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PPL 칼럼 3호] 영어 지문을 읽고 머리에 남는 게 없는 너를 위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699649
2022 수능 20번,21번 문제.pdf
[포디쌤의 수능 영어 칼럼 ②] 2022 수능으로 연습하기 (1)
--------------------------------------------------------------------------------------------------------------
독해 능력이 아직 덜 잡힌 4~5등급 학생들이 가장 먼저 맞아야 할 유형은 요지 및 주장(20번, 22번), 주제(23번), 제목(24번), 요약문(40번) 유형이다.
평가원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방향 보도자료에 따르면 “요지(22번), 주제(23번), 제목(24번)”은 “중심 내용을 추론하는 문항”이고 “문단 요약(40번)”은 “중심내용을 쓰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이다.
이 유형들의 공통점은 글의 중심 내용 파악하기, 즉 글을 읽은 후에 “이 글이 무슨 내용이었더라?”라는 질문에 답할 수 있는지를 물어보는 문제이다.
빈칸추론이나 문장삽입에 비해 쉬운 유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글을 후루룩 대충 읽고 선지에서 고민하는 학생들도 많고, 문장을 읽어도 이해가 안돼서 같은 문장을 또 읽고 또 읽다가 결국 에라 모르겠다 하고 선지를 골라버리는 학생들도 많다.
하지만 이 유형들은 수능식 독해의 기본을 잡아주는 유형들이다. 칼럼 ①에서 등장한 “단순화”를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유형이기도 하다.
“단순화”와 “강세 두기” 스킬은 유형과 관계없이 모든 지문에 적용할 수 있긴 하지만, 문장 단위별 상세한 이해보다는 전반적 단순화를 요구하는 해당 유형들이 4~5등급 학생들에게는 가장 연습하기 좋은 유형인 것이다. (사실 고2때까지 대충 감으로 풀어서만 맞은 2~3등급 학생들에게도 해당되는 말이다) 올해 수능 문제를 통해 2가지 스킬을 연습해보자. 첨부파일에 있는 문제를 미리 풀어보고 읽는 게 가장 효율적일 것이다.
칼럼 ①을 안 읽었다면 읽고 보는 것을 추천한다.
-------------------------------------------------------------------------------------------------------------
[2022 수능 20번] 주장 유형
① One of the most common mistakes made by organizations when they first consider experimenting with social media is that they focus too much on social media tools and platforms and not enough on their business objectives. |
(1) One of the most common mistakes made by organizations: 기관들이 흔히 하는 실수
(2) when they first consider experimenting with social media: 소셜미디어로 뭔가 해보려고 할 때~
(3) is that they focus too much on social media tools and platforms and not enough on their business objectives. : 툴이나 플랫폼에 너무 집중,, 비즈니스 목표!!!에 집중 부족
[단순화] 아 기관들이 소셜 미디어로 뭔가 해보려고 할 때 자기 목표를 까먹는 실수를 하는군! (그럼 반대로 생각해서 목표를 잊지 않고 준수하는게 중요하다고 추론 가능)
(TIP. 소셜미디어가 등장하면 SNS, 자기한테 친근한 인스타그램이나 페북 정도를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
② The reality of success in the social web for businesses is that creating a social media program begins not with insight into the latest social media tools and channels but wit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organization’s own goals and objectives. |
(1) The reality of success in the social web for businesses: 이런 분야에서 진짜로 성공하려면..
(2) is that creating a social media program begins not with insight into the latest social media tools and channels but wit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organization’s own goals and objectives.
: 그런 프로그램 만들 때 (툴이나 채널에 대한 이해 말고..) 자기 기관 목표!!!!!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군
[단순화] 앞 문장과 연결지어, 다시 소셜 미디어 프로그램에서 “목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군
③ A social media program is not merely the fulfillment of a vague need to manage a “presence” on popular social networks because “everyone else is doing it.” |
(1) A social media program is not merely: 소셜 미디어 프로그램은 단순히 ~가 아니다= 뭔가 더 있다!!
(2) the fulfillment of a vague need to manage a “presence” on popular social networks because “everyone else is doing it.”: 다른 사람들 다 하니까 나도 내 존재를 보여주고 싶어! 이런 욕구가 충족되는 거
[강세두기] 이거보다는 뭔가 더 있다는 말이기 때문에 사실 ③-(2) 문장은 강세를 약하게, 후루룩 읽고, 다음 문장들에서 언제 그 “뭔가”가 나오는지 (귀 말고..)눈을 쫑긋 세워야 한다
④ “Being in social media” serves no purpose in and of itself. |
: 걍 소셜 미디어에 있기만 하는 건 의미 없다,,
[강세두기] 마찬가지로 ④ 문장도 아직 그 “뭔가”가 아직 안나왔으니 강세를 약하게 둬야 한다.
⑤ In order to serve any purpose at all, a social media presence must either solve a problem for the organization and its customers or result in an improvement of some sort (preferably a measurable one). |
(1) In order to serve any purpose at all,: 그럼 목적이 있으려면,,
아 이제 그 “뭔가”가 나오는군!!! 이라는 생각이 들어야 한다.
(2) a social media presence must: 뭘 해야 하는데,,
(3) either solve a problem for the organization and its customers or result in an improvement of some sort (preferably a measurable one).
: 문제를 해결하던지, 뭔가 성과가 있어야 됨!
⑥,⑦ In all things, purpose drives success. The world of social media is no different. |
: 소셜 미디어 세계에서 성공하려면 목적 중요!!
*단어가 어려운 학생들은 직역된 EBS 해석을 참고하자
------------------------------------------------------------------------------------------------------
지문을 다 읽은 다음에는 지문을 한 손으로 슥 가리고 스스로에게 질문하자.
Q. “무슨 내용이었더라?”
위에 나온 것처럼 스킬을 활용해 읽었으면, 여러 번 반복되기도 했던
A. “아 기업이 소셜 미디어 이용해서 성공하려면 “목적”이 중요하군!”이라고 생각이 들어야 한다.
이렇게 생각하고 선지를 보면, “기업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할 때 사업 목표를 토대로 해야 한다.” 답이 훨씬 잘 보일 것이다.
------------------------------------------------------------------------------------------------------
공부를 좀 해 본 학생이라면 해설을 읽고 이 유형이 왜 쉬운지 이해를 할 것이다. 요지 및 주장, 주제, 제목 등은 주제문이 다른 표현으로 여러 번 반복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단순화 스킬을 연습하기도 좋은 것이다.
독해 유형 중 쉬운 유형에 속하는 요지 유형까지 읽어보자.
------------------------------------------------------------------------------------------------------
[2022 수능 22번] 요지 유형
① Environmental hazards include bi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ones, along with the human behaviors that promote or allow exposure. |
(1) Environmental hazards include bi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ones : 환경적으로 위험한 거는 ~~~가 있는데
(여기서 biological, physical, chemical은 읽을 때 하나하나 직역하지 않고 영어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 나열될 때 강세를 약하게 둬야 한다는 점 기억하자. biological? 뭐였더라? 생물학적? physical은 신체적? 뭔가 이상한데? 아 물리적? 이렇게 생각하다가 시간 잡아먹지 말자..)
(2) along with the human behaviors that promote or allow exposure.: 아 인간 행동 때문에 더 많이나 덜 노출될 수도 있군
② Some environmental contaminants are difficult to avoid (the breathing of polluted air, the drinking of chemically contaminated public drinking water, noise in open public spaces); in these circumstances, exposure is largely involuntary. * contaminate: 오염시키다 |
(1) Some environmental contaminants are difficult to avoid: 아 그중에 피하기 어려운 것도 있군
(2) (the breathing of polluted air, the drinking of chemically contaminated public drinking water, noise in open public spaces): 괄호 안에 있으니까 호다닥 읽자.. 뭐 오염된 공기, 물, 소리,,
(3) in these circumstances, exposure is largely involuntary.
:이런 경우에 (어떤 경우? 아 아까 피하기 어렵다고 했지) 노출은 비자발적이다 = 아 내가 원하지 않아도 저런 나쁜 거에 노출될 수 있군!
③ Reduction or elimination of these factors may require societal action, such as public awareness and public health measures. |
: (앞에 등장한 저런 피하기 어려운 요인들)은 사회적으로 같이 힘써야 없앨 수 있겠군 (다같이 의식 높이기.. 의료 조치 등..)
④ In many countries, the fact that some environmental hazards are difficult to avoid at the individual level is felt to be more morally egregious than those hazards that can be avoided. ** egregious: 매우 나쁜 |
(1) In many countries, the fact that some environmental hazards are difficult to avoid at the individual level : 개인이 피하기 어려운 위험도 있는데,
(2) is felt to be more morally egregious than those hazards that can be avoided.: 그게 피할 수 있는 위험보다 더 나쁘다고 느껴진다,,
[강세 두기] “morally egregious”= “도덕적으로 매우 나쁜” 이런 어려운 말이 등장했을 때 잠시 숨을 고르며 무슨 뜻인지 생각해봐야 한다.
‘나한테 피할 수 없는 어려움이 닥쳤어. 그럼 난 어떡해? 난 너무 억울한데. 이건 부정의해’ 이렇게 자기의 입장이라고 생각하고 판단해보면 왜 그것이 나쁜지 이해하기가 더 쉽다.
⑤ Having no choice but to drink water contaminated with very high levels of arsenic, or being forced to passively breathe in tobacco smoke in restaurants, outrages people more than the personal choice of whether an individual smokes tobacco. |
(1) Having no choice but to drink water contaminated with very high levels of arsenic, or being forced to passively breathe in tobacco smoke in restaurants
: 어쩔 수 없이 오염된 물 먹거나.. 담배 연기 마시면..
(2) outrages people more than the personal choice of whether an individual smokes tobacco.
: 사람들이 빡친다!!(화난다..) 뭐보다 더? 아 걍 내가 혼자 담배 피울 때보다
[단순화] 내가 행동으로 바꿀 수 있는 게 아닌데 나한테 해가 되면 사람들이 싫어하는군!
⑥These factors are important when one considers how change (risk reduction) happens. |
: 피할 수 있는지 없는지는 (= 개인의 노력만으로 되는 건지 아닌지는) 위험 감소하려고 할 때 중요한 요소이군!
*단어가 어려운 학생들은 직역된 EBS 해석을 참고하자
------------------------------------------------------------------------------------------------------
다시 연습하자. 지문을 다 읽은 다음에는 지문을 한 손으로 슥 가리고 스스로에게 질문하자.
Q. “무슨 내용이었더라?”
A. 환경 위험을 일으키는 요인 중에서는 내가 혼자 힘으로 바꿀 수 없는 것도 있는데, 그럼 뭔가 집단, 사회적 차원에서 조치가 필요하겠군!
정답: 개인이 피하기 어려운 유해 환경 요인에 대해서는 사회적 대응이 필요하다.
------------------------------------------------------------------------------------------------------
문제 해설을 쓰다 보니 길어져서 다음 칼럼에서 주제와 제목 유형을 다루겠다.
여담으로, 이 칼럼은 독해에 중점을 두고 쓰고 있지만, 영어는 학문이 아니라 “외국어”이기 때문에 단어가 무조건 우선이다. 그러니 수능 단어집 하나를 최소한 3~4회독하는 건 기본이라는 점 잊지 말자. 단어 공부를 소홀히 하고 있다면.. 원래 원어민처럼 영어를 공부한 게 아닌 이상 좋은 등급 받기는 어렵다. 수험생들 파이팅!
칼럼 제작 | Team PPL 영어 소속 For Thee 팀
제작 일자 | 2021.12.14
Team PPL Insatagram | @ppl_premium
*문의 : 오르비 혹은 인스타그램 DM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난 가격보고 장지갑 바로 질렀음 남자는 장지갑이지 ㅇㅇ
-
쿠바나샷 3
랜만오
-
Rpm 다음으로 풀 문제집 고민입니다 쎈b 일품 일등급만들기 뭐가 나을까요??...
-
진짜 말 그대로..ㅜㅜ 계속 하다보면 갑자기 팍 오르나요 그냥 계속 밑 빠진 독에...
-
그 애완견들이 강사가 하는 말을 십분 이해했을지도 의문이고 고금으로 증명된...
-
가슴이 웅장해진다평가원 기출만 고집하던 나는 바보였구나.......21년~25년꺼...
-
251130 1
현장에서 해석도 제대로 못하고 포기했다가 얼마전에는 온갖노력을해서 낑낑풀었는데 이제...
-
반수 공부 2
시작하기 너무 싫다
-
김상훈 선생님 0
고전시가 tmi, 문학개념매뉴얼 중 뭘 먼저 들어야 하나요??
-
더 어려운걸 들고와라
-
내주변엔 현역~재수 중 시절 나를 포함해서 반비례하는 케이스가 너무 많음 바뀐 연대...
-
환율 뭐야 3
원달러 1480원 대라니...
-
성별은 남자기준이구요 개원한의사 정도면 전국 계층 상위 몇퍼 안에 드나요 ?
-
학교 vs 학과 0
둘 다 붙어면 어디가나요? 충북대 윤리교육과 가면 임용고시 볼 생각이고 경북대...
-
매일 +1점,국어 1등급을 만드는 완벽한 루틴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대비...
-
스포츠판은 워낙 유명하고 롤판은 이제 슬 아이돌화가 돼서 더이상 이스포츠...
-
미적분 넘어온지 이제 4달? 되어갑니다 공통 베이스가 있어서 그런지 기출이나 엔제를...
-
미중분쟁때 얼마나 코스피 갈렸는지 보고오셈
-
[FIM 222] 2018 Epsilon 1회 30번 [FIM 222] 2018 Epsilon 1회 30번 7
문제가 생각보다 쉬운데 이게 맞나 ㄹㅇ 문제가 생각보다 쉬운데 이게 맞나 ㄹㅇ
-
현생에서 남자애들한테 보내면 씹게이소리듣고 여자애들한테보내면 오해생길까봐 못쓰겠음...
-
앞 네문제에서 어려운 27번정도는 가볍고 사점짜리 풀리는거 가끔있는정도는...
-
의식적으로 자꾸 정리해야될까요 아니면 지금은 그냥 많이 풀어보면 되나요
-
ㅇㅈ 6
ㅎ
-
나도 올해 현역인데 이건 걍 대학 편하게가겠다는거 아님?ㅋㅋ
-
언매 버릴까요 0
작수 언매 다 맞고 24 언매는 2개 틀렸습니다 갠적인 사정으로 공부 시간이...
-
과학이나 서양철학은 이해가 쏙쏙되는데 동양철학 << 이새긴 뭐라는지도 모르겠고...
-
인생 어카지 2
배가 너무 고프다 세상을 잃었다
-
세상이왜이러냐정말
-
2025 수능 대비 소우주 모의고사: 신성 제 0호 수록 기하 2문항 드린거...
-
독학기숙학원 다니다가 넘 힘들어서 나와서 동네 독재 다닌지 한달안되는데 공부량이...
-
[속보]한양대 실험실서 황산 폭발로 화재, 학생 4명 다쳐 4
한양대학교 실험실에서 황산 폭발로 불이 나 실험 중이던 학생 4명이 다쳤다. 9일...
-
세금이장난이야?
-
대통령 배출 해보셨습니까?
-
저번에 냇엇 베르테르 모의고사 3회 29,30번
-
[짧칼럼] 국어 백분위100의 도식화 (feat.비타민K) 9
안녕하세요 2025학년도 9모 언매 3등급 >>2025학년도 수능 언어와매체 원점수...
-
미적하세요 미적
-
1학년인데 서울대로 편입한다는 친구 어떻게 해야함? 17
애초에 편입은 2학년 마치고 하는 거고 서울대는 학사 끝내고 가야하는 걸로...
-
흠 낙첨이군 0
2차추첨 응모 고고혓
-
와 진짜 ㅈㄴ 빡세네
-
외롭지 않다
-
ㅋㅋㅋㅋ
-
ㅋㅋㅋㅋㅋ
-
다풀었다 21
3639문제 정답률 78% 시험전 마지막 헬스 한번만 다녀와서 공부해야지
-
얼버기 8
-
뭐야 이거 카톡채팅방 나가는 화살표옆에 뭐써져있는거
-
존경스럽다 나는 먹기위해 공부하는데..
-
우리반에 내신준비 동사수특으로 하는애 있는데 기출문제 풀어봤냐 혹시 작년 세계사는...
우앙 멋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