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타냥 [412347] · MS 2012 (수정됨) · 쪽지

2021-12-20 19:35:49
조회수 3,978

서울대 경제15 질문받습니당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003369




안녕하세요! 저는 95년생으로 재수해서 서울대학교 사회과학계열에 들어갔고, 2학년때 경제학부로 진입한 15학번입니다.

돌아오는 2월에 졸업하고 사회로 나가게 되는데, 올해 수능에서 이것저것 사건 터진걸 뉴스로 보다가 문뜩 생각나서 오르비에 접속하게 되었습니다.



전역 이후 공립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멘토링을 많이 나갔었는데, 학생들이 생각하는 대학생활-전공과 현실이 많이 다르더라고요. 나아가 커리어나 학계 같은 향후 진로에 대해선 저학년 대학생 분들도 아직 잘 모르시는 부분이 많아서 그런쪽 질문 있으시면 답변 드리려고 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저는 수능본지는 꽤 되어서 입시 관련 대답은 못 드릴거 같고, 전반적인 공부방법, 진로, 대학생활, 대학별 분위기(?)와 같은 질문 주시면 답변드릴게요! 이제 막 대학 입학하시는 분들도 질문 주시면 대학생활 마무리하는 입장에서 조언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 정보라면


1) 자사고 출신


2) 강남대성에서 재수


3) 대학 학생회, 연극 동아리, 경제경영 학회 활동


4) CC 두 번


5) 10년간자취



이정도 있겠네요. 잘 아는 전공은 경제(주전공), 경영(직업이 이쪽), 의류(부전공), 농경제(가까운 학과), 심리(친구들이 대부분 심리학과), 정외(정치외교학부 소속 연극 동아리 활동), 지리(전 여자친구 전공) 정도인데, 이쪽 전공 희망하시는 분께는 양질의 정보 드릴 수 았을 것 같습니당



ps. 귀찮아서 인증은 안올렸는데, 제 이전 작성글 보면 15년 수능 성적이 있을거이욥. 혹시 인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신다면 학생증 인증은 바로 해드릴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희스희희 · 969527 · 21/12/20 19:36 · MS 2020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달타냥 · 412347 · 21/12/20 19:38 · MS 2012

    고학번 우러욧 ㅠ.ㅠ

  • 나희스희희 · 969527 · 21/12/20 19:41 · MS 2020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달타냥 · 412347 · 21/12/20 19:43 · MS 2012

    사회대는 전공 진입이 자유라서 27학점만 채우면 아무곳이나 다 들어갈 수 있었어요! 저도 그때 학점평균 2.7? 대충 이정도로 진입했던거 같네요

  • 나희스희희 · 969527 · 21/12/20 19:44 · MS 2020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25873 · 1086127 · 21/12/20 19:37 · MS 2021

    아이민 40만대시네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19:38 · MS 2012

    100만대시네요;;

  • 25873 · 1086127 · 21/12/20 19:39 · MS 2021

    하....ㅠ 꼭 내년에 후배 될 수 있게 칼갈고 해볼게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19:41 · MS 2012

    ㅎㅇㅌㅎㅇㅌ 재수반수 안된다는 말 많아도 될 사람은 다 되더라고요

  • 전자망원경 · 1010271 · 21/12/20 19:38 · MS 2020

    의류 부전은 학문적 흥미로 하신건가요 관련 취업 노리신건가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19:39 · MS 2012

    개인적으로 패션에 관심이 많아서 했습니다! CPA 봐서 경제학을 많이 공부할 필요가 없었는데, 학점 뭘로 채우지 하다가 평소 궁금했던 의류로 결정했어요.

  • Requiem · 1091739 · 21/12/20 19:41 · MS 2021

    한국사 상평 시절엔 인문은 2학년 때 과선택이었나 보네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19:43 · MS 2012

    넵 수시는 1학년 때부터 과 선택해서 입학하고 정시는 무조건 계열(ex. 사회과학계열, 인문계열)로만 입학할 수 있었어요

  • Requiem · 1091739 · 21/12/20 19:44 · MS 2021 (수정됨)

    되게 신기하네요. 자전의 시초인 거군요

  • 받아드리다 · 721577 · 21/12/20 19:47 · MS 2016

    17학년부터 사회대만 개별과로 뽑고 인문대는 여전히 광역으로 뽑습니당

  • 의치보내죠라 · 1079584 · 21/12/20 19:41 · MS 2021

    Cpa 합격하신건가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19:44 · MS 2012

    넵 그쪽으로 나가게되었습니다

  • 의치보내죠라 · 1079584 · 21/12/20 19:44 · MS 2021

    와 공부 얼마나 하셨나요?? 학부때부터 공부 하신거에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19:47 · MS 2012

    친구들 보면 보통 학교서 회계원리, 재무관리 정도만 듣고 3학기 스트레이트로 휴학 때리고 시험 보더라고요. 저는 아예 노베이스로 진입해서 한 학기 휴학하고 하다가 중도포기하고 학교 다니면서 병행했어요

  • 의치보내죠라 · 1079584 · 21/12/20 19:48 · MS 2021

    어쨌거나 학부 졸업전에 끝내신가에요? 그러면 휴학포함 몇년정도인가요?? 그리고 cpa쪽을 준비하게 된다면 경영학과가 맞나요 경제학과가 맞나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19:52 · MS 2012

    저도 그렇고 대부분 졸업하기 전에 끝내고 졸업해요! 시험 붙고 나서 학교 다니면 거의 신선 느낌이거든요ㅋㅋㅋ 저는 휴학 포함 2년반인데 대부분 이 정도 걸리는거 같아요. CPA 관심 있으시면 경영학과 강력 추천입니다!

  • 난무조건74기 · 1060328 · 21/12/20 19:44 · MS 2021

    경제학과 학생들은 cpa준비외에 주로 어느쪽으로 진출하려고 하나요?
    또 경제학이랑 통계학을 복수전공할시에 유리한점에대해 알고계시는지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19:50 · MS 2012

    금융공기업, 로스쿨, 증권사, 은행, cpa 정도 많이 가는 것 같아요. 가장 잘된 친구들은 바로 사모펀드, 컨설팅펌 가는데 살짝 넘사벽 느낌이긴 해요

    경제학 통계학 복전은 음.. 목적하시는 바에 따라 다를것 같아요. 통계학은 사실 어느 전공이 들어도 크게 도움이 될텐데, 계량경제학을 안쓰는 진로에는 별 의미가 없거든요. 대학원 가실가면 엄청 도움되긴 할거에요.

  • 난무조건74기 · 1060328 · 21/12/20 19:52 · MS 2021

    감사합니다! 혹시 cpa는 경영학과, 경제학과 둘 중에 어느학과가 유리한지 알고계신가요? 금융공기업도 두개 과중에 어디가 더 유리한지 아예 몰라서..

  • 달타냥 · 412347 · 21/12/20 19:53 · MS 2012

    CPA 금공 모두 경영이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CPA 수험과목과 경영학 학사과정이 겹치는 부분이 많고, 금공도 경제직렬보다 경영직렬이 난이도가 훨씬 낮아요. 대신 금공마다 다르긴 하지만, 입사 후에 경제직렬 출신에게 승진 가산점을 주는 경향은 있다고 해요.

  • 받아드리다 · 721577 · 21/12/20 19:44 · MS 2016

    모국하셨어요 모유하셨어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19:45 · MS 2012

    관악민국~

  • 받아드리다 · 721577 · 21/12/20 19:45 · MS 2016

    ㄱㅇㅁㄱ~ ㅁㅇㄱㅎ~

  • No.99 Aaron Judge · 919199 · 21/12/20 19:45 · MS 2019

    이번에 수능을 평소보다 많이 조져서 중경외시 상경..을 갈것같은데..
    1. 선생님께서 생각하시는 서성한 입결낮은과&하지만 내가 관심있는 학문 배우는 과 vs 중경외시 상경이면 어떤 게 좀 더 나을까요..?
    2. 문과가 다들 힘들다지만 그래도 상경이면 타학과보다 좀 더 나은 점이 있을까요..? 개인이 열심히 하면 취뽀 잘 할수 있을까요..? 요즘 하도 취업 시장이 얼어붙었다는 말이 많이 나와서 솔직히 걱정은 되네요...
    3. 경영/경제에서 친화력이나 인싸력? 같은게 많이 필요한가요? 저는 개인적으로 제가 특별히 외향적이거나 내향적이거나 하지는 않고 그냥 평범한 수준이라고 생각하는데, 과 생활이나 이후 취업시장에서 어떨지...
    감사합니다! 뭔가 여쭤보고 싶은게 많은데 지금 생각나는건 이정도밖에 없네요 ㅋㅋㅋ...

  • 달타냥 · 412347 · 21/12/20 19:59 · MS 2012

    1. 저는 상경 추천드립니다. 12학년 때는 별로 못 느끼실텐데 취준할때 상경과 비상경 격차가 너무 커요. 아니면 타협점으로 서강대 낮은 학과 찾아보세요. 요즘엔 어떤지 정확히 모르겠는데, 19학번까지는 서강대에서 복수전공이 엄청 자유로웠거든요. 제 친척 동생이 서강대 국어국문으로 들어가서 경영 복전했어요.

    2. 상경이 좋긴한데 취업시장 진짜 말도 안되는 수준이긴해요. 서울대 상경이 느끼기에도 이러면 다른 대학은 더 심할거라서 좀 끔찍하네요. 다만 공기업은 완전히 블라인드 채용이라 학벌 전공이 큰 상관없긴합니다.

    3. 저희 학교나 제 고등학교 친구들 대학 기준으로는 경제는 도서관에서 혼자 공부하는 안경 쓴 애들, 경영은 팀플 많이하고 술자리 재밌는 인싸들 느낌이긴 해요...!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행정고시 준비하실게 아니면 경영학과가 경제학과의 상위호환이라고 생각합니당

  • No.99 Aaron Judge · 919199 · 21/12/20 20:00 · MS 2019 (수정됨)

    조언 감사합니다 ㅎㅎ

  • Casss9 · 979677 · 21/12/20 19:51 · MS 2020

    Cpa합격하고 회계사 말고 따른 진로도 있나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20:00 · MS 2012

    증권사, 금공, 은행, 로스쿨 등 공인회계사 자격증에 가산점 주는 곳은 많아요. 그래도 대부분은 커리어 시작을 회계법인에서 시작하는 것 같네요

  • 의치보내죠라 · 1079584 · 21/12/20 19:58 · MS 2021

    마지막으로 몇개만 더 여쭙겠습니다! 이게 만약 cpa를 합격한다면 회계사 쪽으로 진로가 가닥이 잡히는 건데 만약 그 대신에 해외유학으로 mba학위를 딴다면 이 이후의 진로에 대해 아시는바 있을까요??

    그리고 수능 +1수 해서 의대 도전하기와 경영학부 진학후 cpa 도전하기 중에 어느것이 절대적인 난이도나 노력면에서 더 가성비가ㅡ좋다 생각하시나요? CPA도 말이 좋아 다들 cpacpa하지 사실 합격 하려면 최소 2년 하루 14시간 이상 순공을 해야한다던데 이게 맞나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20:10 · MS 2012 (수정됨)

    그 이후는 저도 경험해본적 없고 가까운 지인이 없어서 정확히는 모르겠어요! 다만 홈커밍때 뵀던 선배들 통해서나 연구실 인턴하면서 간접적으로 들은 내용 말씀드릴게요. 회계사가 mba 유학 가려면 적어도 4-5년차 시니어는 되야하며, 2-3년 정도 외국 나갔다 돌아오면 국내에서는 기업 사외이사나 사모펀드, 투자은행쪽 진로를 생각해볼 수 있는걸로 알고 있어요. 다만 이쪽은 sky 출신 회계사 중에서도 잘나가는 사람이 걷는 진로인 만큼 함부로 재단하기 어렵네요.

    만약에 저한테 20살로 되돌아갈 수 있다고 하면 저는 의대갑니다. 의사라는 전문직의 메리트가 엄청 크고, 초고령화 시대 때문에 이민을 고려해야되는데 의사가 회계사보다 이민가기 훨씬 쉬워서요. 대신 난이도적인 측면에 있어선 CPA가 훨씬 쉽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소감으로는 문과수능으로 SKY가는 것보다 CPA합격이 더 쉬워요. 남자시면 1학년때 회계원리 재무관리 정도 들어두고 군대가서 cpa 공부하고, 전역한 다음에 1년 정도 휴학하면 붙을 수 있지 않아 싶네용. 대충 2년반 동안 하루에 순공 6-8시간 정도만 하면 될거 같은데 이건 취준을 하던 고시 로스쿨을 준비하던 다들 비슷하게 열심히 하거든요.

  • 이미 사용중인 닉네임입니다. · 1085645 · 21/12/20 20:08 · MS 2021

    설경이 경영하고 경제 중에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20:11 · MS 2012

    입결은 경제가 높기 때문에 아무튼 경제입니다

  • ㅇㅇㅇㅇㅇㅇㅇ · 1068130 · 21/12/20 20:15 · MS 2021

    비상경 다니는데 경영 복전해서 cpa 붙는 경우도 꽤 있나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20:17 · MS 2012

    적지 않죠. cpa 자체가 천명 넘게 뽑는 시험이라 고시만큼 진입장벽이 높지 않습니당

  • whyshouldI? · 1026594 · 21/12/20 20:22 · MS 2020

    알반은 이름이 정말 귀여운거 같습니다
    과연 이번에 졸업식을 할까요ㅠ

  • 달타냥 · 412347 · 21/12/20 20:28 · MS 2012

    ㅜㅜ 학위복 사진으로 만족하렵니다

  • 두비바바 · 830506 · 21/12/20 20:25 · MS 2018

    금공준비 많이들 하나요? a매치위주만하는지 b도보는지 궁금합니당

  • 달타냥 · 412347 · 21/12/20 20:27 · MS 2012

    경제학부는 딱히 희망하는 진로 없을 때 그냥 금공이나 할까? 이런 느낌이이요. 서울대도 B매치 많습니다! 그래도 경영 경제는 대부분 A매치 준비하고 비상경분들이 B매치~쉬운A매치 이렇게 준비하시는거 같아요

  • 두비바바 · 830506 · 21/12/20 20:51 · MS 2018

    아 블라인드여도 서울대분들도 많이 준비 하시는군요ㄷㄷ

    저는 한양대경제이긴한데.. 지금 cpa랑 금공중에 뭘 준비할지 많이 고민이되더라구요

    cpa혹시 수험비용이 어느정도 나오셨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달타냥 · 412347 · 21/12/21 10:42 · MS 2012

    기본 생활비(ex. 자취방 월세, 식비 등)는 학교 다녀도 들어가는 비용이니깐 제외한다면 학원비용이랑 책값 정도만 고려하면 될 것 같아요. 저는 학원 안다니고 다 인강으로 해결했는데, 회계동아리라는 카페에서 공유자 구하면 반값으로 볼 수 있습니당. 많이 잡아도 대충 1,000만원 정도면 충분하고도 남지 않나 싶네요!

    금공 cpa 고민중이시면 cpa를 준비해보시고 안됐을때 금공으로 돌리는거 추천드려요. 경제 전공이셔서 살짝 애매하긴한데, cpa하다가 금공 경영직렬로 돌리면 난이도가 확 떨어지는 편이라서 할만합니다. a매치에서 한은, 산은 같은곳 써볼 수 있고(cpa 1.5차 수준 난이도), b매치에선 아마 신보가 경제 경영 세법 이렇게 3과목 볼텐데 cpa랑 아주 많이 겹쳐요.

  • 두비바바 · 830506 · 21/12/21 15:19 · MS 2018

    감사합니다 경제공부가 저랑 맞는거같은데 근본적으로 cpa를 도전해보고싶어서...

    혹시 시험 적성테스트로 전업으로 진입하기전에 먼저 들어보길 권하는 과목이 있으신가요? 아니면 이런거 필요없이 그냥 시작하고 엉덩이붙이는게 답인걸까요

  • 달타냥 · 412347 · 21/12/21 20:30 · MS 2012

    1차는 객관식이다 보니 공부량만 충분하면 무조건 붙을 수 있고, 2차를 붙을 수 있냐가 관건이에요. 2차 과목이 재무회계, 세무회계, 재무관리, 원가관리회계, 회계감사 이렇게 5과목인데, 회세감 3과목은 암기성이 강해서 적성 필요 없이 열심히만 하면 점수 오르더라고요. 적성이나 센스를 타는 과목이 재무관리랑 원가관리회계인데, 학교에서 이쪽 수업 열리면 한번 수강해보시는거 추천드릴게요!

  • 허경영 · 1067594 · 21/12/20 20:27 · MS 2021

    설의류에 관해서 여쭙고 싶은데요
    서울대 의류학과 나와서 의류 브랜드 론칭하려고 하는데
    이게 설의류라는 메리트가 작용할까요?
    세계 패션무대에서는 파슨스,csm 등등 쟁쟁한데 설의류가 영향력이 없자나요..
    설의류가 크게 마케팅/디자인/소재 3트랙으로 가는걸로 알고있는데 저는 디자인쪽에는 소질이 없어서 어차피 디자인스쿨 유학은 못가는데 마케팅,소재 이쪽 특화로 해서 설의류가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차라리 고경,연경 가는게 맞을까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20:32 · MS 2012

    외국에서 브랜드 런칭하실거면 유학을 가시는게 맞을거 같고, 국내에서 시작하길거라면 설의류 메리트가 없진 않아요. 서울대 의류학과 졸이면 제일모직 같은 기업 인턴이나 채용이 별일 없으면 되는데, 개인 브랜드 만들어보시기 전에 경험쌓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직접 디자인 하실게 아니라면 무조건 동업자가 있어야 될텐데, 그런 인맥 구하기에도 의류학 전공이 도움되지 않을까 싶네요. 또 의류학과는 학점 잘 주는 편이라서(열심히 한다는 가정하에) 주변에 상경 복전하는 친구들도 많았어요.

  • 허경영 · 1067594 · 21/12/20 20:35 · MS 2021

    아 답변 감사합니다!
    창업에 대해서도 여쭙고 싶은데요
    SNUSV나 기타 창업동아리를 통해 서울대학교 내에서 동기들과 함께 창업하고 싶은데
    인문계열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창업에 유리한 공대생 친구들과 창업팀을 꾸릴 수 있을까요? 어문계열 학생들이 설컴 친구들과 창업하는 이런 경우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20:42 · MS 2012

    그건 정말로 운수의 영역인 것 같아요...! 주변에 창업한 친구들 생각해보면 동업자 구하는데는 정석적인 루트가 없거든요. 동아리 같이했던 사람, 대학 동기, 군대 선임, 영어학원에서 만난 사람, 외부활동 같이 한 사람 등 진짜 다양한 루트가 있어서 동아리만으로 한정짓지 않으셔도 될거에요.

    그리고 공대생과 창업팀을 꾸릴 수 있냐에 대해서는 댓글 작성자분의 노력여부에 달려있을거에요. 창업팀은 구성원끼리 서로 '필요하기 때문에' 뭉쳐있는 상태거든요. 작성자분께서 공대생을 필요로 하는 것처럼 공대생 입장에서 필요할 것 같은 능력을 미리 함양해두면 도움 될거에요

  • 허경영 · 1067594 · 21/12/20 20:43 · MS 2021 (수정됨)

    네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앞으로 인생에 꽃길만 있길 기원하겠습니다^^

  • 역전의 논술러 스트라이퍼 · 954990 · 21/12/20 20:33 · MS 2020

    비상경 사회계에서 부전/복전 없이 시파 진입하기엔 많이 어려울까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20:36 · MS 2012

    저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해요. 다만 CPA에서 타고난 센스가 필요한 과목이 재무관리랑 원가관리회계인데, 학교에서 이 두 과목 수업 들어보고 결정하시면 도움 될 것 같습니다.

  • whyshouldI? · 1026594 · 21/12/20 21:03 · MS 2020

    그런 케이스 엄청많습니다

  • 김치찌개에흰쌀밥 · 811793 · 21/12/20 20:42 · MS 2018

    신입생 때도 경영경제 학회 들어갈 수 있나요? 테셋s급 회계관리1급만 보유하고있고 1학년때부터 cpa 준비하려고 하는데

  • 달타냥 · 412347 · 21/12/20 20:45 · MS 2012

    신입생 때는 절대 불가능합니다. 저는 경영경제 학회 두곳에서 리크루팅을 진행했는데, 3학년 미만 여학생이나 미필 남학생은 95% 서류에서 탈락이었어요. 테셋이나 회계관리가 대학생 수준에서 유의미한 자격증은 아니라 어필요소는 안될거에요. 그리고 경영경제학회는 로드가 엄청 많은편이라 cpa 같은 수험생활이랑 병행하기 어려워요...!

  • 김치찌개에흰쌀밥 · 811793 · 21/12/20 20:47 · MS 2018

    1.군수해서 군필이여도 안될까요
    2.어필요소 될만한 자격증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학회활동함으로써 얻는 이점들
    이 궁금합니다 !!

  • 달타냥 · 412347 · 21/12/20 21:42 · MS 2012

    1. 그래도 어려울것 같아요...! 저학년들은 학회활동에 필요한 지식이 없다는 인식이 있어서 2학년부터 지원해보시는걸 추천드릴게요
    2. 딱히 없습니다. 보통 CPA 일찍 딴 사람들이 경영학회 많이하는데, 학회용 자격증이라고 하기엔 넘 어려워서요ㅠㅠ 투운사나 신분사 정도 따면 관심은 있다 정도 어필할 수 있겠네요. 자격증보다 과에서 어떤 역할을 맡았는지(과대 등), 다른 동아리에서 얼마나 활동했는지, 전공 지식 및 관심정도 표현 같은 것들이 더 유의미해요
    3. 같은 진로를 희망하는 사람들과 친해질 수 있는게 가장 큰 장점인 것 같아요. 정보도 많이 얻고 스터디로 꾸리고 취업 후에도 꾸준히 교류할 수 있죠. 또 저희학교 같은 경우에는 학회마다 내려오는 인턴이 있어서 그런걸 물려받을 수도 있겠네요. 또한 학회활동이 로드가 많다보니 취준 자소서 쓸때 글감이 풍부해지기도 해요.

  • 김치찌개에흰쌀밥 · 811793 · 21/12/20 22:44 · MS 2018

    투운사 공부해봐야겠네요 자세한 설명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아댜니야여 · 888241 · 21/12/20 20:49 · MS 2019

    지리학과는 졸업후 진로가 어떻게 되나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21:44 · MS 2012

    순수지리학 분야로 나가는 사람들은 소수이고 대부분 다른 전공을 복부전해서 응용지리학쪽으로 취업하는 것 같아요. 관광, 환경, 지역개발(부동산 등) 쪽이 대표적인 진로입니다.

  • 일어나니 점심때 · 1024650 · 21/12/20 20:52 · MS 2020

    로스쿨이나 창업 쪽으로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는데 서울대 경영이나 경제 중에 어디 추천하시나요? 그리고 정외과 나오면 주로 뭐하는지도 궁금하네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21:46 · MS 2012

    경영입니다! 로스쿨은 비슷한데 창업쪽에서 경영 압승인 것 같네요. 정외과 친구들 보면 로스쿨이랑 행시/입시가 엄청 많고 기자도 꽤 있는편이에요. 일반 기업 준비하는 친구는 거의 못본것 같네요.

  • 대외문서 · 877588 · 21/12/20 21:18 · MS 2019

    설경제 나오면 대기업 프패인가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21:46 · MS 2012

    아니요 ㅠ.ㅠ 요즘 취업 어렵습니당,,,

  • 헬창​ · 919982 · 21/12/20 21:46 · MS 2019

    설경제에서 보통 어디로 가나요? 은행? 등등 어디로 빠지는지 궁금해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21:47 · MS 2012

    금융공기업, 로스쿨, 증권사, 시중은행, cpa 정도 많이 가는 것 같아요. 가장 잘된 친구들은 바로 사모펀드, 컨설팅펌 가는데 극소수고 살짝 넘사벽 느낌이죠

  • 헬창​ · 919982 · 21/12/20 21:48 · MS 2019

    금지어갸있는지 댓글이 안보여요

  • 달타냥 · 412347 · 21/12/20 21:50 · MS 2012

    오잉 무슨일이죠
    가장 많이 가는 진로는 금융공기업, 증권사, 시중은행, 행정고시, 로스쿨, cpa 정도 됩니다! 가끔 바로 사모펀드나 컨설팅펌으로 가는 사람들 있는데 정말 극소수고 엄청 똑똑해요

  • 헬창​ · 919982 · 21/12/20 21:51 · MS 2019

    금지어 있어서 댓글 안보여요

  • 앤드루 뤄 · 462259 · 21/12/20 22:37 · MS 2013

    전 다 보이는데 차라리 로그아웃 해보셔요
    달타냥님 답글들 넘나 친절...

  • 헬창​ · 919982 · 21/12/20 22:41 · MS 2019 (수정됨)

    금지어쓰면 로그아웃해도 안보이고 로그인해도 안보이고
    똩같아요 혹시몰라 로그아웃해봣으나 안보입니다

  • 앤드루 뤄 · 462259 · 21/12/20 22:44 · MS 2013

    님의 기기나 브라우저 문제는 아니겠죠? 어떻게 나오는지 스샽 가능하신가요

  • 헬창​ · 919982 · 21/12/20 22:45 · MS 2019
  • 앤드루 뤄 · 462259 · 21/12/20 22:47 · MS 2013

    헐 ㄷㄷ 이건 진짜 왜 그렇지..? 저도 궁금하네요 ㅋㅋ 원인을 찾아내고싶다

  • 달타냥 · 412347 · 21/12/21 10:28 · MS 2012

    흐헐 어떻게 된 일인지 잘 모르겠네요. 앤드루님이 올려주신 스샷으로 답변이 되었으면 합니다...!

  • Dtdt · 887546 · 21/12/20 21:56 · MS 2019

    대기업 취업하는 비율이 어느정도인가요?

  • 달타냥 · 412347 · 21/12/21 10:28 · MS 2012

    상경계열에서는 별로 없는편인 것 같아요...! 오히려 심리학과 친구들이 대기업 많이 갔어요

  • 어디든 좀 가자 · 610109 · 21/12/20 22:52 · MS 2015

    smic 이나 fcrc 학회와 관련한 정보를 조금 얻을 수 았을 까요....? 전무해서요...ㅠㅠ 상경계열(경영경제) 학부생들을 더 많이 뽑는 다는데 이것도 사실인가요?

  • 달타냥 · 412347 · 21/12/21 10:30 · MS 2012

    경영학회라는 점은 동일한데, 학회마다 하는 활동이 아예 달라서 진로에 적합한 학회 선택하시는게 중요할거에요! 리크루팅 기간에 학회 설명회 여는데, 참석해보고 결정하시면 될 것 같아요. fcrc는 정확히 모르겠는데, 스믹 기준으로는 비상경이 더 많습니당

  • 달타냥 · 412347 · 21/12/21 10:46 · MS 2012

    +)학회 관련 정보는 각 학회마다 홈페이지 있고, 정기 간행물이 있을텐데 이것들 살펴보면 뭐하는 학회인지 알 수 있을거에요!

  • 빛나는 눈동자 · 1010176 · 21/12/21 00:00 · MS 2020

    경제학 박사가 목표입니다.
    실제로 top 10 대학원에 박사를 가는 분들이 어느 정도나 있으실까요?
    제가 알기로는 광범위한 수학을 다루어야 한다고 들었는데 박사 학위 목표하시는 분들 중 수리과학부나 통계학과 복전하시는 분들도 꽤 계실까요?

  • 달타냥 · 412347 · 21/12/21 10:34 · MS 2012 (수정됨)

    경제학 박사까지 하는 선배님들 보면 대부분 아이비리그 대학원으로 유학갔던 것 같아요. 좋은 해외 대학 각이 안나오면 석사까지만 하고 런하는 경우도 많고요.

    수학쪽 복전은 예전에(90년대, 00년대 학번)는 인기 있었다고 하는데, 요즘에는 제 주변에선 딱히 못봤습니다. 복전해서 졸업을 늦추기보단 한 해라도 대학원 일찍 가서 석사과정 빠르게 끝내는게 추세인 것 같아요. 오히려 좋은 랩 가려고 대학원 진학도 한 학기 재수(?)한 선배도 봤습니당

  • 조 미 연 · 851410 · 21/12/21 00:00 · MS 2018

    주변에 mbb ib가시는분들은 다 한국지사인가요

  • 달타냥 · 412347 · 21/12/21 10:36 · MS 2012

    넵 나중에 외국으로 나갈 수 있는지는 모르겠는데, 지인의 지인들 중에서 그쪽으로 간 사람들은 다 국내였어요. 애당초 컨설팅쪽은 학사를 거의 뽑지 않아서, 외국 진출까지 염두에 두시면 유학을 가거나 특별한 자격증, 실무경험이 있어야 될거에요.

  • 유정유민 · 1051337 · 21/12/21 15:43 · MS 2021

    너무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이번데 제딸이 연대심리학과를 쓸 것같은데...혹시 심리학과 주위친구들이 많다하여 여쭤봅니다. 대학에서의 공부나 진료방향에 대해서...그냥 뭐든 갈쳐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달타냥 · 412347 · 21/12/21 20:44 · MS 2012

    심리학는 다른 인문계 전공에 비해서 통계랑 코딩을 많이 사용하는 학과에요! 최근에 가장 필요한 두 가지를 배우다 보니 상경 못지 않게 좋다고 느꼈어요. 또 실험 비중이 큰 전공 과목이 많아서 학점을 후하게 주는 편이라 복부전이 쉽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심리학과는 전공을 살리려면 무조건 박사 과정까지 해야 되는데, 박사 생각이 있냐 없냐에 따라서 진로가 많이 갈리는거 같아요

    1) 심리학 학사로 끝내는 경우
    이 경우에는 사실 다른 과랑 비슷한 진로가 있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 기업 취업에 있어서는 심리학 전공이라는 타이틀을 살려서 마케팅 쪽으로 나가는 경우가 선배들은 많았는데, 요즘에는 취업 시장이 너무 안 좋아서 마케팅 쪽에 자리가 별로 없는 것 같더라고요. 학점 좋은 친구들이 많다 보니 로스쿨에 진학한 동기들도 많습니다. 또 다른 진로로는 창업이 있을 것 같아요. 경영학과를 제외한 인문계 전공에서 창업하는 사람이 그렇게 많지 않은데, 심리학과는 통계랑 코딩을 전공 수업에서 많이 활용해서 그런지 스타트업이나 창업 쪽으로 나간 선후배들이 꽤 있어요.

    2) 심리학 대학원을 진학하는 경우
    대학원으로 나가면 심리학이라는 전공 특성을 온전히 활용할 수 있어요. 먼저 흔히 생각하는 상담이나 임상 심리학 쪽이 있습니다. 상담 자격증과 임상 자격증을 따서 병원이나 심리 상담소에서 상담사 역할을 맡을 수 있어요. 다만 저희 학교 기준으로는 요즘에 인기 있는 연구실은 아닌 것 같아요. 역사가 깊은 편인 분과지만 기술적으로 발전하지 않은 느낌? 상세하게 따지면 아동 쪽은 정말로 인기가 없는 편이고, 반대로 노령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실은 비교적 수요가 많다고 알고 있어요.

    반대로 가장 인기 있는 연구실은 AI 관련 프로그래밍을 엄청 하는 곳들이에요. 대부분 뇌를 연구하는 연구실인데, 이쪽에서 석사나 박사하는 친구들을 보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심리학과 학생보다 공대생에 가까운 느낌도 나는 것 같아요. 기업에서 외주 받아 연구실 차원에서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석사를 이런 연구실에서 하면 굳이 심리학이 아니더라도 다양하게 박사과정을 밟을 수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유정유민 · 1051337 · 21/12/21 15:45 · MS 2021

    기업계취업 대학원 해외유학 석박사 ...진로방향이 궁금해서요

  • 달타냥 · 412347 · 21/12/21 20:45 · MS 2012

    죄송한데 정확하게 어떤 측면이 궁금한지 잘 모르겠어서요...! 제가 위에 남긴 댓글들 읽어보시면 관련 정보가 많은데, 한번 쭉 보시고 구체적으로 질문주시면 바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 달타냥 · 412347 · 21/12/22 19:11 · MS 2012

    앗 윗댓글과 동일인물이시군요
    윗댓글에 궁금하신 내용 모두 답변드렸습니다!

  • Lagrange · 1048659 · 21/12/21 22:40 · MS 2021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강한 · 882874 · 21/12/23 21:30 · MS 2019 (수정됨)

    1.
    경영/경제를 못 가서 농경제를 가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
    상경에서 복전을 한다면, 할 수 있다면
    어떤 것을 추천하시고 선생님은 어떤 것을 선택하실 건가요?

    (다른 외생변수를 최대한 배제하고,
    순수히 학문의 융복합과 개인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춘다면요)

    3.
    삼수를 하고 이번에 끝냈는데, 멀리 보면 엄청나게 늦은건 아니지만
    쉴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이 듭니다
    1학년때부터 학업과 여러 스펙?을 위해 움직이려고 하는데
    어떤 활동이나, 공부는 꼭 경험해보고 / 능동적으로 찾아서 공부하고 하는 등
    이런 부분에 대한 조언도 듣고 싶습니다.

    4.
    추천하시는 책이 있으신가요?
    분야는 상관없습니다.
    선생님께서 읽어보신 책 중에
    감명 깊었던 책이 있다면 궁금합니다

  • 달타냥 · 412347 · 21/12/23 23:35 · MS 2012

    서울대인지 아닌지에 따라서 답변을 다르게 드려야될거 같은데, 혹시 지원 희망하는 곳이 서울대 농경제 맞나요??

  • 강한 · 882874 · 21/12/23 23:37 · MS 2019

    설농은 아닙니다!
    타 대학 식품자원경제(농경제) 입니다

  • 욱희 · 1069955 · 22/03/15 12:49 · MS 2021 (수정됨)

    안녕하세요 심리학과에 관심이 많은데요 심리가 학점 따기가 어렵다는 말들이 많던데 위에서 말씀하신 것 처럼 후하게 주는 편이면 걱정할만한 건 아닌가요?
    심리쪽으로 대학원 생각하고있지만 1순위가 로스쿨이라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