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are독존 [1055336] · MS 2021 · 쪽지

2021-12-23 13:56:22
조회수 2,775

물리 21 4등급—> 22 만점 질받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118582

 국어만 하니 노이로제 걸리네여 간단히 QnA


함정은.. 21 수능은 물2…! 


18번 그림 오류 때문에 검산했다가 18,19,20 와르르..


(42점 물2는 4등급입니다 허허)


생2만큼 인원 많았으면 오류 인정되지 않았을까…?





rare-Apple rare-Oxford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Bilbo Baggins · 1074017 · 21/12/23 13:58 · MS 2021

    속도제곱은 음수 ㅋㅋㅋ

  • youare독존 · 1055336 · 21/12/23 14:00 · MS 2021

    아니 답 내고 검산하다 속도 제곱이 음수..? 잉?
    정신차려보니 육 분 지났더라고요.. ㅎㅎ,,

  • 물리학강의 · 1089768 · 22/05/12 20:55 · MS 2021

    갑자기 뒷북이지만 검산 과정에서 속도 제곱 음수 어떻게 나왔는 지 알 수 있을까요...?? 수평면 아래로 내려간다밖에 안나와서요..!ㅠ

  • UR독존 · 1055336 · 22/05/12 22:39 · MS 2021

    그게 그 말이에요 수평면 아래로 안 내려가려면 속도 제곱이 음수라는 이상한 식이 나오거든요

  • 물리학강의 · 1089768 · 22/05/12 23:26 · MS 2021

    아아 구간에서 속도는 계속 같아야 되니까 에너지 감소 부분에서 퍼텐셜 초과만큼 운동에서 제곱이 음수로 되어서 감소해야 되는 거네요 ㄷ... 이게 오류가 아니었네

  • 강경물냉파 · 980937 · 21/12/23 14:11 · MS 2020

    22수능으로 물리도 난이도 많이 올랐다고 하는데 어떤 사람이 물리를 선택하는게 괜찮다고 생각하시나요?!

  • youare독존 · 1055336 · 21/12/23 14:17 · MS 2021

    물리가 식이 많은 계산 과목이라고 생각을 많이 하시는데 계산 하기 전에 실제로 이렇게 공을 굴리면 어떻게 될까? 하고 생각해볼 수 있는 깡이 필요합니다.. 겁 먹을 거 같으면 사절이에요,, 그리고 물리를 떠나서 과탐은 자기가 재밌어 할 수 있는 과목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라그랑지안 · 812222 · 21/12/23 14:33 · MS 2018

    어떻게 공을 굴리는지 생각하는 연습은 어떻게 하면 되는지 궁금해요
    이번에 물2 48이긴 한데 올해내내 시간부족에 시달려서요

  • youare독존 · 1055336 · 21/12/23 15:07 · MS 2021

    저 같은 경우에는 역학은 거의 다 맞아서 포물선 먼저 풀고 그랬는데, 포물선 수평도달거리 수직 높아 그런 거 공식 전혀 안 외웠었습니다. 포물선 운동하다가 빗면에 충돌하는 문제라고 하면 이 각도로 충돌하면, 수직으로 튀어나오겠네? 여기서 운동량 쓰고 최고 높이꺼진 평균속도로 구해서 거리재고 요딴식이랄까요..?

  • youare독존 · 1055336 · 21/12/23 15:08 · MS 2021 (수정됨)

    문제가 있으면 좋은데 말로 하기는 어렵네요 ㅜㅜ 일단 머릿속으로 어떻게 움직이는지 시뮬레이션 해보고 그 후에 문제를 푼다고 보시면 될 거 같아요:) 특히 돌림힘은 언제 힘이 0될지 많이 생각해보는 연습을 가지면 속도가 엄청 빨라집니다..!

  • 라그랑지안 · 812222 · 21/12/23 15:11 · MS 2018

    문제의 역학적 과정을 시뮬레이션 하면서 그때 그때 필요한 물리량을 그 시점에 갖고 있는 정보를 이용해 최적의 방법으로 구한다.. 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한번 해볼게요 ㅎㅎㅎ 감사합니다

  • youare독존 · 1055336 · 21/12/23 15:12 · MS 2021

    오히려 저보다 정리를 잘하셨네요..! 물리 화이팅
  • 재수해서Sorry · 1046449 · 21/12/23 17:44 · MS 2021

    22수능도 물2하신건가여?

  • youare독존 · 1055336 · 21/12/23 18:23 · MS 2021

    22는 물1이요ㅠㅠ 표점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도망왔네요,,

  • lokid · 767110 · 21/12/24 02:03 · MS 2017

    물리에서 가장중요하다 생각하시는건 뭐라 생각하시나요?? 공부태도측면이나 문풀측면이나 개념공부할때?.. 글고 현강들으신건가용

  • youare독존 · 1055336 · 21/12/24 09:03 · MS 2021

    물1은 2년 만에 공부한건데 물1은 파이널렉쳐? 라는 전자책으로 혼자 풀 때 가장 많이 늘었던 거 같아요!! (역학) 강대 수업 물리는 거의 쌩까서요.. 허허,, 비역학은 정말 습관으로 푸는 영역이라 연습량~속도, 정확도 이고 역학은 공식에 매몰되지 읺고 상황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의식적으로 하는 게 중요해요! 게시물로 한 번 정리해서 올릴테니까 봐주세요 ㅎㅎ

  • lokid · 767110 · 21/12/24 10:36 · MS 2017

    감사합니당 ㅎㅎ

  • 뉴런가격인하좀 · 923392 · 21/12/26 15:18 · MS 2019

    물리 관련 칼럼 자주 올려주세용 ㅠ

  • youare독존 · 1055336 · 21/12/26 15:30 · MS 2021

    최대한 빨리 올려볼게요 ㅎㅎ

  • 뉴런가격인하좀 · 923392 · 21/12/26 16:14 · MS 2019

    감사합니다 !

  • asdfjkslf · 1088126 · 21/12/26 21:41 · MS 2021

    물1 찍맞 하나도 없이 만점이신가요?.. 만약 그런거면 실력이 어느정도이신건지 감이 안오네여..ㄷㄷ

  • youare독존 · 1055336 · 21/12/26 21:43 · MS 2021

    찍맞은 없고 18번에서 좀 절어서 3분 정도 밖에 안 남앗엇습니다,, (9평은 15분이었던 거 생각하면 수능이 훨 어려웟고 부담감이 정말 큰 영향이더라고요..) 저는 물2했었어서 수월했던 거 같습니다..! ㅎㅎ

  • asdfjkslf · 1088126 · 21/12/26 21:47 · MS 2021

    와.. 사람이 시간 안에 다 풀수있는 시험지긴 했나보군요. 혹시 공부법 간략하게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ㅠㅜ

  • youare독존 · 1055336 · 21/12/26 21:53 · MS 2021

    비역학은 정말 말도 안되게 익숙해지려고 삼일 동안 서바랑 서바 알파 2021 24회씩 총 48회 미침듯이 풀어재끼니까 그 삼일 이후는 할 필요가 없게 됐었고(개념공부 한 이후), 킬러는 위에서 말씀드렷다시피 공식 거의 안 쓰고, 모두 평균속도와 상대속도로 잘 생각해서 풀엇엇습니다. 18번 유형의 전자기 문제는 두 가지 다른 상황의 변화량을 이용햇고요. 아마 모르는 상태시면 전달이 안될 거 같아 나중에 제가 물리 게시물 한 번 써볼게요..! 하여간 빠른 시간에 엄청난 양치기로 각인시킨게 거의 6개월 갓다고 보시면 됩니다!

  • asdfjkslf · 1088126 · 21/12/26 22:08 · MS 2021

    감삼다!!!!!

  • Pathfinder · 1095673 · 21/12/27 00:47 · MS 2021

    배기범쌤과 방인혁쌤의 차이점이나 장단점같은거 알려주실 수 있나요?

  • youare독존 · 1055336 · 21/12/27 08:22 · MS 2021

    배기범 쌤이랑 방인혁 쌤 차이는 OT만 들어도 빡 오실 거에요 간략히 말하자면, 방인혁 쌤은 무리한 풀이 없이 묵묵히 풀되 일관된 풀이로 풀으시고, 기범 쌤은 작년에 본인의 모의고사로 현란함의 정점을 찍으셨습니다. 전 방인혁 쌤 쪽에 가까웠어요!

  • 이게나야 빠둠빠두비두바 · 966141 · 21/12/27 08:10 · MS 2020

    작년 물2 46 올해 물2 44 맞고 지방의 수시로 붙은 상황인데요 삼반수 하고 싶은데 물1 돌리면 편하게 공부하나요?

  • youare독존 · 1055336 · 21/12/27 08:23 · MS 2021

    솔직히 이 정도 공부량으로 만점 받으면 적폐다 할 정도로 쉬웠어요. 내용이 겹친다기보다는 물2 계산하다 물1 계산하면 너무 행복해져요.. ㅎ

  • 이게나야 빠둠빠두비두바 · 966141 · 21/12/28 05:48 · MS 2020

    ㅋㅋㅋ물2는 악마의 과목인 것인가요

  • youare독존 · 1055336 · 21/12/28 09:28 · MS 2021

    미친 계산량과 그걸 눈으로 푸는 괴물들의 향연입니다..! ㅎㅎ.. ㅜㅜㅜ
  • 의대가고파 · 1023374 · 22/01/06 21:55 · MS 2020

    형님, 올해 고3이고 내신으로는 물화생을 들었습니다.
    물리를 좋아해서 이를 선택과목으로 정했으나 나머지 한개를 고르기가 힘들어 여쭈어봅니다.
    (형님께서 물리를 고르셨으니 뭔가 잘 아실 것 같아서요)
    내신으로는 지구과학을 안해서 화학 아님 생물을 할 것 같은데, 화학은 킬러 4문제를 도저히 20분 안에 못 풀 것 같고, 생물은 저는 잘 모르겠는데 사람들이 유전 푸는게 그렇게 괴랄하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질문을 요약하자면
    1. 물리랑 화학을 선택하면 수학,물리,화학 전부 계산 문제들이여서 공부하는데 지치지는 않나요?
    2. 사람들이 지구과학 표점이 높고 꿀과목이라고하는데 내신 때 안했는데 선택할 만큼 메리트가 있나요?
    3. 형님이 현역으로 돌아간다면 물리랑 어떤 과목을 선택하셨을건가요?

  • youare독존 · 1055336 · 22/01/06 21:59 · MS 2021

    응원할게요 ㅎㅎ :)

  • youare독존 · 1055336 · 22/01/06 21:58 · MS 2021

    1. 물화의 가장 큰 문제는 30분이 아니라 1시간 동안 계산만 해여 한단겁니다. 피곤함이 꽤 커요,, 화학만 볼 때는 잘 나와도 붙이면 망할 때가 잇어서 항상 둘이 붙여서 한 시간짜리로 연습해야 해요

    2,3 물지가 ㄹㅇ 꿀입니다. 지구과학에서 인과관계나 암기로 해야할 부분이 물리를 한 사람이면 저절로 이해가 되거든요. 그리고 한 과목이 계산 없다는 거 자체로 부담이 엄청 줄어요. 물지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은 네 개 중 두개 조합이라 생각해요..! 저도 만약 수능 한 번 더 봐야 한다면 물1 지2 생각중입니다….!

  • 의대가고파 · 1023374 · 22/01/06 22:14 · MS 2020 (수정됨)

    추가적으로 질문하겠습니다.
    1. 형님은 내신때 과학 뭐 선택하셨나요?
    2. 생물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생물은 고려해보신적이 없나요?
    3. 사람들이 화학 표점이 낮다고 하는데 이점도 중요한가요? 개인적으로는 화학에 조금씩 마음이 가고 있어서요...

  • youare독존 · 1055336 · 22/01/06 22:40 · MS 2021

    1. 물화생은 1 다 햇고, 물2지2 햇습니다 화2샐2도 해본적은 잇고 지2 공부하느라 지1도 하게 되서 다 해봣어요;;
    2. 생명은 유전 이상해질 때쯤 고민해서 버렷네요ㅜㅜ 생명이랑 화학이랑 공통점이 비킬러는 슥슥 풀리는데 킬러가 너무 어려워서 시간 배분이 굉장히 비대칭적입니다 (예시: 화학 1~18번까지 13분, 19,20번을 12분) 이게 장점이 될 수도 단점이 될 수도 잇죠 3번이 그 답입니다.
    3. 표점이 낮은 이유가 이번 시험 때문만이 아니라 1~18번을 그냥 30분동안 풀어버리면 너무 쉬운 시험입니다. 그리고 19,20 한 번호로 밀면 1등급 나오고요. 그러니 표점이 낮을 수 밖에요.. 시험 구조상 문제에요. 화학이 생명보다 그게 심합니다,,

  • youare독존 · 1055336 · 22/01/06 22:40 · MS 2021

    서울대 아니라 수도권 의대 가실거면 어차피 변표라서 만점 받으면 다 아무 문제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