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PPL 칼럼 6호] 수능 영어 공부, 문제풀이 스킬 말고 이것부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140757
[포디쌤의 수능 영어 칼럼 ③] 고3 되기 전 마지막 겨울방학을 앞둔 너를 위해
겨울방학을 앞두고 예비 고3 친구들은 걱정이 많을 시기이다.
절대평가로 바뀌었지만 수능영어 난이도는 여전히 상당하고, EBS 연계는 유명무실해졌으며 올해 1등급 비율도 6.25%에 그쳤다.
영어 1등급만 가능하다면, 수시나 정시에 있어서 꽤나 큰 메리트가 있을 텐데 그럼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이하 나오는 이야기는 불안한 1등급부터 4등급 정도까지 적용되는 이야기이다. 그 이하 등급이거나 필수 스킬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첫 번째 칼럼부터 읽고 오자.
2023 수능 영어를 대비하는 자세 https://orbi.kr/00041394102
-------------------------------------------------------------------------------------------------
해석, 즉 직역 실력은 어느 정도 잡혀 있지만 독해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겨울방학 때 우선적으로 해야 할 훈련은 바로 실전문제풀이가 아니라 시간제한 없이 지문을 스스로의 언어로 환산하는 능력을 키우는 연습이다.
다시 말해, 무작정 기출문제, 시간 재고 실전 모의고사를 푸는 것이 아니라 지문 하나하나를 곱씹어보며 무슨 의미인지 되돌아보는 연습, “①단순화 스킬”과 “②강세 두기 스킬”을 스스로 체득하는 연습이다. (이 스킬이 뭔지 모른다는 건 첫 번째 칼럼은 안 읽은 거겠지,,)
더 구체적으로, 평가원 5개년 기출을 가져와서 시간 제한 없이 지문만 “잘” 읽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평가원 지문을 다 봤으면 수능 특강, 평가원 지문 난이도가 너무 어렵다면 고1,2 교육청 모고 지문부터 시작하라고 이전에도 언급했었다.
-------------------------------------------------------------------------------------------------
이렇게 말하면 분명 불안해하는 학생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다 나중에 시간이 부족하면 어떡해요?”
“고3인데, 문제 푸는 스킬부터 익혀야 하는 거 아닌가요?”
-------------------------------------------------------------------------------------------------
앞서 언급한 두 가지 스킬의 중요성은, 첫 번째 칼럼을 읽었다면 이해되었을 거라고 생각한다.
더 빠른 이해를 위해 가장 난이도가 악랄한 국어 과목과 비교해 생각해보자.
국어 비문학과 영어 독해는 본질이 비슷하다. “한국어인데 뭔 소리인지 모르겠다”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영어도 “한국어 해석을 읽어도 뭔 소리인지 모르겠다”라고 생각한 경험이 있을 것이고, 이건 독해력이 부족해서 생기는 문제이다.
가장 큰 차이점은, 외국어의 장벽만 넘으면 수능 영어 수준의 독해력을 기르기가 훨씬 쉽고, 독해력이 한 번 잡히면 문제풀이 스킬은 훨씬 배우기 쉬울 뿐더러 중요성이 덜하다.
국어 비문학은 지문의 길이도 상당한데 5~6문제나 물어보고 보기까지 있어서 머리가 지끈지끈하지만 영어는 딱 짧은 길이의 지문을 하나 이해하고 바로 문제를 풀면 된다.
즉, 영어에서 지문별 문제가 (대부분) 하나라는 점은 사실 문제 풀이 요령보다 “독해력”이 훨씬 중요하다는 증거이다.
-------------------------------------------------------------------------------------------------
물론 최근 고난이도로 출제되는 삽입과 순서 유형은 어느 정도 스킬을 요하고, 빈칸 추론도 지문은 이해했는데 문제는 틀리기 쉬운 유형이다.
하지만 그 문제풀이 스킬, 방법론 이런 것들도 다 결국 독해력이 기반이 되지 않으면 쓸모 없다.
아무리 유능한 스킬일지라도 탄탄한 기반인 독해력이 없으면 조금만 어려워져도 쉽게 무너지거나 혹은 어떤 문제에는 적용이 되는데 어떤 문제에는 적용이 안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순서는 결국 짧은 문단에 대한 독해력, 삽입은 문장 단위별 독해력이 없으면 스킬 따위는 무용지물이다.
수능 영어는 사실 어느 정도 기틀이 존재하고, 이미 유능한 인강 강사들이 만들어놓은 정형화된 방법론이 많다.
답은 정해져 있는데, 왜 인강을 보고 열심히 스킬에 대해 필기해도 영어 성적이 안 오를까?
스킬만 키워서 올랐을 성적이면 왜 수험생의 90프로 이상은 1등급을 맞지 못하는가?
이미 출제된 문제로 스킬 적용하는 인강을 백날 봐도, 독해력이 없으면 새로 출제되는 문제에는 그 스킬을 적용할 수 없다.
-------------------------------------------------------------------------------------------------
여기까지 읽고 독해력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득 되었다면 현실적으로 어떻게 공부할지 궁금할 것이다. 다음 단계를 따라서 학습해보자.
(평가원 구문 직역이 70~80프로 된다는 가정 하에)
1. 평가원 5개년 기출 다운
2. 요지 / 주장 / 제목 / 주제 / 요약문 유형 지문만 선별
3. 지문을 읽는 중에는 문장 단위별로 “아 그래서 이 문장이 뭔소리지?” 스스로 질문한다.
(문장별로 옆에 스스로 요약한 내용을 적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지만, 그러면 너무 직역해 버릴 위험이 높기 때문에 생각하는 것이 사실 가장 좋다)
4. 읽으면서 스스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장(주제문) 1~2개 정도에 밑줄을 친다.
5. 지문을 읽은 후에는 절대절대절대 선지를 먼저 보지 않는다. 지문으로 되돌아가지도 않는다.
6. 지문을 아예 한 손으로 가려버린 후에 “아 이 지문 무슨 내용이었더라?” 스스로에게 질문한다.
7. 머리가 하얘지면 지문으로 되돌아가서, 아까 내가 밑줄 친 문장만 천천히 다시 읽어본다. “아 그래서 이 문장이 뭔소리지?” 다시 물어본다.
8. 내 언어로 주제가 정리되면, 선지를 보지 않은 채로 위에 한국어로 주제를 적는다.
9-(1) 선지를 1~5번부터 읽은 뒤에 내가 쓴 것과 유사하거나, 확신하는 선지가 있으면 고르고 정답을 확인한다. 9-(2) 맞았으면 선지와 내가 쓴 것을 비교해 본다. 핵심 소재와 논지 등이 유사한지 체크하고 어떤 부분에서 핀트가 나갔는지 지문을 다시 검토한다. 틀렸으면 10-(1)로. |
10-(1) 선지를 1~5 번까지 읽은 뒤에 두 가지 중에 헷갈리거나 다 정답이 아닌 것 같으면 잘못 독해한 것이기 때문에 그냥 바로 정답을 확인한다. 10-(2) 한국어 선지가 아니라 영어 선지인 주제/제목/요약문의 경우에는 정답을 다시 한 번 한국어로 바꿔서 직역하지 않고 나만의 언어로 바꿔 적어본다. |
-------------------------------------------------------------------------------------------------
방식이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칼럼 ②를 참고하자. 같은 문제로 연습해보면 내가 단순화를 잘 적용했는지 안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지문을 읽고 머리에 남는 게 없는 너를 위해 https://orbi.kr/00041699649
-------------------------------------------------------------------------------------------------
앞으로 칼럼들에서는 위에 방법대로 학습한 이후에 단순화/강세두기 활용이 옳았는지 검토할 수 있게 2022 수능부터 시작해서 요지 / 주장 / 제목 / 주제 / 요약문 유형 문제 해설을 꾸준히 작성하겠다.
간접 연계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만의 독해력을 쌓아 가볍게 1등급을 받는 그날까지 수험생들의 공부를 응원한다.
칼럼 제작 | Team PPL 영어 소속 For Thee 팀
제작 일자 | 2021.12.23
Team PPL Insatagram | @ppl_premium
*문의 : 오르비 혹은 인스타그램 DM
0 XDK (+500)
-
500
-
감정적이지… 누구랑 찐하게 포옹하고싶다 응응
-
열등감인 듯 분노 우울 해봐야 얼마 지나고 나면 사라지거나 잠잠해지는데 열등감은...
-
머리에 든게없음ㅈㅅ 엔수한뒤에 좋은조언 전파할게요
-
2026 수능 삼반수로 응시 계획중이고 작년에는 반수해서 2학기 휴학하고...
-
하루 목표 10
공부 5시간 밥 9시간 게임 25시간잠 42시간운동 74시간
-
2주만에 울면서 뛰쳐나옴 뭐 규정 상 환불도 안된다던데 그런거 신경 쓸 멘탈이...
-
저게정말궁금함
-
생1 vs 물1 2
물1이 워낙 고였다고 해서 생1으로 넘어가려고 생각중입니다물1은 고2 10모...
-
어떻게살것인가 10
매우고민이다
-
흐음 4
누가 꼬옥 안아줬으면 좋겟다 찐으로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컼
-
일반인 중 외모가 출중한 분들도 아이돌 옆에선 그 빛이 바랠 수 있고 고등학교까지의...
-
하는게 좋나 먹고나서 운동하는게 좋나 천국의 계단 탈껀데
-
ㅣㅣ 4
ㅣㅣㅏㅓㅏㅣㅣㅏㅓㅣㅏㅣㅏㅏㅏㅓㅓㅏㅓㅣㅣㅣㅏㅓㅏㅣㅣㅣ
-
물리가 ㄹㅈㄷ인게 9월 모평 때 5만명이었는데 수능 땐 58000명으로 8천명이...
-
ㅅㅂ
-
슬픔 후회 열등감 우울 모두 누구나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내 아픔이 전혀...
-
어때요 까보니까 저런거임 해본사람? 내가그렇다는건 아니고...
-
편의점에서 나한테 인사한새끼도 이런식으로 디시에 글 싸지르고있을거라고 생각하니까...
-
약속했으니 도전해봅니다
-
인기 있을까?
-
지금으로부터 50년 전에는 휴대폰으로 지구 반대편 사람 이랑도 얼굴보고 통화할 수...
-
숭실 vs 아주 3
숭실대는 자율전공학부랑 아주대 미래모빌리티 공학과 붙었는데 어딜가야할까요..?...
-
특히 국어가 잘 안되네..
-
지듣노 7
타상연화 노래만 남기고 사라진 영화 영화도 봤는데 흠 전 그저 그랬는데 악평이 많은
-
서성한 합격후 연고대학생 혹은 연고 합격증보면 열등감? 올라오는데(물론 금방...
-
개념인강 추천 3
아무 인강에서 개념 잘 알려주는 개념인강 추천 부탁드려요 1월에 개념 다 돌리긴...
-
강민철 김ㅇ양 2
2월까지 강기분끝내고 김ㅇㅇ쌤 시즌 e부터 시작해도 무리없나요?? 국어 3-4왔다갔다거려요
-
연대는 수능 후 면접이지만 고대는 수능 전 면접임 그래서 고대는 쓰지도 않았지 흐흐
-
작수 후기 1
입실 싱글벙글 국어 정신없음 수학 헤롱헤롱 점심시간 집가고싶어짐 영어 지루함 한국사...
-
ㅋㅋ
-
술게임어랜만 0
아오 힘들어 재ㅣㅆ어
-
수학1(공학수학 말고 교양)+기초 전자실험 및 설계 이렇게 할라는데 괜찮나요?
-
수능판 애진작에 뜬 지인이 의대증원이슈때문에 성적대로 보는거랑은 다를거야 너...
-
안녕하세요. 현우진T 수분감 2026 인강 2025 버전 책으로 들어도 무방한가요?...
-
33411.. 2
화작 미적 영어 생윤 사문인데 예체능 같은거 빼고 하면 대충 어디까지 ㄱㄴ한가요?? (목표등급임)
-
런닝머신타면서 들으면 ㄹㅇ맛도리
-
안녕하세요 혹시 요즘 정법 사문 트렌드가 어떤가요? (본인 20수능 봄.....
-
감정을 제거한 11
이성만이 남은 인간은 어떨까
-
서X대 따라하는거임? 대학 이름비슷하다고 수준도 비슷한게 아닌데;
-
작마ㅇㅈㄹㅅㅂㅋㅋ 14
공부하러온사람들맞냐…
-
난 아니긴한데 걍 궁금
-
김동욱과 병항 ㄱㅊ을까요?
-
나만 이럼? 0
신기하게 누우면 잠이 달아나고 배고파짐
-
내신반영 10%라니.. 우웅해 시작하기도전에 결과를 아니까 힘이빠지네 내신반영...
-
수특 영어 1
수특 국어 수학 탐구 사려는데 영어도 사야되나요??
-
레어 빨리 모으는 법 14
뉴비한테 전수해줘요 나 왤케 안 모이지 사고 싶은 레어 많은 씹덕인데
-
아메추 좀 해주세요 13
고민 되네요
-
오늘까지 돈거 몇점대까지 돌았나요? 930대초반까진 안내려왔겠지
영어는 독해력을 기르는 것이 상위권 도약을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정이죠.. 어휘는 기본이고요. 좋은 글 공감하고 갑니다. :)
잘 읽어주셨다니 감사합니다 :) 선생님 글들도 읽으면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