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과 어떤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113736
학부모입니다. 저희 애가 천문학과 가고 싶다 하고, 저는 전망 없을 듯하여 반대하고 있는데, 어떤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킹림도없지 문학에서 벅벅ㅋㅋ
-
. .ㅈ
-
제가 밑줄 친 부분..
-
뭐가 맛있냐 이거야 (+선물용도 추천좀)
-
뿌엥...
-
죽음을 꿈꾸지 말아라 그것은 허무이며 살아갈 그대가 꿈꿀 것이 아니다 죽음을 입에...
-
수학 기출 0
고3포함 기출 거의 4회독째... 기출문제에있는 수1수2는 조금만 생각하면 다...
-
N제 0
N제 찍먹 하려는데 뭐할까요?
-
5선 조정식, 국회의장 출마 선언 “尹정권 맞서 민주주의 지킬 것” 1
더불어민주당 조정식 의원이 15일 당내에서는 처음으로 21대 국회의장 출마를 공식...
-
강기원 드랍할까 6
넘무 힘드노,,
-
수능장에서 저런애매한걸 고민할 이유가 없지
-
학교 빠질 수 있냐? 학교에 있는 것보다 하루종일 스카에 있는 게 더 좋은 것...
-
가형 30번도 공부해야 될까요??? 목표는 미적분 96이상
-
한입먹었는데벌써질림
-
그래서 싸는중
-
에피 D-4 0
두근두근두근
-
그 강사 레전드 6
ㄷㄷㄷ
-
갸루피스 8
짠 펑
-
평가원은 “의도적으로” 지난기출 연계를 해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논리구조를...
-
ㄱ을 판단하려면 2d에서 경로차보다 3d에서 경로차가 더 크다는 걸 알아야 하는데...
-
... 1
꿈에서도 죽는 생각밖에 안하네... 진짜 너무 힘들다
-
오르비는안할거임
-
모의고사 2022학년도 3월 대비 MC THE MATH 모의고사 (무료 배포)...
-
오겠죠?
-
해방후 유교국 조선.대한제국 최고대학 지위는 성균관대로 계승,제사(석전)는...
-
검색어엔 뜨는데 관련 글이 제 글밖에 없어서 슬픕니다ㅠ 좋은 문제들 진짜 많으니...
-
방인혁t 6야 작년에 반수반인데 개념만 나간다고 불만이 있던걸로 알고 저는 현역으로...
-
다들 뉴런.. 0
다들 뉴런들으심? 재수학원 절반이 뉴런이네.. 나만 다른쌤듣나 ㅎㅎ
-
삼수하고싶다 2
삼수
-
보기) 화자는 외부와 단절한 채 내면에 몰입한다. 2번 선지) 화자가 외부와의...
-
생윤 정법 경제 8
시발 뭐하지 일단 사문은 고정임 셋다한번도해본적없음 지금까지국수파느라 사탐안함
-
수학 딱대라ㅋㅋ
-
여친구해요 7
여소좀해주세요
-
이게 벌써 ㄷㄷ
-
현생 자극 영상 1
-
ㅈㄱㄴ
-
개띵작
-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가 옳음.한나라이후 세계종교로 동아시아의 정신적 지주로...
-
누가 그랬는데 연애하면 감정기복 존나 오르락내리락해서 이게 공부에 악영향 끼친다고...
-
호가든 로제는 못참지..
-
지난 글: 영포자인 내가 중3 겨울방학 때 영어를 시작하여 독서실과 스파르타...
-
성년의날 선물 받음
-
1인당 1억원 쯤이야…럭셔리 투어 한국行, 이유 알고봤더니… 1
해외 '럭셔리' 관광객들의 한국 나들이 16일 브라질 관광객 47명 전세기로 입국...
-
커피 빼고 음료수 위주로 추천해줘요! 맨날 자몽허니 블랙티만 먹는데 딴거도 시도할래~~
-
작년에 듣길 잘했네
-
알코올이 5%인 물도 존재하지 아늘가?
-
7H추
-
계명 단국 >>>>>>>> 나머지 잡대다 아이들!아이들!
솔직히 전망이란건 아무도 모르는거 아닐까요?
순수학문이죠
먹고 살기 위해 가는 과는 아니죠 이거 읽어보세요
https://gall.dcinside.com/m/physics2/9185
전망없음 ㅇㅈ
솔직히 ㄹㅇ 전망없는거 아실듯.. 먹고살 수 있는 데로 가요
통계학쪽으로 취업이 된다고 합니다
제 큰 애가 이과라서, 전공 관련해서 몇 년 전에 여러 가지로 검토하고 고민해 본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천문학과의 선택에서는 좀더 진지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별을 좋아하고 우주의 탄생과 별의 소멸 등의 이야기에 매력을 느끼며 상상 속에서 우주여행을 하면서, 천문학과를 한번쯤 생각해 보는 수험생들이 일부 있는 듯합니다. 그리고 천문학과가 동일 대학의 이과계열 학과 중에서 낮은 편에 속하다 보니, B대학 공대의 인기학과 대신에 A대학의 천문학과를 가면 학교 레벨을 한 단계 올릴 수 있다는 생각 때문에도 고려해 보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지원을 할 때에는 더 신중해져야 합니다.
우선 천문학과는 별자리 공부하는 학과가 아닙니다. 요즘은 전공자들조차도 천문대의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컴퓨터로 데이터를 받아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수학계산으로 날새는 곳입니다. 천문학과 희망학생들의 대부분은 천문학과에서 무엇을 공부하는지 잘 모른 채로 지원합니다.
가장 중요한 점이, 졸업 후에 진출할 자리 즉 일자리가 현저히 부족하다는 겁니다. 현실 사회에서 그 공부가 쓸모가 없다는 거지요. 심지어 천문학과 진학하겠다면서 미국 유학가서 나사 취직하면 되지 않느냐는 학생도 보았는데, 천문학과와 NASA는 거의 관계가 없습니다. 나사와 관계있는 학과는 항공우주공학과 같은 것인데, 이는 기계공학과의 일부라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나사에서는 외국인은 거의 받아주지 않습니다.
또한 상위레벨 대학으로 일단 입학해서 거기서 전과나 복수전공 하면 되지 않느냐는 의견도 본 적 있는데, 요즘 복수전공이 과거보다 쉬워졌다 해도 실제로는 이게 절대 쉬운 것이 아닙니다. 먼저 전과를 보면, 인기과에는 자리가 안 납니다. 복수전공도 어렵습니다. 인기과의 복수전공은 경쟁이 너무 치열하고, 경쟁에 이겨서 복전에 들어가는 학생들의 GPA는 상상 초월입니다. 또 천문학과에 입학한 후에, 무엇을 배우는지 그리고 졸업후 전망 등을 뒤늦게 알게 된 학생이 반수 같은 것을 시도하다가 학점 말아먹고 복전 시도에서 처참하게 실패하는 경우도 많이 보았습니다. 요컨대, 애초부터 확실하게 자기가 평생 가져갈 전공을 붙들지 않으면 인생이 참 힘들어집니다. 몇 년 전에 고민했던 사항이라서, 옛 생각이 나서 답글 달아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