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수능 국어 1컷 원점수 범위와 표본 분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1540541


한 줄 요약: 직선 4개로 둘러싸인 영역의 격자점을 보시면 됩니다.
격자 1칸=정수값
환산식은 위 글을 참고했습니다. 아마 위 글을 보신 분들이라면 제가 올린 그래프의 파란색 직선이 어떤 1차함수인지 쉽게 눈치채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파란색 직선은 특정 표준점수(여기서는 1등급컷)의 범위를, 빨간색 직선은 원점수 범위를 나타냅니다.
결과적으로 위 그래프를 통해, 선택과목에 따라 다음과 같은 1등급 컷 원점수를 알 수 있습니다.
화법과 작문: 82~86
언어와 매체: 81~85
하지만 이렇게 단순히 범위로 나타내는 건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여러분 모두 올해 내내 겪어 보셨을 듯 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봅시다. 이번 수능에서 ‘화법과 작문’의 경우 40번 문제의 정답률이 29%(이하 정답률 모두 M사 기준)였는데, 흥미롭게도 1등급 내 오답률이 36%(이하 1등급 내 오답률 모두 M사 기준)였습니다. 화작 선택 1등급 학생 ⅓ 이상이 이 문제를 틀렸다는 뜻이죠. 이 문제의 배점이 3점이었으니, 선택과목에서 이 문제만 틀렸다면 선택과목 원점수는 21점이 됩니다.
그리고 다시 위 표를 봅시다. 40번 문제를 틀렸다면 1등급 컷이 85점이네요. 언어와 매체에서 모두 맞춘 학생의 1등급 컷과 같은 원점수입니다. 실제 등급컷은 표준점수 기준이므로, 표준점수 역시 동일합니다.
물론 언매 역시 같은 원리로, 언매에서 점수가 나간 학생의 1등급컷 원점수 또한 낮게 잡힐 것입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1등급 학생의 문항별 오답률입니다.
화작 선택 1등급 학생의 오답률 베스트 5
15번 (오답률 46%, 광각카메라 ‘그 문제’)
13번 (오답률 43%, 브래튼우즈 <보기> 문제)
8번 (오답률 39%, 헤겔 <보기> 문제)
16번 (오답률 37%, 광각카메라 <보기> 문제)
40번 (오답률 36%, 화법과 작문 ‘그 문제’)
언매 선택 1등급 학생의 오답률 베스트 5
13번 (오답률 50%, 브래튼우즈 <보기> 문제)
8번 (오답률 47%, 헤겔 <보기> 문제)
15번 (오답률 47%, 광각카메라 ‘그 문제’)
16번 (오답률 42%, 광각카메라 <보기> 문제)
11번 (오답률 37%, 닉슨 쇼크 합답형 문제)
여기서 몇 가지 가설을 세울 수 있는데, 결과적으로 의미 없던 가설은 생략하겠습니다.
먼저 1등급 학생들에게서 선택과목에 관계없이 높은 오답률을 보였던 문항이 8번, 13번, 15번, 16번 문항이었는데, 특이한 점은 15번 문항을 제외한 8번, 13번, 16번 문항의 오답률이 화작 선택 1등급 학생들의 경우가 언매 선택 1등급 학생들에 비해 유의미하게(약 6~7%p) 낮았던 반면, 15번 문제의 경우는 1등급 학생 내에서 선택과목에 따른 오답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점으로부터 선택과목 내 오답률과 도수분포표를 통한 보정을 실시해 보았고, 2등급 학생의 선택과목에 따른 문항별 오답률 중 위의 4문항을 제외한상위 5문항에 대해 다시 위와 같은 과정의 보정을 실시해 보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설정한 지표는 졸논에 올릴거임 결과적으로 언매 선택자들의 표본이 ‘전체적으로’ 화작 선택자들보다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화작 선택자들의 표본이 1~2등급의 구간에서 매우 안정적인 경향을 보여준 반면, 언매 선택자들의 표본이 1등급 미만에서 급격히 불안정한 경향을 보여주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선택과목에 따른 공통과목 오답률과 선택과목 문항반응 성향이나 등급내 선택과목별 오답률 등을 고려했을 때, 22학년도 수능에서 언매 선택을 통해 화작 선택에 비해 실질적이고 유의미한 어드밴티지를 얻을 수 있는 구간은 백분위 상위 0.38%~0.47%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와, 12.48%~15.74% 이하의 구간이었습니다.
아마 난이도 요인도 있을 것이고, 러프하게 생각하면 언매런을 통한 표점이득이 알려지면서 언매는 1등급~2등급 사이에서 바짓가랑이 잡힌 수험생들이 꽤 많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 쉽게 말해 언매러들 중에 특정 문제에서 펑크 나서 2등급, 3등급으로 끌려간 학생들이 많다는 건데 이 학생들은 화작 했어도 됐다는 거예요.
수학 영역도 그래프는 작성해 뒀는데, 이건 올해 원서영역이 끝나고 문과 이과 교차 입결까지 다 봐야 해석하는 의미가 더 있을 것 같아서 일단 킵~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차지나간다 0
-
공책유희왕 공책 포켓몬 ㅈㄴ 하는 애들 있었는데 공통점이 설정놀음 좋아하는...
-
평가원 6월 벌써 문제 검토 중임 보통 6월 극초에 치는데 이미 평가원 소집된...
-
오늘 스카왔는데 0
고정 1인석인데 왜 음료수 담긴 컵이 선반에 놓여있지 개무섭네 뭐지
-
님들 진지하게 3
생명 2등급 받는거랑 사문 2등급 받는거 둘중 어느게 더 어려움?
-
야간알바가 2
몸이 이제 적응이 되버린거 같은데 주말에 일하는 곳이랑 월급이 두배 차이가 난단...
-
ㅇㅇ?
-
빅포텐 쉽다매 1
어렵구만;
-
기하나 확통으로 런치려고 하는데.. 입시잘아시는분..?ㅠㅠ 경한~상지한 목표고...
-
오르비왤캐 클린해짐
-
그리고 얘 교재 유비니에 왜케 어뵤어 망함??
-
왜 자꾸 긱사에서 집 올 때마다 내껄 가져가지 븅신인가 진짜
-
결정장애옴 2
-
독서 문학 하나씩 받습니다!!! 감사합니당
-
이거 26학번(올해 수능)부터 지원가능한건가요? 아니면 26학년도에 신설하고...
-
내가 아니야 내가 생각하는건 다 어디로 간거야
-
입관 0
흰 한지 아래로 마지막 순간이 잠기어 가며 기억들은 눈뜬 사람들의 몫이다. 평생...
-
고인물 줄어든 효과 생각해도 26학년도는 개빡세겠죠?ㅠ
-
학과 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 한약과 간호학과
-
임정환 림잇 1
생윤 오늘부터 시작하려 하는데 하루에 하나씩 계속 듣는게 맞을까요 아님 일주일에 딱...
-
자꾸 남자 젖꼭지 털뽑는 영상이;;
-
백분위 70 87 3 98 95
-
수1은 걍 n제는 수열먼 풀고 버리고 다른거에 투자하면되지않나
-
국어 백분위가 99면 작년기준으로 한개틀린건가요??? 4
한개틀린거죠???
-
페이커처럼 ‘쉿’ 김문수 “내가 책임질게” 사진 논란…소속사 반발 4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리그오브레전드(LoL) 프로게이머 페이커 선수(본명...
-
유흥업소 다니는 여자 vs 우흥거리는 여자
-
지금 국힘당 아수라를 보자니... 이재명이 무난히 당선이 되겠네요 솔직히 이재명정권...
-
세지 커리 질문 3
이기상 풀커리랑 마더텅 다하면 충분요까요..?
-
뉴런 7월까지 6
뉴런을 4월 초에 시작해서 진행중인데요 뉴분감을 같이 진행해서 천천히 이해하면서...
-
제발 확전은 안 되기를
-
수1 진짜 2문열(딱 2등급 1등) 화1 2컷과 1문제 차이 -> 2는...
-
백분위 96~97 목표로 확통 ㄷ 미적
-
에잉 요즘 선거구는 맛이 없어
-
안녕하세요 형님누님들 경제 선택을 하게 되었는데요! 우영호쌤 책이 너무 비싸요 ㅠㅠ...
-
잠깐 봤는데 무난하네
-
아무도 모르게 말할 곳이 여기밖에 없어서 ㅎㅎㅎ 행복한 요즘입니다
-
궁금
-
하사십 개빡쎄다 0
한 70분 풀면 2개 정도 틀리는거 같은데 어캄 ㄹㅇ..6모 1컷은 나올까 걱정이네요
-
시대인재 볼텍스 2
볼텍스(수1수2기준) 난이도가 어떻게 되나요? 엔티켓이나 사규보다 더 어렵나여
-
맞팔하실분 2
ㅈㅂ
-
민주, 법사위 소위서 '대통령 당선시 재판정지' 형소법 처리 10
김건희·내란·채해병 특검법, 검사징계법도 소위 의결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오규진...
-
좀요 교재를...
-
될거라봄?
-
흠..
-
월급받음 4
8일일한거
-
쉬운데? 안찍고 만점일 정도면. 이대로 수능에 나오면 47보다 높게 잡힐듯...
-
자퇴 5
할게요
-
◕‿◕
-
한의대 가고시프다
-
파랑머리
왕
결론은 그냥 최상위권이나 2등급 바라보는 수능러가 아니면 화작이 낫다는 건가?
22수능에서는 결론적으로 그랬다. 라는 정도입니다. 2등급까지도 화작이 나았어요. 그런데 최상위권은 수가 적기 때문에 1~2등급 학생들이 23수능에서 화작런을 한다면 멱살 잡고 끌어주는 사람들이 빠지는 거라 최상위권한테도 메리트가 사라지고 3등급 이하에서도 메리트가 사라지겠죠.
그냥 눈치게임인거네요ㅋㅋㅋ
그렇죠. 그런데 3등급 이하에서는 이득을 봤다고 하지만 이 학생들이 언매를 공부할 시간을 다른 과목에 투자했다면…? 같은 if가 또 생깁니다 ㅋㅋㅋㅋ
성실히 공부하는 학생이 무조건 잘 가져가야 할텐데 우째 눈치게임적 요소가 되어버린건가요…
표본의 크기 문제가 아무래도 가장 큰 문제겠죠. 이 부분은 수험생의 수가 늘어나지 않는 이상은 국수영탐에 모두 공통과목을 하는 편이 통계적으로는 가장 공정하리라 봅니다.