해 수능 아무 성적표나 다 매수해서 집어...
-
대치동 어둠의 스킬 12
반갑습니다 어둠의 스킬 400만개 보유한 흑마법사 입 니 다 크ㅡㅋ
-
경희한 뚫는법 1
이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찾아보니 정시 14명 뽑던데 한의예과(자연) n명...
-
7명 모집 최초 예비7번 1차 4번 그이후로 4차까지 변화 없음 작년 12명 모집...
-
독서가 작년에 이감도 몇 개 풀었는데 역대급으로 빡셌던거 같아요
-
대 승 진
-
뭔가 느좋임
-
사회문화는 어제 풀어봄뇨
-
많이 싸우네 피신왔어요
-
녹황색사회 신곡 많관부 10
-
흑빵댕이는 진짜 신이 빗은거같네
-
대학생 분들중 2
학교 끝나고 바로 집가고 혼밥 하고 혼공 하는 사람 없나요??? 나만 그런가?
-
집합과 명제가 고등수학 첫단원이 아닌 이유를 몰겠음 1
옛날에는 초1 첫단원, 중1 첫단원에 있었다는데 애매하게 고등수학 2학기에 배움...
-
의대 25학번 신입생인데요 각설하고 저는 이번에 그냥 학교 다니려 합니다. 가정환경...
-
쉬4 못푸는데 시발점 들으려고 봤더니 너무 다 아는 내용인데ㅜㅜ 어느 부분에서...
-
강윤구가 어떤 스타일인지 잘모르는데 누가 낳음??
-
황금당근 6
먹을래
-
그래서 2
갑종 닉 왜 먹힘
-
ㅇㅋ
-
김준t 커리 타는분들 스타팅포인트도 들으시나요??? 0
어떤가요???
-
아직까지 진학사에 안넣었을까...
-
제 꿈입니다
-
나 수고햇다 3
ㅇㅇ
-
이게 많이 먹는거임? 13
3시쯤에 한끼 먹음 186/85 건장한 성인 남성임
-
재밌나요
-
가질 수 없는 사람이 있어
-
한성대vs삼육대 7
둘다 자율전공이에요 어디가 나을까요? 위치로는 한성대가 더 나은 것 같은데 주변...
-
대학교 생활할때 2
오티 새터 다 다녀오면 중,고딩때처럼 같이 다니는 무리가 생김? 아니면 걍 과애들...
-
나도 동맹휴학 참여하면 안되나
-
장학 규정보니까 250장학인데 왜 결제 금액엔 470뜨지 장학 왜 못받는걸까…
-
특성화 출신이라 지구과학을 학교에서 배운적이 없어 노베입니다 그래서 입문강의...
-
ㄱㄱ
-
ㅈㄱㄴ 여기도 그렇고 ㅅㅁㅎ도 분위기가 안 좋네
-
ㄷ선지 풀 때 Tn에 2n을 대입하면 안되는건가요?
-
켰습니다. 14
-
지1 물1 2단원 태풍 = 3단원 빛과 물질의 이중성 1단원 고지자기 = 3단원...
-
성대를 붙었지만 반수를 위해 눈물을 머금고 중대경영을 가는 불상사가 생길뻔...
-
야식 ㅇㅈ 10
햄부기브기
-
확통 0
미적해서 28 29 30 틀릴꺼면 그냥 확통하는게 낫겠죠? 올해 1년 한다고 해도...
-
1. 국어 2. 명제논리 3. 집합
-
제발 좀
-
ㅁㅌㅊ??
-
시대 8
4.5교시는 도대체 뭐임
-
김범준 정병호 0
3월부터 수1, 수2 실전개념 들어가려고 하는데 김범준쌤 스블이랑 정병호쌤 프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