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21 4등급—> 22 만점 질받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118582
국어만 하니 노이로제 걸리네여 간단히 QnA
함정은.. 21 수능은 물2…!
18번 그림 오류 때문에 검산했다가 18,19,20 와르르..
(42점 물2는 4등급입니다 허허)
생2만큼 인원 많았으면 오류 인정되지 않았을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118582
국어만 하니 노이로제 걸리네여 간단히 QnA
함정은.. 21 수능은 물2…!
18번 그림 오류 때문에 검산했다가 18,19,20 와르르..
(42점 물2는 4등급입니다 허허)
생2만큼 인원 많았으면 오류 인정되지 않았을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속도제곱은 음수 ㅋㅋㅋ
아니 답 내고 검산하다 속도 제곱이 음수..? 잉?
정신차려보니 육 분 지났더라고요.. ㅎㅎ,,
갑자기 뒷북이지만 검산 과정에서 속도 제곱 음수 어떻게 나왔는 지 알 수 있을까요...?? 수평면 아래로 내려간다밖에 안나와서요..!ㅠ
그게 그 말이에요 수평면 아래로 안 내려가려면 속도 제곱이 음수라는 이상한 식이 나오거든요
아아 구간에서 속도는 계속 같아야 되니까 에너지 감소 부분에서 퍼텐셜 초과만큼 운동에서 제곱이 음수로 되어서 감소해야 되는 거네요 ㄷ... 이게 오류가 아니었네
22수능으로 물리도 난이도 많이 올랐다고 하는데 어떤 사람이 물리를 선택하는게 괜찮다고 생각하시나요?!
물리가 식이 많은 계산 과목이라고 생각을 많이 하시는데 계산 하기 전에 실제로 이렇게 공을 굴리면 어떻게 될까? 하고 생각해볼 수 있는 깡이 필요합니다.. 겁 먹을 거 같으면 사절이에요,, 그리고 물리를 떠나서 과탐은 자기가 재밌어 할 수 있는 과목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공을 굴리는지 생각하는 연습은 어떻게 하면 되는지 궁금해요
이번에 물2 48이긴 한데 올해내내 시간부족에 시달려서요
저 같은 경우에는 역학은 거의 다 맞아서 포물선 먼저 풀고 그랬는데, 포물선 수평도달거리 수직 높아 그런 거 공식 전혀 안 외웠었습니다. 포물선 운동하다가 빗면에 충돌하는 문제라고 하면 이 각도로 충돌하면, 수직으로 튀어나오겠네? 여기서 운동량 쓰고 최고 높이꺼진 평균속도로 구해서 거리재고 요딴식이랄까요..?
문제가 있으면 좋은데 말로 하기는 어렵네요 ㅜㅜ 일단 머릿속으로 어떻게 움직이는지 시뮬레이션 해보고 그 후에 문제를 푼다고 보시면 될 거 같아요:) 특히 돌림힘은 언제 힘이 0될지 많이 생각해보는 연습을 가지면 속도가 엄청 빨라집니다..!
문제의 역학적 과정을 시뮬레이션 하면서 그때 그때 필요한 물리량을 그 시점에 갖고 있는 정보를 이용해 최적의 방법으로 구한다.. 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한번 해볼게요 ㅎㅎㅎ 감사합니다

오히려 저보다 정리를 잘하셨네요..! 물리 화이팅22수능도 물2하신건가여?
22는 물1이요ㅠㅠ 표점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도망왔네요,,
물리에서 가장중요하다 생각하시는건 뭐라 생각하시나요?? 공부태도측면이나 문풀측면이나 개념공부할때?.. 글고 현강들으신건가용
물1은 2년 만에 공부한건데 물1은 파이널렉쳐? 라는 전자책으로 혼자 풀 때 가장 많이 늘었던 거 같아요!! (역학) 강대 수업 물리는 거의 쌩까서요.. 허허,, 비역학은 정말 습관으로 푸는 영역이라 연습량~속도, 정확도 이고 역학은 공식에 매몰되지 읺고 상황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의식적으로 하는 게 중요해요! 게시물로 한 번 정리해서 올릴테니까 봐주세요 ㅎㅎ
감사합니당 ㅎㅎ
물리 관련 칼럼 자주 올려주세용 ㅠ
최대한 빨리 올려볼게요 ㅎㅎ
감사합니다 !
물1 찍맞 하나도 없이 만점이신가요?.. 만약 그런거면 실력이 어느정도이신건지 감이 안오네여..ㄷㄷ
찍맞은 없고 18번에서 좀 절어서 3분 정도 밖에 안 남앗엇습니다,, (9평은 15분이었던 거 생각하면 수능이 훨 어려웟고 부담감이 정말 큰 영향이더라고요..) 저는 물2했었어서 수월했던 거 같습니다..! ㅎㅎ
와.. 사람이 시간 안에 다 풀수있는 시험지긴 했나보군요. 혹시 공부법 간략하게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ㅠㅜ
비역학은 정말 말도 안되게 익숙해지려고 삼일 동안 서바랑 서바 알파 2021 24회씩 총 48회 미침듯이 풀어재끼니까 그 삼일 이후는 할 필요가 없게 됐었고(개념공부 한 이후), 킬러는 위에서 말씀드렷다시피 공식 거의 안 쓰고, 모두 평균속도와 상대속도로 잘 생각해서 풀엇엇습니다. 18번 유형의 전자기 문제는 두 가지 다른 상황의 변화량을 이용햇고요. 아마 모르는 상태시면 전달이 안될 거 같아 나중에 제가 물리 게시물 한 번 써볼게요..! 하여간 빠른 시간에 엄청난 양치기로 각인시킨게 거의 6개월 갓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삼다!!!!!
배기범쌤과 방인혁쌤의 차이점이나 장단점같은거 알려주실 수 있나요?
배기범 쌤이랑 방인혁 쌤 차이는 OT만 들어도 빡 오실 거에요 간략히 말하자면, 방인혁 쌤은 무리한 풀이 없이 묵묵히 풀되 일관된 풀이로 풀으시고, 기범 쌤은 작년에 본인의 모의고사로 현란함의 정점을 찍으셨습니다. 전 방인혁 쌤 쪽에 가까웠어요!
작년 물2 46 올해 물2 44 맞고 지방의 수시로 붙은 상황인데요 삼반수 하고 싶은데 물1 돌리면 편하게 공부하나요?
솔직히 이 정도 공부량으로 만점 받으면 적폐다 할 정도로 쉬웠어요. 내용이 겹친다기보다는 물2 계산하다 물1 계산하면 너무 행복해져요.. ㅎ
ㅋㅋㅋ물2는 악마의 과목인 것인가요

미친 계산량과 그걸 눈으로 푸는 괴물들의 향연입니다..! ㅎㅎ.. ㅜㅜㅜ형님, 올해 고3이고 내신으로는 물화생을 들었습니다.
물리를 좋아해서 이를 선택과목으로 정했으나 나머지 한개를 고르기가 힘들어 여쭈어봅니다.
(형님께서 물리를 고르셨으니 뭔가 잘 아실 것 같아서요)
내신으로는 지구과학을 안해서 화학 아님 생물을 할 것 같은데, 화학은 킬러 4문제를 도저히 20분 안에 못 풀 것 같고, 생물은 저는 잘 모르겠는데 사람들이 유전 푸는게 그렇게 괴랄하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질문을 요약하자면
1. 물리랑 화학을 선택하면 수학,물리,화학 전부 계산 문제들이여서 공부하는데 지치지는 않나요?
2. 사람들이 지구과학 표점이 높고 꿀과목이라고하는데 내신 때 안했는데 선택할 만큼 메리트가 있나요?
3. 형님이 현역으로 돌아간다면 물리랑 어떤 과목을 선택하셨을건가요?
응원할게요 ㅎㅎ :)
1. 물화의 가장 큰 문제는 30분이 아니라 1시간 동안 계산만 해여 한단겁니다. 피곤함이 꽤 커요,, 화학만 볼 때는 잘 나와도 붙이면 망할 때가 잇어서 항상 둘이 붙여서 한 시간짜리로 연습해야 해요
2,3 물지가 ㄹㅇ 꿀입니다. 지구과학에서 인과관계나 암기로 해야할 부분이 물리를 한 사람이면 저절로 이해가 되거든요. 그리고 한 과목이 계산 없다는 거 자체로 부담이 엄청 줄어요. 물지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은 네 개 중 두개 조합이라 생각해요..! 저도 만약 수능 한 번 더 봐야 한다면 물1 지2 생각중입니다….!
추가적으로 질문하겠습니다.
1. 형님은 내신때 과학 뭐 선택하셨나요?
2. 생물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생물은 고려해보신적이 없나요?
3. 사람들이 화학 표점이 낮다고 하는데 이점도 중요한가요? 개인적으로는 화학에 조금씩 마음이 가고 있어서요...
1. 물화생은 1 다 햇고, 물2지2 햇습니다 화2샐2도 해본적은 잇고 지2 공부하느라 지1도 하게 되서 다 해봣어요;;
2. 생명은 유전 이상해질 때쯤 고민해서 버렷네요ㅜㅜ 생명이랑 화학이랑 공통점이 비킬러는 슥슥 풀리는데 킬러가 너무 어려워서 시간 배분이 굉장히 비대칭적입니다 (예시: 화학 1~18번까지 13분, 19,20번을 12분) 이게 장점이 될 수도 단점이 될 수도 잇죠 3번이 그 답입니다.
3. 표점이 낮은 이유가 이번 시험 때문만이 아니라 1~18번을 그냥 30분동안 풀어버리면 너무 쉬운 시험입니다. 그리고 19,20 한 번호로 밀면 1등급 나오고요. 그러니 표점이 낮을 수 밖에요.. 시험 구조상 문제에요. 화학이 생명보다 그게 심합니다,,
서울대 아니라 수도권 의대 가실거면 어차피 변표라서 만점 받으면 다 아무 문제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