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공부 이건 진짜 주의하자! 시간낭비 조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179754
메뤼 크뤼스마스~!
상승효과 이승효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수험생 여러분들이
수학 공부하면서 시간 낭비 하지 않도록!!
[칼럼+공개특강 안내입니다]
자~ 이제 수능대비를 시작해볼까! 하면
특정 교재나 문제집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죠.
이때 주의해야 할점.
기출문제집 활용시 주의하자
수백 수천문제씩 있는 기출 문제집에는
현 교육과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제가 많습니다.
'계차수열'처럼 아예 교육과정에서 삭제가 된거라면
아, 이건 안해도 되는거지, 라는게 명확한데
적분 처럼 교과서 내용이 살짝(사실은 많이) 바뀐 경우
- 수2 적분은 더이상 넓이를 이용해서 정의를 하지 않죠.
따라서 넓이만 이용해서 풀리는 문제는 수능에 나오기 힘들어요.
수열처럼 학습목표가 살짝(사실은 많이) 바뀐 경우
- 수열은 일반항(공식)을 이용해서 식계산하는것이 아니고
대입하고 나열하면서 귀납적으로 추론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이런 경우처럼 학생들이
직접 판단하기 애매한 경우도 있거든요.
그런 문제들까지 무지성 때려넣은 두꺼운 문제집은
학생들의 시간을 낭비하도록 만드는 주범!!
대표적인게 바로 요문제! (2019학년도 9월 모평 나형)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학기 중에 잇올 0
다닐까 망까 그냥 겨울방학 때 다닐까 거리는 걸어서 15분 정도 걸리는 것 같은데
-
참고로 나 고2때 세계사 수업 들어서 노베는 아님 나름의 역사덕질로 한다고 괜히...
-
언매 확통 91 92
-
왜 이렇게 줄어들었음?? 나 24 현역 때는 요즘 같은 시기에도 어그로 진짜 댕많이 끌렸는데
-
확통 기출 3
22후부터만 보면됨?
-
계산 엄총 젊 14번은 -0.5x*16x= -8로 계산햇는데 하필 이게 인수분해가...
-
뉴런 수1 수2 끝났고 수분가 스탭1까지 2회독정도했습니다 그다음에 무엇을 해야할까요
-
그냥 한의/약대 다니면서 과외/학원 알바하는 정도로 학생이 성실하게 살았을때 너무...
-
친구가없어 15
왜업지… 오르비를해서그런가…
-
ㅊㅊ좀요 이해원1 체감난이도는 쉬움~보통정도엿음 미적임니당
-
대구경북 250만 셔부평야3형제 이런 거 퀴즈 맞히기 하니까 꿀잼임 고양의남하성...
-
평가원이 내는 깊은 추론 있는 글은 확실히 다르다고 느껴지는데 사설 이감 상상 바탕...
-
밑에잇는무사와악사보는데 언제봐도너무게이소설임
-
수능 잘 치셔서 제발 재수하지 말아주세요 ㅠㅠ
-
사설 독서 난이도가 그렇게 높진 않아서 한 번 모래주머니로 풀까 해서요
-
생산수단 갖고 있는 부르주아 계급 체험하고 싶어서 비즈니스 끊고 제주도 다녀옴...
-
오르비 9
너무 많이 했어
-
수학대왕 5
수학마왕인가 뭐길래 한회분이 16000원 실모인거지.. 난생첨듣는데 수학도둑...
-
제대로 하면 몇등급 나올까요 방금 이개다 1강 들은 뉴비입니다
-
이거 먼드립임? 23
예를들어 게시물 : XX님 착하지 않나요? 댓글 : XX의 실체를 아는 사람 :...
-
심신의안정을위해 4
아이즈원노래하나듣고히카풀러감
-
24수능 국어 백분위 98 받았고 올해도 국어 무조건 잘 쳐야 되는데 일단 지금...
-
졸려 7
-
2시간 버스탈때 볼 애니 ㅊㅊ
-
나형 19년 9월 30번 개인적으로 까다로운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더 큰 문제는...
-
네네 에벌랜치광다이오드 22자동차 Lfia키트 패보겟습니다
-
아 키우고 싶다 돈있으면 키웠을텐데
-
8월 서프 수학 분석 12
8월 서바이벌 프로 모의고사 수학(미적분) 주요문항 분석글입니다 첨부된 사진은 제...
-
대면은 일체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금전적인 거래도 일체 하지 않습니다 원래 군수생...
-
다 컨셉임 ㅇㅇ
-
6모 화작 6
올해 6모 선택과목 화작 난이도 어땠나요..? 작수 화작 2개 틀리고 다른 모고...
-
슬슬 때가 된듯 2
-
저메추좀 0
ㅡ배민에 먹을 게 없냐
-
도저히 일정 이상 시간을 줄일 자신이 없음....
-
올해 6평 기준 14번으로 배치해도 될듯 ㅋㅋㅋ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이거슨 가짜배고픔
-
n제 겨우 끝 맞추면 시간이 없네 한 두 개씩만 풀고 드갈듯
-
쫀득하고 찐득하게 써지는 쾌감이 있음
-
작수 문학2틀이었나 그렇고 이번 6평문학 0틀인데 사설모고 문학에서 너무 많이...
-
서킷 2회차 20번 넓이 적분 문제 제대로 푼거 맞음?? 1
평소 평가원 문제처럼 딸깍 안되게 내서 어쩔수없이 케이스 0~1 1~2...
-
근데 조류는 예외임 17
그냥 넣으면 되는데 뭔 차이가 있어
-
작수정도 난도인건가유? 아닌가
-
병명이 우울증인데 휠체어를 쳐 탐 ㅋㅋㅋㅋ 아니 국민을 속일거면 제대로 속여야지...
-
나는 여자가 좋아
-
내일 서프보는데 3
주변에서 못구해서 2시간정도 버스타고가야되는데 할거 추천 좀 해주세요 ㅋㅋ
-
김민지 이채영ㄷㄷ
-
사진은폭염에도선풍기만틀어주는헬스장에서찍은거임시팔ㅋㅋ 반수 하면서 느낀건데 진짜 결국...
-
아직도 수록곡이 개쩌네 닌텐도뮤직은신이야
수2 넓이로 적분 안쓰는건 처음 알았네요ㄷㄷ
미적에선 넓이로 다시 정의했던 걸로 기억해요
어쩐지 유튜브에서 빡t가 예전에 정적분 넓이로 설명하는거 본거 같은데 아무도 그렇게 설명안해서 뭔가 했음
맞죠 ㅋㅎㅋㅎㅋㅎㅋ 수2는 그냥
"F(b)-F(a)라고 정의한다"
뭐 이런 식으로 서술돼있던 것 같아요 ㅋㅋㅋ
네 맞아요. 수열의 극한을 수2에서 빼면서, 적분의 정의가 바뀌어버리는 일이 벌어졌네요.
- 수2 적분은 더이상 넓이를 이용해서 정의를 하지 않는다는 게 정확히 어디 피셜인가요..?
그럼 넓이와 적분 단원은 뭔가요..?
교과서 피셜이죠.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넓이(구분구적법)를 이용해서 적분을 정의하지 않고, 부정적분을 이용한 정의로 바뀌었습니다. 넓이와 적분 단원은 정적분을 활용해서 넓이를 구할 수 있다는 것이죠.
미적 개념반은 없나요?바로 심화는 오바라
있죠~ 당연히 :-)
경로 올려주시면 감사드려요~
https://academy.orbi.kr/intro/teacher/256/l
선생님 , 저문제가 공부에 도움 안된다고 하는거에서 , 좀더 자세히 설명해 주실수 있나요?
약간 납득이 안돼서요
교과서에 그렇게 되어 있다. 라고 하셨는데
어느 부분때문에 그렇게 해석하셨는지 알려주시면 좀더 쉽게 납득될것 같습니다
저 문제가 현 교육과정 수2에서 성립하려면 교과서 개념만으로 문제가 풀려야 하겠죠. 수2에서 정적분의 정의는 F(b)-F(a)로 바뀌었거든요.
1. 인티그럴 안에 있는 함수의 부정적분 F(x)에 대하여 F(2x)-F(-x)를 구하고 2. 인터그럴 함수를 미분해서 변화율을 구해서 풀어야 하는데, 일단 2번은 합성함수 미분이 되기 때문에 수2에서 바로 미분할 수가 없고요.
넓이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풀면 그래프를 이용해서 쉽게 풀 수 있지만, 수2에서의 정적분의 정의를 이용하면 매우 복잡한 계산이 되어 버리겠죠. 어차피 4차니까 절댓값 풀고 5차함수 식 세워서 대입하고 풀면 되는거 아니냐 생각할 수는 있겠지만,,, 넓이 풀이와의 시간/난이도 차이가 너무 커지니까요.
혹시 다른 의견 있으시면 댓글 주세요. 저도 더 생각해보겠습니다.
교과서에서 정적분의 정의가 구분구적법 방식에서 함수값의 차로 변했다
와
넓이 변화로 함수를 추정할수 없다가
로 이어지는 부분이 논리적이지 않다고 느껴집니다.
중간 다리가 많다고 느끼는데요..
시간이 괜찮으시다면 판단근거와 메커니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넓이 변화로 함수를 추정할 수 없다’고 한 적이 없습니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넓이 변화를 관찰하면서 함수를 추론해야 하는데, 학생들은 수능 시험장에서 적분 문제를 풀때 그러한 풀이를 먼저 떠올리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아래에 단 댓글을 참고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혹시 적분 교과서의 서술이 어떻게 바뀌었고 그 의미가 뭔지 정확히 몰라서 물어보시는거라면, 제가 다른 칼럼을 통해 자세히 적어보겠습니다. ^^
그럼 기출문제중에 2019학년도 9평 평가원 나형21번이 들어간 것들은 거르는게 좋을까요? 최고난도 변변력 문제에 나왔긴한데..
그냥 푸세요 버리지말고
풀지 말라고 하는 이유가 세가지 있습니다.
1. 풀이의 우선순위의 문제 - 정적분을 보면 현재 수학2 교과서에 있는 정의 F(b)-F(a)가 ‘먼저’ 떠올려야 합니다. 그런데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다른 방식을 먼저 떠올려야 합니다. 수능에서 교과서가 아닌 다른 방식이 먼저 떠오르는건 독입니다.
2. 시간낭비의 문제 - 그 시간에 다른 공부를 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수리논술을 대비하거나 100점 및 의대 목표로 하는 학생이거나, 이 정도 문제 푸는데 몇분 안걸리는 학생이라면 풀어도 좋습니다.
3. 다른 리스크 - 이 문제를 교과과정의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과 함께 다룬다면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기출문제집 또는 교재에서 아무런 설명없이 문제를 다루고 있다면, 그 책의 저자는 현 교과서에 대한 분석이 제대로 안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019학년도 9평 평가원 나형21번은 뉴런에도 있던거같은데..아닌가 ..학습용으로도 괜찮은문제같고
올해 뉴런엔 없고 수분감엔 있어요
그러면 적분 파트는 아무 기출문제나 풀면 안되고 최근 5~6년 문제를 집중해서 풀어야하나요??
적분 교과서가 바뀐건 5년전이 아니라 작년 수능부터입니다.
혹시 작년 나형 20번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이 문제를 '정적분은 부호가 반영된 넓이이다'라는 관점을 알아야 쉽게 풀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물론 모른다 한들 풀 수는 있지만), 수학2 교과서에서는 구분구적법을 가르치지 않다 보니 그런 주제로 전에 글을 한번 써본 적이 있었어요.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는 안 나올 것이다'라고 단정하고 배제하는게 좀 위험하다는 생각이었는데, 선생님 의견도 여쭤보고 싶어요.
댓글 감사합니다. 의견 드릴게요~
1. 모른다 한들 풀 수 있다 -> 다르게 표현하면, 현 교과서 내용만으로도 풀 수 있다는 것이겠죠. 작년 나형20번을 넓이 관점으로 풀었을 때 시간적인 큰 유리함을 얻을 수 있다면 모르겠는데, 그런 측면에서 큰 도움이 된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만약 작년 나형20번을 넓이 관점으로, 즉 3차함수 f(x)의 그래프를 그려서 문제를 풀었다면, 사실상 같은 문제라고 할 수 있는 금년 6평 20번 문제는 12차함수의 그래프를 그려서 접근해야 하는걸까요?
2. 저는 현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충실해야, 어떤 평가원 문제도 일관된 원칙으로 풀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 교과서에 없는 내용은 안나올것이다, 이건 팩트아닌가요? 단, 이런 상황은 있을 수가 있겠죠. 예를 들어, 지난교육과정에서 코사인법칙이 없을때, 코사인법칙으로 풀수도 있는 문제가 나오기도 했죠. 그렇다고 해서 그걸 예상해서 코사인법칙을 다루는 문제를 학생들에게 풀도록 해야 할것인가? 저는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교육과정 내의 개념으로도 풀수 있도록 만드는게 더 중요하니까요.
3. 그렇다고 해서 '정적분은 부호가 반영된 넓이'라는 사실을 제가 안가르치는건 아닙니다. 특히 미적분 선택에게는 필수고, 상위권이라면 수2에서도 알아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 그렇지만 이건 수2에서는 배경지식 같은거죠. 테일러급수를 알면 미적분 삼도극을 푸는데 근사에 도움이 될 수도 있는(몰라도 전혀 문제는 없지만), 그런 느낌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수2에서는 엄연히 정적분이 부정적분의 함숫값차로 정의되어 있고, 그걸 활용해서 곡선으로 둘러싸인 넓이도 구할수 있다, 라고 되어 있으므로 그것에 먼저 집중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그리고 나서 교육과정이 과거에는 이랬고, 그래서 이런 기출도 있었고, 그 차이는 이러하다, 라는 것을 심화 개념으로 알려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푸십시오 다양한 관점 알아가는 공부는 좋은 공부입니다 킬러를 버려도된다하니 달콤하겠지만 그냥 푸십시오
다양한 관점 알아가는 공부가 좋다는것에 동의하는데요. 그렇다면 모든 기출을 선별 없이 다 풀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처음 학습할 때 주의해야 하지만, 책의 주장을 이길 정도로 잘 하는 학생만 할 수 있는 ㅠ 그래서 선생님같은 강사가 중요한거겠죠?
네, 처음 학습할때 정확히 아는 것은 중요해요. 그래서 어떤 책을 보더라도 교과서를 꼭 같이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상승효과랑 실력지상주의 비대면 신청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지금 접수중입니다 :-)
자세한 내용은 디오르비로 문의주세요일주일 정도 고민하고 싶은데 그 때에도 비대면 신청 가능할ㅏ요??
네 가능해요. 중간에 합류하게 되면 지난 수업은 영상으로 보고 라이브 진도 맞추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선생님 수학 교과서 종류가 많아서 그러는데 혹시 어떤 교과서를 봐야할지 조언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ㅠㅠ 추천해주실만한 수학 교과서가 있을까요?
수2에서 넓이ㅜ관점이 안쓰이는거 맞냐요? 그럼 9평 14번은 몬가요? 그것도 미분해서 푸셨나요?.. 모든 강사가 넓이로 해석하시던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6평 20번도 넓이로 해석하면 더 빠른풀이가 가능하네요
구분구적법이 수2에 빠졌다고 넓이로 해석하는게 빠진것같지는 않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