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곰돌이 [175603] · MS 2007 · 쪽지

2014-01-07 15:08:29
조회수 196

경제 문제 질문 좀 드릴게요 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85236

두 문제인데 혹시 경제 선택 하신분들 계시면 부탁 좀 드릴게요..

(1)공급곡선이란 어떤 재화의 가격과 그 재화의 공급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다음 공급곡선에 대한 설명들 가운데 옳은 것은?
1.공급곡선은 재화의 가격뿐 아니라 기술변화,미래에 대한 기대 등에도 영향을 받는다.
2.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것은 생산자의 한계효용이 증가하는 것과 관계가 있다.
3.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재화의 공급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4.가격탄력성이 큰 재화의 공급곡선은 기울기가 급격하다

(2)다음 설명 가운데 국민 소득 계정에서 총수요의 변화 방향이 다른 하나는?
1.신용카드 및 현금카드 소득공제제도가 폐지되어 소비가 감소하였다.
2.외환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원/달러 환율이 1달러당 1000원에서 1달러당 1500원으로
급격히 상승하였다.
3.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대폭 인상하였다.
4.외국계 기업 관련규제가 강화되어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감소하였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vroudi · 473425 · 14/01/07 15:22 · MS 2013

    6,9때 4등급이었지만 수능때 만점 받은 이상한 사람이 답변해도 되나요ㅋ. .


    저도 틀리면 다른 분들이 바로잡아 주실 것이라 믿고 ㄱㄱ

    문제1번은 답이 1번 같습니다. 근데 공급곡선이 가격이 직접요인이 되는 영향을 받는지는. .

    2번선지는 웃기네요. 효용은 재화따위의 소비에서 오는 만족감인데 한계효용은 한단위 증가할때 추가로 느끼는 효용이죠 그래서 생산자랑은 뭔가거리가있는. .

    3번선지는 가격이 상승해도 공급곡선은 제자리에요 그저 곡선상의 '공급량'만 가격따라변하죠

    4번선지는 가격 탄력성 즉 무엇의 무엇에 대한 탄력성이라고 주어져야 하는데 다짜고짜 가격탄력성이라늬 공급의 가격탄력성으로보면 세로축 가격이 증가하면 가로축 생산량은 더크게 증가하므로 기울기는 완만해질겁니다.
    탄력성은 원래 특정 지점가지고 따지는 거에요.

  • 삼수고민중 · 481166 · 14/01/07 19:10 · MS 2017

    총수요 = 민간소비+민간투자+정부지출+순수출(수출-수입)
    환율상승 = 수출 증가 , 수입 감소
    환율감소 = 수출 감소 , 수출 증가

    위 세개는 다 아시죠?

    2번정답은 2번.

    1. 위 식에 대입 해보면 (민간)소비가 감소했기 때문에 총수요 감소
    2. 환율 상승하면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이 감소하기 때문에 순수출 증가, 즉 총수요 증가
    3. 기준금리 인상하면 가계소비 감소 기업의 투자 감소 즉 총수요 감소
    4. 외국인의 투자 증가 -> 외화의 공급 증가 -> 환율 하락-> 수출 감소 수입증가-> 순수출감소->총수요감소


    이거 고3문제맞나요? 저도 두 번 수능 모두 경제를 봤지만 이 정도 수준은..ㅋㅋ
    경제 인강 들으실거면 쪽지주세요 선생님 추천해드릴게요
    여기다하면 홍보같아서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